기준일자: 2024. 08. 15.

생활법률

윗집 발망치, 아랫집 피아노 소리... 층간소음, 어떻게 해결할까요? (feat. 법적 기준)

이웃과 함께 사는 공동주택 생활, 편리한 점도 많지만 층간소음 문제로 스트레스 받는 분들 많으시죠? 오늘은 층간소음 기준과 해결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층간소음이란 무엇일까요? (feat. 공동주택관리법)

「공동주택관리법」 제20조제1항에 따르면, 층간소음은 아파트, 연립주택 등 공동주택(「주택법」 제2조제3호 및 「주택법 시행령」 제3조제1항)에서 거주자의 활동으로 발생하는 소음 중 다른 거주자에게 피해를 주는 소음을 말합니다. 여기에는 옆집뿐 아니라, 대각선에 위치한 세대 간의 소음(벽간소음)도 포함됩니다.

2. 어떤 소음이 층간소음일까요? (feat. 공동주택관리법)

층간소음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공동주택관리법」 제20조제5항 및 「공동주택 층간소음의 범위와 기준에 관한 규칙」 제2조)

  • 직접충격 소음: 뛰거나 걷는 동작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 (e.g., 윗집 아이들이 뛰어다니는 소리)
  • 공기전달 소음: 텔레비전, 음향기기 등의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 (e.g., 아랫집에서 들려오는 피아노 소리)

하지만, 욕실, 화장실, 다용도실 등에서 물을 사용하는 소음은 층간소음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또한, 흔히 문제가 되는 사람의 말소리(대화, 고성방가 등) 역시 「공동주택 층간소음의 범위와 기준에 관한 규칙」 상 층간소음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다만, 너무 시끄럽게 떠들거나 노래를 불러 이웃에 피해를 준다면 「경범죄 처벌법」에 따라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인테리어 공사 소음 역시 층간소음이 아닌, 「공동주택관리법」 제18조 및 「공동주택관리법 시행령」 제19조제2항에 따라 관리규약으로 정해진 절차를 따라야 합니다.

3. 층간소음 기준은 어떻게 될까요? (feat. 공동주택 층간소음의 범위와 기준에 관한 규칙)

층간소음은 다음 기준 이하를 유지해야 합니다. (「공동주택 층간소음의 범위와 기준에 관한 규칙」 제3조 및 별표)

층간소음 구분 기준 (dB(A)) 주간(06:00~22:00) 야간(22:00~06:00)
직접충격 소음 (1분) 등가소음도(Leq) 39 34
최고소음도(Lmax) 57 52
공기전달 소음 (5분) 등가소음도(Leq) 45 40

4. 층간소음을 줄이기 위한 건축 기준은? (feat.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

  • 경계벽: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 제14조제1항에 따라 일정 두께 이상의 철근콘크리트, 콘크리트블록 등으로 세대 간 경계벽을 만들어야 합니다. 또한, 「벽체의 차음구조 인정 및 관리기준」(국토교통부고시)에 따라 차음성능을 인정받은 구조도 사용 가능합니다.

  • 바닥: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 제14조의2에 따라 일정 두께 이상의 콘크리트 슬래브를 사용하고, 바닥충격음 차단성능(경량충격음, 중량충격음 49dB 이하)을 갖춰야 합니다. 다만, 라멘구조의 공동주택이나 발코니, 현관 등 일부 구역은 예외입니다.

  • 화장실 배관: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 제43조제2항제2호에 따라 층하배관공법을 사용하는 경우, 일반 배관보다 소음 차단 성능이 5dB 이상 높은 저소음 배관을 설치해야 합니다.

5. 층간소음 발생 시,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feat. 공동주택관리법)

  • 관리사무소에 요청: 「공동주택관리법」 제20조제2항에 따라 관리사무소에 층간소음 발생 사실을 알리고 중재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 관리사무소는 사실 확인을 위해 세대 방문 등 필요한 조사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 층간소음 전문기관 이용: 한국환경공단의 층간소음 이웃사이센터(☎ 1661-2642, https://floor.noiseinfo.or.kr)에서 전화상담, 방문상담, 소음측정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층간소음 피해사례 조사·상담 등의 절차 및 방법에 관한 규정」) 방문상담 후에도 분쟁이 지속될 경우, 소음측정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소음측정은 1개 지점 이상에서 1시간 이상 24시간 이하로 연속 측정합니다.

층간소음 문제는 서로 배려하고 이해하는 마음으로 해결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위에 소개된 법적 기준과 해결 방법을 참고하여 평화로운 공동주택 생활을 만들어 나가시길 바랍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생활법률

쿵! 쿵! 윗집 소음, 층간소음일까? 아닐까?

층간소음(직접충격/공기전달 소음, 급수·배수 소음 제외)으로 피해 시 관리사무소, 층간소음 이웃사이센터(1661-2642) 등을 통해 중재, 분쟁조정, 소송, 경범죄/스토킹 처벌 등 법적 대응까지 가능하다.

#층간소음#공동주택#소음 종류(직접충격#공기전달)

생활법률

윗집 소음, 도대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층간소음 완전 정복!

층간소음(직접충격, 공기전달 소음)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상호 배려를 바탕으로, 관리사무소, 분쟁조정위원회 등에 도움을 요청하거나 법적 절차를 활용할 수 있다.

#층간소음#공동주택관리법#직접충격 소음#공기전달 소음

상담사례

층간소음, 어디까지 참아야 할까요? (feat. 아이 키우는 집 😥)

아이가 뛰는 소음은 낮 43dB/밤 38dB(평균), 낮 57dB/밤 52dB(최고) 이하, TV/악기 소음은 낮 45dB/밤 40dB(5분 평균) 이하를 유지해야 하지만, 법적 기준보다 서로 배려하고 소통하는 것이 층간소음 문제 해결의 핵심이다.

#층간소음#아이 키우는 집#데시벨(dB)#직접충격 소음

민사판례

층간소음 항의, 어디까지 허용될까? - 과도한 항의는 인격권 침해!

아래층 거주자가 층간소음에 항의하기 위해 위층 거주자에게 과도한 전화, 문자, 방문 등을 한 경우, 이는 정당한 권리행사를 넘어선 위법행위로 판단되어 접근금지 가처분과 간접강제가 인정될 수 있습니다.

#층간소음#과도한 항의#접근금지 가처분#간접강제

생활법률

층간소음 말고 생활소음?! 공사장, 사업장 소음 기준 완벽 정리!

특정 지역 외 공장, 공사장, 사업장 소음·진동은 시간대 및 장소별로 법적 기준치가 정해져 있으며, 위반 시 작업 조정, 사용금지, 과태료, 벌금 등의 제재를 받을 수 있다.

#생활소음#진동 규제#확성기#공사장

생활법률

층간소음만큼 골치 아픈 공사장 소음, 규정 알고 대처하기!

공사장 소음은 소음·진동관리법에 따라 규제되며, 특정 규모 이상의 공사는 사전/변경 신고 의무가 있고, 소음 기준 위반 시 과태료 또는 징역/벌금형에 처해질 수 있으며, 저감 대책 수립 및 방음시설 설치가 의무화되어 있다.

#층간소음#생활소음#공사장 소음#소음·진동관리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