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5.12.24

형사판례

4대강 담합 사건, 건설사들의 상고 기각!

오늘은 건설업계를 뒤흔들었던 4대강 살리기 사업 입찰 담합 사건의 대법원 판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여러 건설사가 담합 혐의로 기소된 이 사건, 대법원은 원심을 확정하며 건설사들의 상고를 기각했습니다. 이번 판결은 건설산업기본법 위반과 관련된 중요한 법리를 다루고 있어, 그 내용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부당한 이득과 공정한 가격이란 무엇일까요?

건설산업기본법 제95조 제1호는 건설공사 입찰에서 부당한 이득을 취하거나 공정한 가격 결정을 방해할 목적으로 담합한 자를 처벌합니다. 대법원은 '부당한 이득'과 '공정한 가격'은 자유로운 경쟁입찰을 전제로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즉, 담합 없이 경쟁입찰로 결정되는 가격이 '공정한 가격'이고, 담합으로 그보다 높은 가격에 낙찰받으면 그 차액이 '부당한 이득'이라는 것입니다. (대법원 1999. 10. 12. 선고 99도2309 판결 등 참조)

2. 입찰행위 방해란 무엇일까요? 누구를 방해해야 성립할까요?

건설산업기본법 제95조 제3호는 위계, 위력 등으로 다른 건설업자의 입찰행위를 방해한 자를 처벌합니다. 이 조항은 형법상 입찰방해죄(형법 제315조)의 특별규정으로, '입찰행위'는 형법상 '입찰'과 같은 의미입니다. (대법원 2001. 11. 30. 선고 2001도2423 판결 등 참조)

대법원은 입찰에 참가한 건설업자뿐 아니라 참가할 가능성이 있는 건설업자의 입찰 참가 결정에 영향을 주어 방해해도 처벌된다고 판단했습니다. 또한, 이 죄는 위태범이므로 실제로 입찰이 방해되는 결과가 발생하지 않아도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이 사건에서 건설사들이 공구를 배분하고 경쟁사의 설계도면 수정을 강요한 행위는 다른 건설사의 입찰 참여를 방해한 것으로 인정되었습니다.

3. 회사가 합병되면 형사책임도 승계될까요?

일반적으로 회사 합병 시 피합병회사의 권리와 의무는 합병회사에 승계됩니다. 그러나 양벌규정에 따른 법인의 형사책임은 승계되지 않습니다. 대법원은 형벌의 성격상 이전이 허용되지 않고, 형사소송법 제328조도 법인 소멸 시 공소기각을 규정하고 있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습니다. (대법원 2009. 12. 24. 선고 2008도7012 판결 등 참조) 따라서 이 사건에서 합병으로 소멸한 피고인 3 주식회사에 대한 공소는 기각되었습니다.

이번 판결은 건설업계의 담합 행위에 경종을 울리는 중요한 판례입니다. '부당한 이득', '입찰행위 방해', '양벌규정에 따른 형사책임 승계' 등 건설산업기본법과 관련된 핵심 법리를 명확히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 건설업계는 공정한 경쟁을 통해 건설산업의 건전한 발전에 기여해야 할 것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건설업계 입찰 담합, 정당화될 수 없다!

건설업체들이 서로 짜고 입찰 가격을 조작하는 담합 행위는 출혈 경쟁 방지 목적이라도 불법이며, 죄형법정주의나 평등의 원칙에 위반되지 않는다.

#건설업체#담합 입찰#위법 확정#죄형법정주의

민사판례

4대강 살리기 사업 입찰 담합과 설계보상비 반환

4대강 살리기 사업 입찰 과정에서 담합이 있었던 공사에 대해, 낙찰받지 못한 업체들이 받았던 설계보상비를 한국수자원공사(이하 수공)에 반환해야 하는지 여부를 다룬 판례입니다. 법원은 '시공사'로 참여한 업체는 담합 가담 여부와 관계없이 설계보상비를 반환해야 하지만, '설계사'는 반환 의무가 없다고 판결했습니다.

#4대강#설계보상비#반환소송#담합

일반행정판례

건설사 입찰 담합, 솜방망이 처벌은 없다!

두 건설사가 담합하여 공공입찰에 참여한 사건에서, 담합에 가담한 건설사가 공정거래위원회 조사에 협조했음에도 과징금 감면을 받지 못한 사례입니다. 법원은 공정위의 과징금 감면 거부가 정당하다고 판결했습니다.

#건설사#담합#과징금 감면 거부#공정위

형사판례

건설사 담합, 출혈경쟁 막으려고 해도 불법!

건설사들이 서로 짜고 입찰 가격을 미리 정하는 담합은, 비록 과도한 경쟁을 막기 위한 것이라 해도 불법이다.

#건설공사#입찰 담합#불법#출혈경쟁 방지

형사판례

영등포역 지하도상가 입찰 담합, 유죄일까? 무죄일까?

영등포역 지하도상가 위탁 운영 입찰에서 기존 상인들이 담합하여 모두 최고가로 입찰한 행위에 대해 대법원은 입찰방해죄를 인정했습니다. 모든 입찰 참가자가 담합하지 않았더라도 입찰의 공정성을 해친다면 입찰방해죄가 성립한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입찰방해죄#담합#최고가 입찰#공정성

형사판례

건설업계 비리, 대법원 판결 파헤치기!

건설공사 입찰 관련 비리 사건에서 건설산업기본법 위반과 배임수재죄의 관계, 건설산업기본법 위반죄의 주체, 그리고 건설산업기본법과 형법의 관계에 대해 다룬 판례입니다. 특히, 건설산업기본법 위반이 배임수재죄와 별개의 죄인지, 특별법 관계인지에 대한 판단이 핵심입니다.

#건설산업기본법 위반#배임수재죄#특별법 관계#보호법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