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매매계약을 할 때, 잔금을 제때 내지 못하면 계약이 자동으로 해제된다는 특약을 넣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그런데 정말 잔금 기한만 넘기면 무조건 계약이 끝나는 걸까요? 오늘은 대법원 판례를 통해 이 부분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사례 소개
A 지역주택조합(이하 'A조합')은 B씨로부터 토지를 매입하기로 계약했습니다. 계약서에는 A조합이 잔금 지급일까지 잔금을 치르지 못하면 계약금을 포기하고 계약은 "추후 협상"한다는 특약이 있었습니다. A조합은 기한 내에 잔금을 내지 못했지만, 몇 달 후 B씨에게 잔금의 일부를 지급하고 나머지는 법원에 공탁했습니다. B씨는 이에 대해 별다른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습니다. 그런데도 원심 법원은 A조합이 잔금 기일을 어겼으니 계약이 끝났다고 판결했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뒤집힌 원심 판결!
대법원은 원심 판결을 뒤집고 A조합의 손을 들어줬습니다. 핵심 내용은 이렇습니다.
핵심 정리
참고 법조항 및 판례
민사판례
부동산 매매계약에서 잔금 미지급 시 계약이 자동으로 해제된다는 약정이 있더라도,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단순히 잔금 지급기일이 지났다는 사실만으로는 계약이 자동 해제된 것으로 볼 수 없다. 다만, 매수인이 잔금 지급기일 연장을 요청하면서 새로운 기일까지 잔금을 지급하지 못하면 계약이 자동 해제되는 것을 감수하겠다는 특약을 한 경우에는 잔금 미지급 시 계약이 자동 해제된다.
민사판례
부동산 매매 계약에서 잔금을 기한 내에 내지 않으면 계약이 자동으로 해제된다는 특약을 했더라도, 단순히 기한이 지났다는 사실만으로는 계약이 해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매수인이 여러 번 잔금을 제때 내지 못했고, 스스로 기한 연장을 요청하며 새 기한까지 꼭 잔금을 내겠다고 약속하면서 만약 그때까지 내지 못하면 계약이 자동으로 해제되는 것을 감수하겠다고 추가 약속을 한 경우에는, 새 기한까지 잔금을 내지 않으면 계약이 자동으로 해제됩니다.
민사판례
부동산 매매계약서에 잔금 미납시 계약이 자동으로 해제된다는 조항이 있더라도, 매도인이 소유권 이전에 필요한 서류 등을 제공하는 등의 이행 제공을 하지 않았다면 계약은 자동 해제되지 않습니다. 매도인과 매수인의 의무는 동시이행관계에 있기 때문입니다.
민사판례
부동산 매매계약에서 잔금을 기한 내에 지급하지 않으면 계약이 자동으로 해제된다는 특약을 맺은 경우, 매도인이 등기이전 서류를 제공하지 않았더라도 계약이 해제될 수 있다는 판례입니다. 다만, 이는 매수인이 잔금 미지급 시 계약 해제에 동의하는 등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 한합니다.
민사판례
부동산 매매계약에서 잔금 미납시 계약이 자동 해제된다는 특약이 있더라도, 매도인은 원칙적으로 소유권 이전 등기를 해줄 준비를 해서 매수인이 잔금을 낼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하지만, 예외적으로 매도인의 이행제공 없이 잔금 미납만으로 계약이 해제되는 특약도 유효합니다. 또한, 잔금일 이후에도 매도인이 잔금의 일부를 받았다면 잔금일이 연장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민사판례
부동산 매매 계약서에 잔금 미납 시 계약이 자동 해제된다는 조항이 있더라도, 판매자가 등기이전에 필요한 서류를 제대로 제공하지 않았다면 계약 해제는 효력이 없습니다. 단순히 잔금 지급 기일이 지났다는 이유만으로는 계약을 해제할 수 없으며, 판매자는 잔금 지급과 동시에 소유권 이전 의무를 이행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