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사례

부동산 매매 예약, 기간 제한 알아보기! 🧐

부동산 매매, 특히 큰 금액이 오가는 거래인 만큼 신중하게 진행해야 하죠. '매매예약'이라는 제도를 활용하면 좀 더 안전하게 거래를 진행할 수 있는데요. 오늘은 매매예약, 그중에서도 예약 완결권 행사기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매매예약은 장래에 부동산을 매매하기로 미리 약속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때 예약을 건 사람에게는 '예약 완결권'이라는 게 주어지는데, 이 권리를 행사하면 실제 매매 계약이 성립하게 되는 거죠. 그런데 이 예약 완결권, 아무 때나 쓸 수 있는 건 아닙니다. 기간 제한이 있거든요!

기간 제한은 어떻게 정해질까요?

크게 두 가지 경우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1. 당사자 간 약정이 있는 경우: 매매예약을 할 때 "몇 년 안에 예약 완결권을 행사해야 한다"라고 미리 정해두는 경우입니다. 이런 약정이 있다면 약정된 기간 내에 권리를 행사해야 합니다.

  2. 당사자 간 약정이 없는 경우: 별도의 약정이 없다면, 예약이 성립한 날로부터 10년 이내에 예약 완결권을 행사해야 합니다.

핵심은 바로 '10년'입니다! 10년이라는 기간이 지나면 예약 완결권은 자동으로 소멸됩니다. 다시 말해, 10년이 지나면 더 이상 매매를 요구할 수 없게 되는 거죠.

그렇다면 약정 기간에 제한이 있을까요?

예를 들어 50년 후에 예약 완결권을 행사하기로 약정할 수 있을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약정 기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습니다! (대법원 2017. 1. 25. 선고 2016다42077 판결) 당사자 간 합의만 있다면 10년을 넘는 기간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물론 너무 긴 기간을 설정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겠지만, 법적으로는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법적 근거는 민법 제564조에 있습니다. 이 조항에 따르면, 예약 완결권은 일종의 형성권으로서 약정된 기간 또는 10년 내에 행사해야 하며, 기간이 지나면 소멸한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부동산 매매예약을 고려하고 있다면 예약 완결권의 행사기간을 꼼꼼하게 확인하고, 필요하다면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기간 제한을 잘못 이해하면 소중한 권리를 잃을 수도 있으니까요!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부동산 매매 예약, 약속한 기간까지는 지켜야죠!

부동산 매매예약 시, 매매계약을 완료할 수 있는 권리(완결권)의 행사기간은 당사자끼리 자유롭게 정할 수 있고, 법에서 정한 10년보다 길게 정해도 유효합니다.

#매매예약#완결권#행사기간#약정

민사판례

부동산 매매예약, 10년 안에 완료해야 효력 발생!

부동산 매매예약을 했을 때 매매계약을 확정짓는 권리(예약완결권)는 일정 기간 안에 행사해야 하며, 기간을 넘기면 효력을 잃는다. 단순히 부동산을 점유하고 있다고 해서 이 기간이 연장되지는 않는다.

#매매예약#예약완결권#행사기간#10년

민사판례

매매예약 완결권, 언제까지 행사할 수 있을까?

매매예약을 했더라도 실제 매매 효력을 발생시키는 '완결권'은 10년 안에 행사해야 하며, 그 기간은 예약 시점부터 계산된다는 판결입니다. 완결권 행사 가능 시점을 나중으로 미루는 별도 약속이 있더라도, 10년 제한은 예약 시점부터 적용됩니다.

#매매예약#완결권#10년 제한#제척기간

민사판례

백화점 점포 분양과 관련된 매매예약 완결권 행사

백화점 점포를 분양받기로 한 사람이 법적인 제한 때문에 한동안 분양을 받지 못했더라도, 나중에 제한이 풀리면 분양받을 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 다만, 그 권리는 예약일로부터 10년 안에 행사해야 한다. 법원은 이 기간(제척기간) 경과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매매예약완결권#제척기간(10년)#백화점 점포 분양#법원 확인 의무

민사판례

10년 넘은 매매예약, 소유권 주장할 수 있을까? - 가등기와 제척기간의 함정

매매예약 완결권은 10년 안에 행사해야 하고, 소송으로 행사할 경우 소장 부본이 10년 안에 상대방에게 도달해야 유효합니다. 또한, 특별한 법률 규정이 없는 한, 사실에 대한 증명 책임은 그 사실을 주장하는 사람에게 있습니다.

#매매예약#완결권#행사기간#10년

민사판례

부동산 매매계약, 언제 성립할까요? - 가격 미정, 계약 세부사항 미정이라도 매매계약 성립 가능!

매매계약은 미래 시점에 가격을 정하거나, 이행 시기·장소·담보책임 등 세부 조건이 정해지지 않았더라도 유효하게 성립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매도인이 소유권을 이전하고 매수인이 대금을 지급한다는 핵심 내용에 대한 합의가 있는지 여부이다.

#매매계약 성립#가격 미확정#이행 조건 미합의#목적물 특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