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을 하다 보면 세금 문제는 정말 중요하죠. 특히 매출이나 비용을 제대로 기록하지 않으면 세무서에서 추측해서 세금을 매기는 추계과세를 당할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세무서가 무조건 추계과세를 할 수 있는 건 아니라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추계과세가 정당하게 이루어지기 위한 조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추계과세, 언제 할 수 있을까?
기본적으로 세무서는 사업자가 제출한 장부나 증빙자료를 꼼꼼히 확인하고 세금을 계산합니다. 만약 제출된 자료가 미심쩍다면, 사업자에게 부족한 부분을 지적하고 보완 자료를 제출받아 실지조사를 진행하죠. 실지조사를 해도 정확한 세금 계산이 어려울 때, 최후의 수단으로 추계과세를 할 수 있습니다. (부가가치세법 제21조 제2항 제1호)
그런데 만약 사업자가 처음부터 제대로 된 자료를 제출하지 않고, 나중에 보완할 가능성도 없다면 어떨까요? 이런 경우, 굳이 실지조사라는 형식적인 절차를 거치지 않고 바로 추계과세를 할 수 있다는 것이 대법원의 판단입니다. 즉, 실지조사를 해도 소용없다는 것이 명백하다면, 바로 추계과세가 가능하다는 것이죠. (대법원 1985. 11. 12. 선고 85누383 판결 등)
2. 추계과세, 어떻게 해야 할까?
추계과세를 할 때에도 세무서는 함부로 숫자를 잡아 세금을 매길 수 없습니다. 가장 실제와 가까운 금액을 반영하기 위해 합리적이고 타당한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부가가치세법 제21조 제2항) 또한, 사업자의 특수한 상황도 고려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법에 정해진 추계방식을 적용했더라도 사업자의 특별한 사정 때문에 결과가 불합리해진다면, 그 사정을 반영하여 다시 계산해야 합니다. (대법원 1985. 12. 10. 선고 85누495 판결 등)
실제 사례를 살펴볼까요?
석유 도소매업을 하는 사업자가 매출 세금계산서를 허위로 작성하여 제출한 경우, 세무서는 추계과세를 진행했습니다. 세무서는 국세청장이 정한 업종별 매매총이익률(9.31%)을 적용하여 매출액을 계산했는데, 사업자는 자신은 '오더거래' 방식으로 사업을 하기 때문에 실제 이익률은 2%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고 주장했습니다. 대법원은 사업자의 주장을 받아들여, 국세청장이 정한 이익률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사업자의 특수한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불합리한 추계라고 판단했습니다. (구 부가가치세법시행령 제69조 제1항)
결론적으로, 추계과세는 세금 계산이 어려울 때 사용하는 예외적인 방법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세무서가 마음대로 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합리적인 방법과 사업자의 특수한 상황을 고려하여 최대한 정확하게 세금을 계산해야 합니다.
세무판례
세무서가 장부가 없다는 이유로 비슷한 업종의 다른 가게 매출을 기준으로 세금을 추정해서 매겼는데, 법원은 두 가게의 위치 등 영업 환경이 달라 부당하다고 판결했습니다. 또한, 같은 기간에 대해 일부는 실제 조사, 일부는 추정으로 세금을 매기는 것도 안 된다고 했습니다.
세무판례
세무서가 추측으로 세금을 계산하려면 납세자가 제대로 된 장부나 증빙서류를 갖추지 않았다는 것을 증명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추측으로 계산한 세금 부과는 위법입니다.
세무판례
세무서가 세금을 추계로 계산하려면, 납세자가 제출한 자료가 부실하더라도 먼저 실제 금액을 확인하기 위한 조사를 충분히 해야 하며, 다른 유사 사업자와 비교하는 방식을 쓸 때는 비교 대상이 적절한지 꼼꼼히 따져야 한다.
세무판례
세무서가 회사 대표의 여러 은행 계좌 입금액 전체를 매출 누락으로 보고 세금을 부과했는데, 대법원은 그 계좌에는 회사 매출 외 다른 돈도 섞여 있어 이런 방식의 추계과세는 부당하다고 판결했습니다. 또한, 관련 형사 판결 내용이라도 과세 과정에 문제가 있다면 그대로 따라야 하는 것은 아니라고 밝혔습니다.
세무판례
소득세 계산은 실제 소득에 따라 하는 것이 원칙이며, 세무서가 추측으로 세금을 계산하려면 납세자의 장부가 엉터리여서 믿을 수 없고, 다른 방법으로도 실제 소득을 알아낼 수 없는 특별한 경우에만 가능하다. 설령 장부에 일부 거짓 내용이 있더라도, 나머지 부분이 정확하다면 그 부분을 바탕으로 실제 소득을 계산해야 한다.
세무판례
세금 계산의 기초가 되는 장부가 불완전하거나 허위일 경우, 세무서에서 추정하여 세금을 계산하는 추계과세를 할 수 있다. 설령 소송 중에 장부를 제출하더라도 그 장부가 여전히 불완전하거나 허위라면 추계과세는 유효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