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9.04.11

형사판례

재심으로 뒤집힌 유죄 판결, 그 후는?

유죄 확정판결을 받았는데 나중에 재심을 통해 무죄가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전 유죄 판결은 어떻게 될까요? 당연히 효력을 잃게 됩니다. 오늘은 이와 관련된 대법원 판결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이번 사건의 피고인은 절도죄로 여러 번 처벌받은 전력이 있었습니다. 2008년과 2014년에도 절도죄로 유죄 판결을 받았는데, 특히 2014년 판결(이하 '이 사건 확정판결')은 이후 다른 절도 사건(이하 '이 사건 범죄사실')에서 전과 기록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즉, 이 사건 확정판결 때문에 가중처벌을 받게 된 것이죠.

그런데 이 사건 확정판결에 대해 재심이 청구되었고, 법원은 재심 사유가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이 사건 확정판결 당시 적용되었던 법률 조항이 위헌 결정을 받았기 때문입니다. 결국 재심에서 이 사건 확정판결은 새로운 판결로 대체되었고, 이 사건 확정판결은 효력을 잃게 되었습니다.

그렇다면 이 사건 확정판결을 근거로 유죄 판결을 받았던 이 사건 범죄사실에 대한 판결은 어떻게 될까요? 대법원은 이 사건 범죄사실에 대한 판결에도 재심 사유가 있다고 보았습니다. 왜냐하면 형사소송법 제420조 제4호는 "원판결의 증거된 재판이 확정재판에 의하여 변경된 때"를 재심 사유로 규정하고 있는데, 이 사건 확정판결이 이 사건 범죄사실에 대한 판결의 증거로 사용되었기 때문입니다. 쉽게 말해, 잘못된 판결을 근거로 새로운 판결이 내려졌으니, 새로운 판결 역시 다시 판단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대법원은 이 사건 확정판결이 재심으로 변경되었기 때문에, 이를 증거로 사용한 이 사건 범죄사실에 대한 판결 역시 재심을 통해 다시 판단해야 한다고 판시했습니다 (대법원 1986. 8. 28.자 86모15 결정 참조).

결국 대법원은 이 사건 범죄사실에 대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하도록 환송했습니다. 이 판결은 유죄 확정판결이라도 재심으로 뒤집힐 수 있고, 그 영향은 다른 사건에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대법원 2005. 9. 28.자 2004모453 결정, 대법원 2017. 6. 29. 선고 2017도5715 판결, 대법원 2017. 9. 21. 선고 2017도4019 판결 참조). 또한, 형사소송법 제420조, 제435조, 제438조가 이 사건과 관련된 법 조항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재심으로 뒤집힌 유죄 판결, 그 이후는?

이전에 유죄 확정판결을 받았더라도, 그 판결에 대해 재심을 청구하여 무죄 등으로 판결이 바뀌고 확정되면, 이전의 유죄 판결은 효력을 잃게 됩니다.

#재심#확정#유죄판결#효력상실

형사판례

재심과 형 실효에 관한 대법원 판결 해설

재심으로 무죄가 확정되면 이전 유죄 판결은 효력을 잃고, 형의 실효 기간이 지나면 가중처벌 대상에서 제외된다는 판결입니다.

#재심#무죄#형실효#가중처벌

형사판례

상습 절도와 재심, 그리고 기판력: 헷갈리는 개념 완벽 정리!

과거 유죄 확정판결을 받았는데, 나중에 그 판결에 대해 재심을 청구한 상황에서 재심 전에 비슷한 범죄를 또 저지른 경우, 이전 범죄(재심 대상)와 나중 범죄에 대한 판결은 서로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내용입니다.

#재심#기판력#유사범죄#확정판결

형사판례

상습절도 재심 판결, 과거 유사 범죄 판결에 영향 안 줘!

상습절도로 유죄 확정판결을 받은 후 또 절도를 저질렀는데, 이전 판결에 대한 재심이 진행 중이라면 이후 절도 사건의 판결이 이전 사건의 재심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대법원 판결입니다. 쉽게 말해, 이전 절도 사건을 다시 재판할 때 이후 절도 사건 판결에 얽매이지 않고 새롭게 판단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상습절도#재심#후행범죄#기판력

형사판례

상습절도 재심과 후행 범죄, 기판력의 범위는?

과거 절도 범죄로 유죄 확정판결을 받았는데, 이후 헌법재판소 결정으로 재심을 통해 무죄가 된 경우, 재심 전에 저지른 비슷한 절도 범죄는 재심의 영향을 받지 않고 처벌할 수 있다.

#재심#무죄#별건범죄#처벌

민사판례

여러 유죄판결이 뒤집혔을 때, 각각 재심 사유가 될까? 그리고 판결문에 모든 주장이 다 들어가야 할까?

이 판례는 과거 유죄판결을 받았던 여러 사람이 재심을 통해 무죄를 선고받았을 때, 각각의 무죄판결이 민사 재심의 독립적인 사유가 되는지 여부를 다룹니다. 또한 판결문에 모든 주장에 대한 구체적인 판단이 기재되어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다룹니다. 결론적으로 각 무죄판결은 독립된 재심사유가 되며, 판결문에는 모든 주장이 아닌 핵심 주장에 대한 판단이 기재되면 충분합니다.

#재심#무죄판결#독립적 재심사유#판결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