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8.10.25

세무판례

명의신탁, 조세회피 목적 없다면 증여세 부과는 부당

오늘은 명의신탁과 관련된 중요한 판례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특히 조세회피 목적이 없을 경우 명의신탁에 따른 증여세 부과가 정당한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사건의 개요

원고 2는 말레이시아 법인(C.C.C.)을 통해 국내 기업(열림기술) 주식을 취득했습니다. 이후 열림기술의 코스닥 상장 과정에서, 상장 주관사는 C.C.C.가 명목회사라는 점이 상장 심사에 걸림돌이 된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에 원고 2는 C.C.C.가 보유하던 열림기술 주식을 원고 1(싱가폴 거주자)에게 명의신탁했습니다. 세무서는 이를 조세회피 목적의 명의신탁으로 보고 증여세를 부과했고, 원고들은 이에 불복하여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핵심 쟁점

  • C.C.C. 명의의 주식 실소유주가 누구인지, 그리고 명의신탁 약정이 실제로 존재했는지
  • 명의신탁의 목적이 조세회피였는지

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원심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으로 환송했습니다. 핵심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명의신탁 주체: 원고 2 개인이 아니라, 말레이시아 법인 C.C.C.가 명의신탁의 주체라고 보았습니다. 원고 2가 C.C.C.를 지배하고 있다는 사실만으로 C.C.C.의 법인격을 무시할 수는 없다는 것입니다. C.C.C.는 자체적으로 열림기술 주식을 취득했고, 이후 상장 문제로 원고 1에게 명의신탁을 한 것이라고 판단했습니다.

  2. 조세회피 목적 부정: 법원은 명의신탁의 목적이 조세회피가 아니라고 판단했습니다. 코스닥 상장을 위해 명의신탁을 했다는 명확한 이유가 있었고, 명의신탁으로 인한 조세 감면 효과는 미미했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습니다. 상장은 C.C.C.의 투자 이익 확대를 위한 중요한 기회였고, 상장 주관사의 권고에 따라 명의신탁이 이루어졌다는 점이 인정되었습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 구 상속세 및 증여세법(2007. 12. 31. 법률 제882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45조의2 제1항: 명의신탁재산의 증여의제 규정
  • 대법원 2017. 5. 30. 선고 2017두31460 판결: 명의신탁 설정 합의 입증 책임은 과세관청에 있음
  • 대법원 2006. 5. 12. 선고 2004두7733 판결 등: 명의신탁이 조세회피 목적이 아닌 다른 이유에서 이루어지고 사소한 조세경감이 생긴 경우, 조세회피 목적을 인정할 수 없음

결론

이 판례는 명의신탁이라고 해서 무조건 조세회피 목적이 있다고 단정 지을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조세회피 이외의 다른 목적이 있었고, 조세 감면 효과가 미미하다면 증여세 부과는 부당하다는 것이 대법원의 입장입니다. 명의신탁 관련 세금 문제에 직면했을 때, 이 판례는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주식 명의신탁, 조세회피 목적 없다면 증여세 부과는 부당!

방송 경력 요건을 충족하기 위해 타인 명의로 주식을 취득한 경우, 조세 회피 목적이 없었다면 증여세 부과는 부당하다. 명의신탁을 했다고 해서 무조건 증여세를 부과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조세를 회피하려는 목적이 있었는지를 따져봐야 한다는 대법원 판결.

#주식 명의신탁#증여세 부과#조세회피 목적#KBS 제작단

세무판례

주식 명의신탁, 조세회피 목적 없다면 증여세 부과는 부당!

회사 우회상장 과정에서 최대주주가 지인 명의로 주식을 취득한 행위에 대해 조세회피 목적이 없다고 판단하여 증여세 부과처분을 취소한 사례.

#주식 명의신탁#조세회피#우회상장#증여세

세무판례

주식 명의신탁과 조세 회피 목적: 증여세 부과 가능성

다른 사람 이름으로 주식을 보유하는 명의신탁은 조세 회피 목적이 없다는 것을 명의자가 증명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증여로 간주되어 세금을 내야 합니다. 이 판례에서는 친척 이름으로 주식을 명의신탁한 경우, 조세 회피 목적이 없었다는 것을 충분히 입증하지 못해 증여로 인정되었습니다.

#명의신탁#주식#조세회피#증여

세무판례

주식 명의신탁과 증여세, 꼭 내야 할까?

단순히 회사 설립 요건을 충족하거나 직원에게 주식을 주기 위한 명의신탁은 조세회피 목적이 없다고 판단하여 증여세 부과가 부당하다고 본 판례입니다. 즉, 명의신탁을 했다고 해서 무조건 증여세를 내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조세를 회피하려는 목적이 있었는지가 중요합니다.

#명의신탁#조세회피#증여의제#상속세법

세무판례

주식 명의신탁과 증여세, 알고 계셨나요?

회사가 주가 조작을 위해 타인 명의로 자사주를 매입한 후, 다른 사람들에게 넘기고 명의도 변경했는데, 이 경우 명의를 받은 사람에게 증여세를 부과할 수 있다는 판결입니다. 명의신탁이 불법이더라도, 조세 회피 목적이 있었다면 증여로 간주하여 세금을 매길 수 있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명의신탁#주식#증여세#주가조작

세무판례

명의신탁, 조세 회피 목적 없다면 증여세 부과는 부당!

해외 거주자가 회사 업무 편의를 위해 타인 명의로 주식을 보유했을 때, 조세 회피 목적이 없다고 판단하여 증여세 부과 처분을 취소한 사례.

#주식 명의신탁#조세회피#증여세#해외거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