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8.05.22

민사판례

자기앞수표 예금과 은행의 권리

오늘은 자기앞수표를 예금했을 때 은행의 권리에 대한 중요한 판례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은행에 자기앞수표를 예금하면 은행은 단순히 수표를 맡아 추심만 해주는 걸까요? 아니면 그 이상의 권리를 갖게 될까요? 이번 판례를 통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A회사는 B은행에서 발행한 자기앞수표를 C은행에 예금했습니다. 그런데 C은행이 B은행에 수표를 제시했을 때 B은행은 지급을 거절했습니다. B은행은 A회사가 부도 직전임을 숨기고 수표를 발행받아 C은행에 예금한 후 부도를 냈다는 이유로, A회사와의 수표 발행계약을 취소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즉, A회사에 대한 문제를 이유로 C은행에도 수표를 지급할 수 없다는 것이죠. 이에 C은행은 B은행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법원의 판단

법원은 C은행의 손을 들어주었습니다. 왜 그럴까요?

  • 자기앞수표 예금 = 양도 : 법원은 자기앞수표를 예금받은 은행은 단순히 추심을 위임받은 것이 아니라, 수표를 양도받은 것으로 보았습니다. (수표법 제20조, 제22조, 제23조, 제39조) 즉, C은행은 A회사로부터 수표에 대한 모든 권리를 넘겨받은 것이죠. 대법원 1997. 3. 11. 선고 95다52444 판결에서도 이와 같은 판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은행의 수표상 권리 행사 : 수표를 양도받은 C은행은 수표의 소지인으로서 B은행에 대해 수표상의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B은행이 A회사와의 문제를 이유로 C은행에 대항하려면, C은행이 B은행을 해할 것을 알고 수표를 받았다는 것을 입증해야 합니다. 이 사건에서는 그런 사실이 없었기 때문에 B은행의 주장은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

  • 수표의 무인성 : 수표는 무인증권입니다. 즉, 수표를 주고받게 된 원인과 상관없이 수표 자체에 적힌 내용대로 권리가 행사됩니다. (수표법 제1조, 제22조) 따라서 C은행이 수표를 통해 어떤 이익을 얻었는지와 관계없이, 단순히 수표의 소지인이라는 사실만으로 수표상의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것입니다. (대법원 1984. 1. 24. 선고 82다카1405 판결, 대법원 1989. 10. 24. 선고 89다카1398 판결, 대법원 1997. 7. 25. 선고 96다52649 판결 참조)

핵심 정리

자기앞수표를 은행에 예금하면 은행은 수표를 양도받은 것으로 간주되어, 수표의 소지인으로서 모든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발행은행은 예금주와의 관계에서 발생한 문제를 이유로 예금받은 은행에 대항할 수 없습니다. 다만, 예금받은 은행이 발행은행을 해할 것을 알고 수표를 취득한 경우는 예외입니다. 이 점을 기억해두시면 자기앞수표 관련 금융 거래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분쟁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수표에 대한 지급금지 가처분, 내 권리는 어떻게 될까?

수표 제시 기간이 지나 돈을 못 받더라도, 수표 소지인은 은행에 부당이득반환청구를 할 수 있고, 지급금지 가처분이 있어도 대상이 수표 양수인이 아니면 수표금을 청구할 수 있다.

#수표#지급금지 가처분#부당이득반환청구#제시기간

민사판례

영업시간 외 수표 입금과 지급거절, 은행의 권리는?

은행이 영업시간 외에 받은 자기앞수표가 부도나더라도, 은행은 수표의 정당한 소지자로서 돈을 돌려받을 권리가 있다.

#영업시간 외 수표입금#수표부도#은행권리#정당한 소지자

민사판례

내 돈인데 왜 못 찾아? 은행에 돈 맡겼다가 분쟁에 휘말린 사연

다른 사람 이름으로 은행에 돈을 넣어도, 일단 통장에 적힌 이름의 사람이 예금주로 간주됩니다. 은행은 예금주와 돈을 넣은 사람 사이의 분쟁에 휘말리지 않기 위해 이러한 원칙을 따릅니다.

#예금명의자#예금주#금융실명제#대법원

민사판례

횡령 자금으로 만든 자기앞수표, 10년 후 은행은 돈을 돌려줘야 할까?

은행 직원이 횡령한 돈으로 자기앞수표를 발행받은 후, 피해 은행이 지급정지를 요청하고 그 후 수표의 권리 행사도 없이 오랜 시간이 지난 경우, 수표 발행 은행은 피해 은행에게 수표 발행 자금을 돌려줘야 한다.

#횡령#자기앞수표#지급정지#부당이득

상담사례

횡령금으로 만든 자기앞수표, 은행은 돈을 돌려줘야 할까? 🧐

횡령금으로 만든 자기앞수표의 유효기간 만료 후, 은행은 지급 의무가 없어지고 돈의 출처가 불법인 것을 알고 있으므로, 해당 금액 보유는 부당이득으로 횡령 피해 은행에 반환해야 한다.

#횡령#자기앞수표#부당이득#은행

민사판례

수표 부도 시 농협의 대전 청구, 과연 정당할까?

고객이 타 금융기관 발행 자기앞수표를 농협에 입금했는데 수표가 부도난 경우, 농협은 고객에게 부도난 수표 금액을 변제할 책임이 있는지, 그리고 제3자의 공시최고에도 농협의 대전청구권이 유지되는지 여부

#농협#자기앞수표#대전청구권#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