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22.07.28

형사판례

공동피고인, 너도 같이 무죄! 검사만 항소했어도 파기될 수 있다?

여러 사람이 함께 재판을 받는 경우, 즉 공동피고인이 있는 경우에는 재판 결과가 서로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특히 항소심에서 한 명의 피고인에게 유리한 판결이 나오면, 다른 공동피고인에게도 긍정적인 결과가 이어질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공동피고인과 관련된 흥미로운 판례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이번 사건은 피고인 1, 2, 3이 함께 재판을 받았는데, 1심에서 모두 무죄를 선고받았습니다. 그런데 검사는 피고인 3에 대해서만 불복하여 항소했습니다. 피고인 1과 2에 대해서는 항소하지 않았죠. 항소심 법원은 검사의 주장을 받아들여 피고인 3에게 무죄를 선고한 원심판결을 파기했습니다. 그런데 놀라운 것은 피고인 1과 2에 대한 원심판결도 함께 파기되었다는 점입니다.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할까요? 바로 형사소송법 제364조의2 때문입니다. 이 조항은 항소심에서 피고인에게 유리하게 판결이 파기되는 경우, 그 파기 사유가 다른 공동피고인에게도 적용된다면 그 공동피고인의 판결도 함께 파기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공동피고인 사이의 재판 공평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죠.

이 사건에서 핵심 쟁점은 "'항소한 공동피고인'에 검사만 항소한 경우도 포함되는가?"였습니다. 대법원은 "그렇다"라고 판단했습니다. 즉, 피고인 자신이 항소하지 않았더라도, 검사가 다른 공동피고인에 대해 항소했고, 그 파기 사유가 자신에게도 공통된다면, 자신의 판결도 함께 파기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대법원은 형사소송법 제364조의2의 입법 취지가 공동피고인 상호 간의 재판의 공평을 도모하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취지를 고려할 때, '항소한 공동피고인'에는 피고인 스스로 항소한 경우뿐 아니라 검사만 항소한 경우도 포함된다고 판시했습니다. (대법원 2003. 2. 26. 선고 2002도6834 판결, 대법원 2019. 8. 29. 선고 2018도14303 전원합의체 판결 참조)

이 판례는 공동피고인이 있는 사건에서 한 명에 대한 항소심 판결이 다른 피고인들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입니다. 공동피고인으로 재판을 받는 경우, 형사소송법 제364조의2의 내용을 숙지하고 자신의 권리를 보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검사와 피고인이 함께 상소했을 때, 법원의 판단은?

여러 죄를 한꺼번에 저지른 경우(경합범), 일부 죄는 유죄, 일부 죄는 무죄 판결이 나왔을 때 검사와 피고인의 상고에 따라 파기되는 범위와 형량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그리고 불이익변경금지 원칙이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다룬 판례입니다.

#경합범#상고#파기범위#불이익변경금지 원칙

형사판례

검사와 피고인 모두 항소했을 때, 법원은 어떤 판단을 할까?

피고인과 검사 모두 항소한 경우, 법원은 피고인에게 더 불리한 판결을 내릴 수 있습니다. 또한 검사가 형량이 낮은 법을 적용해달라고 요청했을 경우, 법원은 더 무거운 법을 적용할 수 없습니다. 마지막으로, 피고인은 자신에게 불리한 주장을 상고 이유로 삼을 수 없습니다.

#불이익변경금지 원칙#쌍방항소#검사 상소#특별법

형사판례

검사가 기소하지 않은 죄로 유죄 판결을 받을 수 있을까요?

검사가 공소장에 피고인으로 적시하지 않은 사람에 대해 법원이 유죄 판결을 내린 것은 잘못이라는 판례입니다. 법원은 검사가 기소한 내용에 대해서만 판단할 수 있습니다.

#공소장#피고인#유죄판결#협박

형사판례

검사만 항소했는데, 나도 상고할 수 있을까?

1심 판결에 대해 검사만 형량이 부당하다고 항소했을 때, 피고인은 사실 관계가 잘못되었거나 법을 잘못 적용했다는 이유로 대법원에 상고할 수 없다.

#검사 항소#피고인 상고 제한#사실오인#법령위반

형사판례

검사만 항소했는데 나도 불복할 수 있을까?

1심 판결에 대해 검사만 형량이 부당하다고 항소했을 때, 피고인은 사실관계가 틀렸다거나 법을 잘못 적용했다는 등의 이유로 대법원에 상고할 수 없다.

#검사 항소#피고인 상고 제한#형량 이외 상고 불가#상고 기각

형사판례

검사와 피고인 둘 다 항소했는데, 한쪽만 이유 있다면?

검사와 피고인 모두 재판 결과에 불복하여 상소했는데, 한쪽의 상소는 이유가 있고 다른 한쪽의 상소는 이유가 없어서 원래 판결을 뒤집고 새로 판결하는 경우, 이유 없는 상소에 대해서도 판결문에 '상소 기각'이라고 꼭 써야 할까요? 아닙니다.

#상소#기각#주문#판결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