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정에서 진실만을 말해야 한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는 사실입니다. 하지만 만약 기억이 잘못되어 사실과 다른 증언을 하게 된다면, 그것도 위증죄가 될까요? 오늘은 기억의 착오와 위증죄의 경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이 사건은 피고인 1과 2가 법정에서 위증을 했다는 혐의로 기소된 사건입니다. 피고인 1은 특정 건물 지하실 공사비 지급 여부와 지하실 일부 구역의 소유권에 대해 사실과 다른 증언을 했다는 혐의를 받았습니다. 피고인 2에 대해서는 원심 유죄 판결이 유지되었습니다.
쟁점
핵심 쟁점은 피고인 1의 증언이 '의도적인 거짓말(위증)'인지, 아니면 '단순한 기억의 착오'인지 판단하는 것이었습니다. 단순히 사실과 다르다고 해서 모두 위증이 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위증죄를 판단할 때, 증언의 일부분만 보는 것이 아니라 증언 전체를 살펴봐야 한다고 판시했습니다. 만약 증인이 어떤 착오에 빠져 자신이 사실과 다르게 말하고 있다は 것을 인지하지 못했다면, 위증의 고의를 인정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이 사건에서 피고인 1은 해당 건물 지하실의 소유 관계에 대해 일관되게 자신의 생각을 진술했고, 그의 주장대로라면 오히려 자신에게 불리한 결과가 초래될 수도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이러한 점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피고인 1이 단순한 착오로 인해 사실과 다르게 증언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 대법원의 판단이었습니다. 따라서 원심은 피고인 1의 위증 혐의에 대해 심리를 다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파기 환송되었습니다.
핵심 정리
관련 법조항 및 판례
이처럼 위증죄는 단순히 진실과 다름을 넘어, '고의'라는 주관적인 요소까지 판단해야 하는 복잡한 문제입니다. 따라서 법원은 증언 전체 맥락과 증인의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신중하게 판단해야 할 것입니다.
형사판례
법정에서 증언할 때 일부분이 사실과 다르더라도 전체적인 맥락에서 진실을 말하려는 의도였다면 위증죄로 처벌할 수 없다는 대법원 판결.
형사판례
증인의 증언 중 일부가 사실과 다르더라도, 전체적인 증언의 취지가 사실과 일치하고 고의로 거짓말을 하려는 의도가 없었다면 위증죄로 처벌할 수 없다.
형사판례
법정에서 증인이 거짓말을 했는지 판단할 때는 발언 하나하나만 보지 말고 증언 전체의 흐름을 봐야 한다는 대법원 판결입니다.
형사판례
법정에서 증언할 때 사소한 부분에서 기억과 다른 말을 했다고 해서 무조건 위증죄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증언 전체의 맥락과 객관적인 사실, 그리고 실수나 오해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형사판례
법원은 위증죄 여부를 판단할 때 증언의 일부분만 보지 않고 전체적인 맥락을 고려해야 하며, 증언이 모호할 경우에는 상황과 발언의 의도를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이 판례에서는 피고인의 증언이 전체 맥락상 위증이 아니라고 판단했습니다.
형사판례
법정에서 증언할 때, 사소한 부분에서 기억과 다른 진술을 하더라도 전체적인 맥락에서 진실과 부합한다면 위증죄로 처벌받지 않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