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5.09.29

일반행정판례

음주운전 면허취소, 무조건 정당할까? 생계 위협하는 처분은 위법!

음주운전은 절대 해서는 안 되는 중대한 범죄행위입니다. 하지만 모든 음주운전에 대해 무조건 면허를 취소하는 것이 정당한 처분일까요? 오늘은 음주운전으로 면허가 취소되었지만, 법원에서 그 처분이 위법하다고 판결한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한 가구점 운전기사가 퇴근 후 집 앞에 도착했습니다. 주차할 곳을 찾아 골목길을 돌아다니던 중 경찰에게 음주운전으로 적발되었습니다. 다행히 사고는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경찰은 그에게 면허 취소 처분을 내렸습니다. 운전을 생업으로 하는 운전기사에게는 면허 취소가 생계에 직결되는 심각한 문제였습니다.

법원의 판단

법원은 이 운전기사의 면허 취소 처분이 재량권 남용이라고 판단했습니다. 음주운전이 면허 취소 사유에 해당하는 것은 맞지만, 이 경우에는 처분으로 인해 운전기사가 입게 될 불이익이 너무 크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즉, 도로교통법의 공익적 목적 달성보다 개인의 생계 위협이 더 크다고 판단한 것이죠. 이러한 판단의 근거는 이익교량의 원칙입니다. 행정 처분을 할 때는 공익과 개인의 이익을 비교하여 적절한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는 원칙입니다.

핵심 포인트

  • 단순히 음주운전 적발 사실만으로 면허를 취소하는 것은 부당할 수 있다.
  • 운전이 생계 수단인 경우, 면허 취소로 인한 불이익이 매우 크다.
  • 법원은 공익과 개인의 이익을 비교하여 처분의 적정성을 판단한다 (이익교량의 원칙).

관련 법조항 및 판례

  • 구 도로교통법 (1995.1.5. 법률 제482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41조 제1항, 제78조 제8호
  • 구 도로교통법시행규칙 (1995.3.25. 내무부령 제64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53조 제1항 [별표 16]
  • 행정소송법 제27조
  • 대법원 1989.11.24. 선고 89누4055 판결, 1990.10.16. 선고 90누4297 판결, 1990.10.30. 선고 90누4822 판결, 1991.5.10. 선고 91누1417 판결, 1991.6.11. 선고 91누2083 판결

이 사례는 음주운전 처분에 대한 법원의 판단이 단순히 법 조항 적용에 그치지 않고, 개인의 구체적인 상황과 이익까지 고려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물론 음주운전은 어떤 이유로도 정당화될 수 없으며, 절대로 해서는 안 되는 행위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판례를 통해 행정 처분의 기준과 그 한계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면허 취소? 너무 심한 거 아닌가요? - 음주운전 면허취소 처분, 정당할까요?

혈중알코올농도 0.28%의 만취 상태로 택시를 운전하다 사고를 낸 운전자의 면허 취소는, 생계가 어려워진다는 주장에도 불구하고 정당하다.

#음주운전#면허취소#생계곤란#공익

일반행정판례

음주운전, 사고 안 났다고 괜찮을까? 면허취소 정당한가 논란!

술을 마시고 운전했지만 사고는 내지 않은 경우에도 운전면허를 취소하는 것은 정당하다. 특히, 음주운전 전력이 있고 혈중알코올 농도가 높다면 면허취소는 재량권 남용이 아니다.

#음주운전#면허취소#사고 없음#재량권

일반행정판례

택시기사 음주운전 면허취소, 정당할까?

혈중알코올농도 0.19% 상태에서 신호대기 중인 차량을 추돌한 택시기사의 면허를 취소한 처분은 정당하다. 택시기사가 생계를 위해 운전면허가 필요하더라도 음주운전으로 인한 교통사고 예방이라는 공익이 더 중요하다.

#음주운전#택시기사#면허취소#재량권

일반행정판례

음주운전 면허취소, 무조건 정당할까?

도로교통법 시행규칙에 있는 운전면허 행정처분 기준표는 법적인 구속력이 없다. 즉, 법원이나 국민이 그 기준표대로 처분을 받아야 하는 것은 아니다.

#운전면허 행정처분 기준표#법적 구속력 없음#재량권#도로교통법 시행규칙

일반행정판례

음주운전 면허취소, 개인의 불이익보다 공익이 우선!

음주운전으로 면허가 취소된 공무원이 생계 곤란 등을 이유로 취소 처분이 부당하다고 주장했지만, 대법원은 음주운전으로 인한 교통사고 예방이라는 공익이 더 중요하다고 판결하여 면허취소 처분을 정당화했습니다.

#음주운전#면허취소#공익#불이익

일반행정판례

음주운전 면허취소, 정말 과할까요?

음주운전으로 면허가 취소된 경우, 개인적인 사정을 고려하더라도 음주운전 예방이라는 공익이 우선시되어 면허취소는 정당하다는 판결입니다. 125cc 이하 오토바이 음주운전으로 모든 종류의 운전면허가 취소되었더라도, 다른 차량 운전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라는 것입니다.

#음주운전#면허취소#재량권#공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