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1.06.01

민사판례

내 부동산은 내가 지킨다! 공동보증, 물상보증인의 권리

돈을 빌릴 때, 나 혼자 부족하면 다른 사람의 부동산을 담보로 제공하는 경우가 있죠. 이를 '물상보증'이라고 합니다. 여럿이 함께 물상보증을 서는 '공동보증'의 경우, 만약 문제가 생기면 어떻게 될까요?

오늘은 공동저당의 목적 부동산 중 일부가 경매로 넘어갔을 때, 물상보증인의 권리와 관련된 법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특히, 다른 사람의 빚보증을 섰다가 내 재산에 손해가 발생하는 상황을 막기 위한 법적 장치들을 알아보겠습니다.

복잡한 상황, 쉽게 풀어보자!

A, B, C 세 사람이 친구 D의 사업자금 마련을 위해 은행에서 돈을 빌리는 것을 도와줍니다. A, B, C는 각자 자신의 부동산을 담보로 제공하는 공동물상보증인이 됩니다. 이때 D의 부동산에도 저당이 설정됩니다.

만약 D가 돈을 갚지 못해 B의 부동산이 먼저 경매로 넘어간다면 어떻게 될까요? B는 억울하게 자신의 재산을 잃을까요?

법은 B를 보호합니다!

B는 경매 대금으로 은행 빚을 대신 갚았기 때문에, D에게 갚으라고 요구할 수 있는 구상권을 갖게 됩니다 (민법 제481조). 뿐만 아니라, D의 부동산에 설정된 은행의 저당권을 마치 자신이 가진 것처럼 행사할 수 있습니다 (변제자대위, 민법 제482조).

다른 물상보증인(A, C)의 부동산은 어떻게 될까요?

B는 A와 C의 부동산에도 설정된 은행의 저당권을 대신 행사할 수 있습니다. 만약 A와 C의 부동산에도 다른 사람(후순위저당권자)의 저당권이 설정되어 있다면, B는 그들보다 먼저 돈을 받을 권리가 있습니다 (물상대위). 즉, B는 자신의 손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법적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핵심 정리

  • 물상보증인은 빚을 대신 갚으면 채무자에게 구상권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 물상보증인은 채무자의 부동산에 설정된 저당권을 대신 행사할 수 있습니다 (변제자대위).
  • 다른 물상보증인의 부동산에 설정된 저당권에도 우선권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물상대위).

관련 법 조항 (민법)

  • 제341조 (공동저당)
  • 제342조 (공동저당과 물상보증인)
  • 제368조 제2항 (경매, 변제충당)
  • 제370조 (변제, 저당권소멸)
  • 제481조 (변제자대위, 구상권)
  • 제482조 (변제자대위, 권리행사)

참고 판례

  • 대법원 1994. 5. 10. 선고 93다25417 판결

이처럼 법은 억울하게 손해를 보는 물상보증인을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물상보증을 서기 전에 관련 법 조항과 판례를 꼼꼼히 살펴보고, 자신의 권리를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물상보증인의 부동산, 내 권리를 지킬 수 있을까? - 공동저당과 대위행사

돈을 빌린 사람(채무자)의 부동산과 보증인(물상보증인)의 부동산 모두에 저당권이 설정된 경우, 채무자 부동산이 먼저 경매로 팔려 1순위 저당권자가 돈을 다 받았다면, 채무자 부동산의 2순위 저당권자는 1순위 저당권자의 권리를 이용하여 보증인의 부동산에 대해 자신의 저당권을 행사할 수 없다. 이는 2순위 저당권 설정 후 보증인의 부동산이 추가로 저당 설정된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물상보증인#후순위저당권#대위권불인정#저당권

민사판례

내 부동산은 내가 지킨다! 물상보증인의 권리와 한계

채무자와 물상보증인의 부동산에 공동저당이 설정된 경우, 물상보증인의 부동산이 먼저 경매되어 채권이 변제되면, 물상보증인은 채무자에게 구상권을 행사하고 채무자 부동산의 선순위저당권을 대위취득합니다. 이때, 물상보증인 부동산의 후순위저당권자는 물상보증인이 대위취득한 저당권에 대해 물상대위를 행사할 수 있으며, 채무자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물상보증인에 대한 반대채권으로 후순위저당권자에게 대항할 수 없습니다.

#물상보증인#구상권#후순위저당권#물상대위

민사판례

내 부동산은 왜 먼저 압류당했나요? - 공동저당과 물상보증인의 눈물겨운 이야기

돈을 빌릴 때 채무자 본인의 부동산뿐 아니라 다른 사람(물상보증인)의 부동산도 함께 담보로 제공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만약 돈을 갚지 못해 두 부동산이 모두 경매에 넘어간다면, 경매 대금은 어떻게 나누어야 할까요? 이 판례는 채무자의 부동산부터 먼저 배당하고, 남은 빚이 있을 때만 물상보증인의 부동산에서 배당해야 한다고 판결했습니다.

#채무자#물상보증인#부동산#경매

상담사례

내 부동산이 경매에 넘어갈 뻔했어요! 물상보증, 이럴 땐 어떻게 해야 할까요?

타인의 대출에 본인 명의 부동산을 담보 제공(물상보증) 후 대출금을 대신 변제한 경우, 실제 대출 사용자에게 구상권을 행사할 수 있지만, 단순 명의대여라면 실제 사용자가 진짜 채무자임을 믿었고 명의대여에 대한 책임이 상대방에게 있는 경우에만 가능하다.

#물상보증#경매#구상권#대위변제

민사판례

물상보증인, 빚 대신 갚아주고 미리 돈 달라고 할 수 있을까?

돈을 빌린 사람 대신 부동산 등으로 담보를 제공한 사람(물상보증인)은 돈을 갚기 전에 빌린 사람에게 미리 돈을 달라고 요구할 권리(사전구상권)가 없다.

#물상보증인#사전구상권#없음#담보

민사판례

내 보증인 집까지 압류당할 수 있나요? - 공동저당과 후순위저당권자의 대위

빚 보증으로 여러 부동산에 저당이 설정된 경우, 채무자 소유 부동산이 먼저 팔려 선순위 저당권자가 돈을 다 받았다면, 후순위 저당권자는 보증인 소유 부동산에 대해 선순위 저당권자의 권리를 대신 행사할 수 없다.

#공동저당#후순위저당권자#대위권#보증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