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9.10.15

민사판례

상속, 진짜 주인을 찾아서! 상속회복청구에 대한 모든 것

상속 문제, 생각보다 복잡하죠? 특히 나의 상속권을 누군가 침해하고 있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오늘은 상속회복청구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상속회복청구란 무엇일까요?

쉽게 말해, 진짜 상속인이 자기 몫을 찾아오는 소송입니다. 누군가 부당하게 상속재산을 가져갔다면, 진짜 상속인은 상속회복청구를 통해 자신의 권리를 되찾을 수 있습니다. 단순히 등기 말소만 청구하더라도, 그 근거가 상속이라면 상속회복청구소송으로 봅니다. (대법원 1991. 12. 24. 선고 90다5740 전원합의체 판결, 대법원 2007. 4. 26. 선고 2004다5570 판결)

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 기간은?

상속회복청구에도 기간 제한이 있습니다. 상속권 침해 사실을 안 날로부터 3년, 침해 행위가 있었던 날로부터 10년 안에 소송을 제기해야 합니다. (민법 제999조 제2항)

여기서 '상속권 침해행위가 있은 날'이란 가짜 상속인이 상속재산을 점유하거나 부동산 등기에 자신의 이름을 올린 날을 의미합니다. 만약 가짜 상속인으로부터 재산을 사들인 제3자가 있다면, 진짜 상속인은 제3자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할 수 있고, 이때는 제3자에게 소송을 제기한 날을 기준으로 제척기간을 판단합니다. 즉, 가짜 상속인에게는 소송을 제기하지 않았더라도, 제3자를 상대로 제척기간 내에 소송을 제기했다면 문제없습니다.

계모의 상속, 더욱 헷갈리시죠?

1990년 1월 13일 이전의 민법(구 민법)에서는 전처의 자녀와 계모는 법적으로 친자 관계로 간주했습니다. (구 민법 제773조) 따라서 계모가 사망했을 때, 전처의 자녀도 상속권을 가졌습니다. 만약 계모보다 전처의 자녀가 먼저 사망했다면, 그 자녀의 자녀가 대습상속을 받을 수 있습니다.

판례를 통해 살펴보는 상속회복청구

한 사례를 통해 좀 더 쉽게 이해해 볼까요? A라는 사람이 돌아가시면서 상속재산인 땅을 남겼는데, B가 가짜 상속인으로 나타나 자기 이름으로 등기를 했습니다. 그리고 B는 그 땅의 일부를 C와 D에게 팔았습니다. 이후 진짜 상속인 E가 나타나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이 경우, E는 C와 D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한 시점이 제척기간 이내라면 상속회복청구를 할 수 있습니다. B에게 소송을 제기하지 않았더라도 C와 D를 상대로 제척기간을 지켰다면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또한, A의 전처 자녀가 있다면 그들도 상속인이 될 수 있고, 만약 전처 자녀가 이미 사망했다면 그 자녀들이 대습상속인이 될 수 있습니다.

상속 문제, 어렵게만 느껴지셨나요? 상속회복청구와 관련된 법률 지식을 꼼꼼히 확인하고, 자신의 권리를 적극적으로 행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상속, 제대로 알고 받으세요! 진짜 상속인의 권리 찾기

진짜 상속인이 상속재산을 돌려달라고 소송을 제기할 때, 그 소송은 형식에 관계없이 '상속회복청구 소송'으로 봐야 한다. 또한, 이 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 기간(제척기간)이 지난 후에 소송을 제기하면 법원은 소송을 받아들이지 않고 각하해야 하는데, 만약 법원이 각하하지 않고 기각하더라도 그 판결은 본안에 대한 판단이 아니므로 나중에 다시 소송을 제기하는 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상속회복청구#제척기간#기각#각하

민사판례

상속회복청구에 대해 알아보자!

진짜 상속인이 가짜 상속인이나 그로부터 재산을 받은 사람에게 재산 반환을 청구하는 소송은 형식에 관계없이 '상속회복청구 소송'으로 봐야 하며, 옛날 상속의 경우에는 6년 안에 소송을 제기해야 합니다.

#상속회복청구#구 관습법#소멸시효(6년)#민법 제999조

생활법률

진짜 상속인이 나타났다! 상속회복청구권, 뭘까요?

가짜 상속인으로부터 상속재산을 되찾기 위한 상속회복청구권은 진짜 상속인이 침해 사실을 안 날로부터 3년, 침해 발생일로부터 10년 내에 소송을 통해 행사할 수 있으며, 승소 시 부당하게 취득한 상속재산 반환을 요구할 수 있다.

#상속회복청구권#참칭상속인#진짜 상속인#상속재산

민사판례

진짜 상속인이라면, 상속재산 돌려받는 소송은 '상속회복청구소송'!

진짜 상속인이 다른 상속인을 상대로 상속재산의 반환을 요구하는 소송은, 그 소송의 형태나 이유와 관계없이 상속회복청구소송으로 봐야 한다.

#상속회복청구소송#상속재산반환#제척기간#민법 제999조

민사판례

상속재산 다툼,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 상속회복청구 소송 이야기

진짜 상속인이 다른 상속인을 상대로 상속재산의 등기를 말소해달라고 소송을 제기하는 경우, 이는 상속회복청구소송에 해당하며, 이 소송에는 제척기간이 적용됩니다. 이 판례에서는 어떤 제척기간 규정을 적용해야 하는지가 쟁점이 되었습니다.

#상속회복청구권#제척기간#등기말소#소급적용

민사판례

상속회복청구, 아무 데나 쓸 수 있는 게 아니에요!

공동상속인 간 상속재산 명의신탁이 부동산실명법에 따라 무효가 된 경우, 명의수탁자를 상대로 한 소유권 반환 청구는 상속회복청구가 아니다.

#상속재산#명의신탁#무효#상속회복청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