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1.09.08

일반행정판례

공장 설립 불허, 적법할까요? 상수원보호구역 근처 공장, 문제 없을까요?

최근 환경 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개발과 환경 보호 사이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오늘은 상수원보호구역 근처에 공장을 설립하려다 불허 처분을 받은 사례를 통해, 관련 법규와 판례를 살펴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A 회사는 천안시에 공장을 설립하려고 승인 신청을 했습니다. 그런데 천안시장은 공장 부지가 상수원보호구역에서 상류로 800m밖에 떨어져 있지 않다는 이유로 승인 신청을 거부했습니다. '산업입지의 개발에 관한 통합지침'에 따르면 이런 곳에는 공장을 설립할 수 없다는 것이죠. A 회사는 이에 불복하여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쟁점

이 사건의 핵심 쟁점은 두 가지입니다. 첫째, '산업입지의 개발에 관한 통합지침'이 법적인 구속력을 가지는가? 둘째, 천안시장의 불허 처분이 적법한가?

판결

대법원은 '산업입지의 개발에 관한 통합지침'은 법규명령으로서의 효력을 가진다고 판단했습니다. 이 지침은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이하 산업입지법) 제40조 제1항, 제3항, 산업입지법 시행령 제45조 제1항에 따라 제정되었으며, 법령의 위임 범위를 벗어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대법원 1987. 9. 29. 선고 86누484 판결, 대법원 2008. 4. 10. 선고 2007두4841 판결 등 참조)

또한, 대법원은 천안시장의 불허 처분이 적법하다고 판단했습니다. '산업입지의 개발에 관한 통합지침' 제36조 제1항 제6호는 상수원보호구역 상류 일정 거리 이내에는 공장 설립을 제한하고 있는데, 이는 구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9조 제2항에서 정한 '관계 법령'에 해당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천안시장은 이 지침에 따라 공장설립승인신청을 거부할 수 있다는 것이 대법원의 판단입니다.

결론

이 판례는 상수원보호구역 근처의 개발에 대한 법적 기준을 명확히 제시하고 있습니다. '산업입지의 개발에 관한 통합지침'과 같은 행정규칙도 법령의 위임 범위 내에서 법적 구속력을 가질 수 있으며, 환경 보호를 위해 공장 설립을 제한하는 것이 정당화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개발과 환경 보호 사이의 균형을 위해서는 관련 법규와 판례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농업용 저수지 인근 공장설립, 안돼요!

국토해양부와 환경부가 함께 만든 '산업입지의 개발에 관한 통합지침'은 법적인 효력을 가지는 규칙이며, 이를 근거로 지자체가 공장 설립 승인을 거부할 수 있다. 특히, 농업용 저수지 근처에 공장 설립을 제한하는 규정은 유효하다.

#산업입지#통합지침#법규명령#공장설립

일반행정판례

공장 설립, 환경 문제로 발목 잡히다 - 개발행위허가와 재량권

환경 오염 우려가 있는 공장 설립 신청에 대해 행정청이 개발행위허가 기준 미충족을 이유로 승인을 거부할 수 있으며, 이러한 행정청의 판단은 폭넓게 존중된다는 대법원 판결.

#공장설립#승인거부#행정청#재량권

형사판례

계획관리지역 내 특정수질유해물질 배출 공장 설치, 합법일까? 불법일까?

계획관리지역 내에 수질오염물질 배출 기준을 초과하는 공장 설립을 제한하는 법령이 위헌 또는 위법인지 여부에 대한 대법원 판결. 대법원은 해당 법령이 위헌이나 위법이 아니라고 판단.

#계획관리지역#특정수질유해물질#공장설립제한#위헌심사

일반행정판례

산업단지 내 공장 설립, 허가는 필수! 아스콘 공장 건축 불허가 처분, 정당한가?

산업단지 내 공장 부지를 분양받아 입주계약을 체결했더라도, 실제 공장을 짓기 위해서는 건축법과 국토계획법에 따른 건축허가와 개발행위허가를 별도로 받아야 한다. 특히 환경오염 우려가 있는 경우, 행정청의 불허가 처분은 폭넓게 존중된다.

#산업단지#공장 건축#입주계약#건축허가

일반행정판례

계획관리지역에서 특정대기유해물질 배출 공장 설립, 가능할까?

계획관리지역에서 특정대기유해물질을 배출하는 공장 설치를 금지하는 법령이 직업수행의 자유와 재산권을 침해하는지 여부가 쟁점이었으며, 대법원은 위헌이 아니라고 판단했습니다.

#계획관리지역#특정대기유해물질#배출시설#설치금지

일반행정판례

산업단지 내 공장 신설, 증설, 업종변경과 관련된 수도법 해석 논란

상수원 보호를 위해 공장설립이 제한되는 지역 내 기존 산업단지에서의 공장 신설 허용 여부를 다룬 수도법 시행령 부칙 조항의 해석과, 사업인정에 대한 이의제기 기간이 지난 후에 사업인정 자체의 위법성을 주장할 수 있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수도법 시행령#산업단지#공장 신설#상수원보호구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