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5.02.28

민사판례

본소 기각 판결에 예비적 청구 기각까지 포함된다고?

법원 판결을 보면 가끔 "본소 청구 기각"이라는 주문만 있고 예비적 청구에 대한 언급이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예비적 청구는 어떻게 된 걸까요? 오늘은 본소와 예비적 청구의 관계에 대한 흥미로운 판례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원고는 피고에게 특정한 요구를 하는 본소 청구를 제기했고, 만약 본소 청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를 대비해 예비적 청구도 함께 제출했습니다. 쉽게 말해 "Plan A가 안되면 Plan B라도 해주세요!"라는 것이죠.

1심 법원은 원고의 본소 청구와 예비적 청구를 모두 기각했습니다. 하지만 항소심에서는 1심 판결을 취소하고 본소 청구를 기각한다는 판결만 내렸습니다. 예비적 청구에 대해서는 별도의 언급이 없었죠. 이에 원고는 대법원에 상고하며 예비적 청구에 대한 판단이 누락되었다고 주장했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원고의 상고를 기각했습니다. 즉, 항소심 판결에 문제가 없다는 것이죠. 대법원은 다음과 같은 논리로 판단했습니다.

  • 원고의 예비적 청구는 본소 청구에 대한 예비적 청구였습니다. 즉, 본소 청구에 종속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죠.
  • 항소심은 판결 이유에서 예비적 청구에 대해서도 판단하고 기각했습니다.
  • 따라서, 항소심에서 "본소 청구 기각" 판결을 내린 것은 본소 청구뿐만 아니라 그에 종속된 예비적 청구까지 기각한다는 의미를 포함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별도로 예비적 청구 기각을 명시하지 않았더라도 말이죠.

관련 법조항 및 판례

  • 민사소송법 제193조 (주문) : 판결에는 주문과 이유를 적어야 한다.
  • 민사소송법 제198조 (판결의 방식) : 판결은 서면으로 하여야 한다.
  • 대법원 1991.10.11. 선고 91다14604 판결: 이번 사건과 유사한 판례입니다. 본소 청구 기각 판결에 예비적 청구 기각 취지가 포함된다고 본 사례입니다.
  • 대법원 1968.5.28. 선고 68다508 판결: 이 판례 역시 참조 판례로 제시되었습니다.

결론

본소 청구에 대한 예비적 청구는 본소 청구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고, 판결 이유에서 예비적 청구에 대한 판단이 있었다면, 주문에서 "본소 청구 기각"이라는 표현만으로도 예비적 청구까지 기각된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번 판례는 본소와 예비적 청구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것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주위적 청구 기각 시 예비적 청구는 어떻게 되나요?

소송에서 주 청구(주위적 청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법원은 반드시 예비 청구(예비적 청구)에 대해서도 판단해야 합니다. 만약 법원이 예비 청구를 판단하지 않으면, 그 부분은 상급 법원(항소심)에서 다시 다뤄지게 됩니다.

#주위적 청구#예비적 청구#기각#심판 의무

민사판례

주위적 청구 기각 후 예비적 청구 판단 안 하면 어떻게 될까요?

소송에서 주장이 주위적, 예비적으로 나뉘어 있는 경우, 법원은 주위적 청구가 기각되더라도 예비적 청구에 대해서도 판단해야 합니다. 만약 판단하지 않으면 판결에 잘못이 있는 것이고, 상소심에서는 예비적 청구 부분도 다시 심리하게 됩니다.

#주위적 청구 기각#예비적 청구 판단#판결 파기 환송#민사소송법

민사판례

반소청구 판단 누락 시 항소심의 처리

판결 이유에는 청구가 이유 없다고 적혀있더라도, 판결의 결론 부분인 주문에 그 내용이 없으면 재판이 누락된 것으로 봐야 합니다. 이 경우 누락된 부분은 아직 재판이 끝나지 않은 것이므로, 그 부분에 대한 상소는 적법하지 않습니다.

#주문누락#상소적법성#재판누락#항소각하

민사판례

항소심에서 새로운 청구 추가 및 판단 누락 시 주의할 점

이 판결은 항소심에서 새로운 청구가 추가되었을 때 주문에 어떻게 표시해야 하는지, 주위적 청구와 예비적 청구가 모두 기각될 경우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 그리고 판결문에 모든 주장을 일일이 기재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항소심#청구추가#주문표시#예비적병합

민사판례

주위적 청구 기각 후 예비적 청구 판단 누락, 항소심의 의무는?

소송에서 주된 청구(주위적 청구)가 기각될 경우를 대비해 예비적으로 하는 청구(예비적 청구)가 있는데, 법원이 주위적 청구를 기각하면서 예비적 청구에 대해 판단하지 않으면 위법하다는 판례입니다. 특히 예비적 청구의 취하 여부가 불분명한 경우, 법원은 당사자에게 의사를 확인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주위적 청구#예비적 청구#기각#판단 누락

민사판례

예비적 공동소송에서 누락된 당사자의 상소 가능성

여러 명을 상대로 주된 청구와 예비 청구를 함께 제기하는 소송에서, 법원이 예비 청구에 대해 판단하지 않고 주된 청구에 대해서만 일부 당사자에게 판결을 내린 경우, 해당 판결은 효력이 없으며, 누락된 당사자도 상소할 수 있다.

#예비적 공동소송#당사자 누락#판결 효력#상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