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3.09.10

민사판례

이미 없어진 직위해제, 무효확인 소송으로 다툴 수 있을까요?

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 학교 측과 갈등을 겪고 직위해제 처분을 받았다면 어떤 기분일까요? 억울함을 호소하고 싶고, 부당한 처분을 취소시키고 싶을 것입니다. 그런데 만약 학교 측에서 스스로 그 처분을 없던 것으로 만들었다면 어떨까요? 이미 없어진 처분을 대상으로 소송을 제기할 수 있을까요? 오늘은 이와 관련된 법원의 판단을 살펴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한 대학교 교수(원고)는 학교법인(피고)으로부터 직위해제 처분을 받았습니다. 학교 측은 처음에는 징계 사유가 있다고 주장하며 직위해제를 했지만, 나중에 징계 사유가 시효가 지났다는 것을 알게 되자 징계 요구를 철회했습니다. 그리고 기존 직위해제 처분을 다른 사유로 바꾸어 다시 직위해제 처분을 내렸습니다. 이에 교수는 처음 받았던 직위해제 처분이 무효라고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교수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학교 측이 징계 요구를 철회하고 직위해제 사유를 변경한 것은, 사실상 처음 내렸던 직위해제 처분을 스스로 철회한 것과 같다고 보았습니다. 즉, 처음 내려진 직위해제 처분은 이미 존재하지 않게 되었기 때문에, 그 처분의 무효확인을 구하는 소송은 더 이상 의미가 없다고 판단한 것입니다. 다시 말해, 이미 없어진 처분에 대해서는 무효확인을 구할 이익이 없다는 것입니다. (민사소송법 제228조 참조)

핵심 정리

  • 행정기관이 스스로 처분을 철회한 경우, 그 처분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봅니다.
  • 존재하지 않는 처분에 대해서는 무효확인 소송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 이 사건의 판결은 대법원 1993.7.27. 선고 92다40587 판결(공1993,2386)입니다.

이처럼 소송을 제기하기 전에 처분의 효력이 어떻게 되었는지 꼼꼼히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미 효력을 잃은 처분에 대해 소송을 제기하는 것은 시간과 비용만 낭비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해고된 교수, 임용기간 만료 후에도 해임처분 무효확인 소송을 제기할 수 있을까?

대학교수가 부당하게 해임되었다가 임용기간이 만료된 경우, 해임처분 자체는 무효가 되더라도 복직은 불가능하지만, 해임처분의 무효확인을 구할 이익은 여전히 존재한다.

#해임처분 무효확인#임용기간 만료#확인의 이익#임용결격사유

민사판례

직위해제 무효확인 소송, 언제 필요할까요? - 이미 해임된 교원의 경우

이미 해임된 교사가 이전에 받았던 직위해제 처분에 대해 무효확인소송을 제기했으나, 해임으로 교사 신분이 없어졌기 때문에 소송의 실익이 없어 기각되었습니다.

#직위해제#무효확인소송#해임#확인의 이익

일반행정판례

학교법인 임시이사 선임 후 정식이사 선임 시 과거 처분에 대한 무효확인 소송의 실익

학교법인에 분쟁이 생겨 감독청이 기존 이사들을 해임하고 임시이사를 선임한 후, 다시 정식이사를 선임했다면, 해임된 이사가 이전의 해임처분이나 임시이사 선임처분의 무효확인을 구하는 소송은 실익이 없다. 이미 정식이사로 복귀했기 때문에 과거 처분의 무효확인을 받더라도 얻을 이익이 없기 때문이다.

#학교법인#임시이사#정식이사#해임처분

민사판례

정년퇴임 후 받은 견책, 무효 확인 소송 가능할까?

대학교수가 정년퇴임한 후 받은 견책 처분에 대해 무효 확인 소송을 제기했지만, 법원은 소송을 제기할 자격(확인의 이익)이 없다고 판결했습니다. 견책 처분이 명예교수 추대 등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더라도 이는 사실상의 불이익일 뿐, 법적인 권리에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정년퇴임#견책처분#무효확인소송#확인의 이익

민사판례

기간제 교원, 임용기간 만료 후 직위해제·면직처분 무효확인 소송 가능할까?

기간제 사립학교 교원이 임용기간 만료 전 면직 등 불이익 처분을 받고 임용기간이 만료된 경우, 재임용 의무 규정이 없다면 교원 신분은 상실되며, 면직처분 무효확인 소송은 이익이 없다는 대법원 판결입니다. 이 판결은 이전 판례를 변경한 것이지만, 전원합의체가 아닌 부에서 판결하여 재심사유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으나, 최종적으로 재심청구는 기각되었습니다.

#기간제교원#면직처분 무효확인소송#소의 이익#재심

일반행정판례

내 자리에 다른 교수를? 그런데 소송은 못 걸어요?

같은 과 교수라도 다른 교수의 임용을 취소해달라고 소송을 낼 수 있는 자격이 없다. 단순히 같은 과 교수라는 사실만으로는 법적으로 보호받는 이익이 침해되었다고 보기 어렵다.

#국립대#교수임용#취소소송#원고적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