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8.04.12

특허판례

상표권 취소 소송, 비슷한 상표 사용이 문제?!

안녕하세요! 오늘은 상표권 분쟁과 관련된 흥미로운 판결 이야기를 쉽게 풀어드리려고 합니다. 상표권은 사업에 있어 정말 중요한 자산이죠. 그런데 비슷한 상표를 사용하다가 분쟁에 휘말리는 경우가 종종 발생합니다. 오늘 소개할 사례도 바로 그런 경우입니다.

사건의 개요

A 회사는 B 회사로부터 ""와 ""라는 상표의 전용사용권을 받아 식기와 도자기 제품 카탈로그 등에 ""라는 상표(실사용상표)를 사용했습니다. 그런데 C 회사는 B 회사를 상대로 "B 회사의 등록상표가 D 회사가 사용 중인 ""(대상상표)와 유사하다"며 상표등록 취소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쟁점

이 사건의 핵심 쟁점은 A 회사가 사용한 실사용상표가 B 회사의 등록상표와 유사한 것으로 볼 수 있는지, 그리고 이것이 상표등록 취소 사유(구 상표법 제73조 제1항 제8호, 현행 제119조 제1항 제2호 참조)에 해당하는지 여부였습니다. 특히, 실사용상표가 등록상표를 변형한 것으로 볼 수 있는지가 중요한 쟁점이었습니다.

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실사용상표 ""의 핵심 부분이 등록상표 ""와 호칭이 동일하고 전체적으로 유사하다고 판단했습니다. 따라서 A 회사가 실사용상표를 사용한 것은 등록상표와 유사한 상표를 사용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고 했습니다.

더 나아가 법원은 상표등록 취소 사유가 되기 위해 반드시 등록상표를 변형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라고 명시했습니다. 실사용상표가 등록상표의 변형으로 볼 수 있는지 여부는 중요하지 않다는 것이죠.

결국 대법원은 원심 판결(특허법원 2017. 10. 20. 선고 2017허2543, 2550 판결) 중 B 회사가 승소한 부분을 파기하고 사건을 특허법원으로 돌려보냈습니다.

핵심 정리

이번 판결은 전용사용권자가 등록상표와 유사한 상표를 사용한 경우, 그것이 등록상표의 변형인지 여부와 관계없이 상표등록 취소 사유가 될 수 있다는 점을 명확히 했습니다. 상표권 분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등록상표와 유사한 상표 사용에 더욱 신중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는 판례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특허판례

나도 모르는 사이 상표권 취소?! 유사 상표 사용의 함정

여러 개의 비슷한 상표를 사용하던 기업이 그중 하나만 상표 등록하고, 나머지 미등록 상표를 계속 사용해서 소비자 혼란을 가중시킨 경우, 등록된 상표라도 취소될 수 있다.

#상표등록취소#미등록상표#소비자혼란#부정사용

특허판례

상표권 이전 후 사용권자의 상표 사용, 부정 사용일까?

상표권이 다른 사람에게 넘어간 후, 새 상표권자로부터 사용 허락을 받은 사람이 기존 상표와 비슷한 상표를 사용할 경우, 이를 상표의 부정 사용으로 볼 수 있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법원은 상표권 이전 전 사용자의 상표와 혼동을 일으킬 정도로 유사하게 사용하는 경우 부정 사용으로 볼 수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상표권 이전#사용권#부정사용#혼동

특허판례

상표권 분쟁, 누가 나서서 싸울 수 있을까? 그리고 상표는 어떻게 써야 할까?

누군가 상표등록을 취소해달라고 심판을 청구하려면 그 상표 때문에 직접적인 피해를 볼 우려가 있어야 하고, 결합상표의 경우 그 구성요소 중 일부만 사용하는 것은 상표를 제대로 사용한 것으로 보지 않는다는 판결.

#상표등록취소심판#이해관계인#결합상표#상표 사용

특허판례

상표권 분쟁, 취소심판 후 재등록에도 유사상표 판단은 그대로!

상표등록이 취소된 후, 취소심판 청구인에게 일정 기간 동일/유사 상표 등록에 대한 우선권을 주더라도, 다른 상표와의 유사성 심사는 여전히 똑같이 적용된다. 즉, 우선권이 있다고 해서 유사상표 등록이 무조건 허용되는 것은 아니다.

#상표등록취소#우선권#유사상표#심사기준

특허판례

내 상표, 내 회사가 써도 타인 사용? - 상표권 취소 주의보!

상표권자가 대표이사로 있는 회사가 해당 상표를 사용했더라도, 그 회사가 상표권자와 별개의 경영주체로서 독자적인 영업활동을 했다면 상표법상 '타인'의 사용으로 볼 수 있다.

#상표권#타인 사용#상표 등록 취소#독립 경영

특허판례

상표권, 그냥 비슷하게 쓰면 안 돼요!

등록상표와 완전히 똑같지 않더라도 비슷하게 변형해서 사용한 경우, 그 변형 정도가 상표의 본래 의미를 해치지 않는 수준이라면 상표권 유지를 위한 '사용'으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변형 정도가 커서 상표의 동일성을 해친다면 '사용'으로 인정되지 않아 상표권을 잃을 수 있습니다.

#상표#변형 사용#상표권 유지#동일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