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7.04.11

민사판례

재심청구, 30일 기간의 시작점은 언제일까?

재판에서 진실이 밝혀지지 않아 억울한 경우, '재심'이라는 제도를 통해 다시 판단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재심은 아무 때나 청구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정해진 기간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오늘은 재심청구 가능 기간의 시작점을 정확히 알지 못해 어려움을 겪은 한 사례를 통해, 재심 제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원고 임씨는 자신의 땅을 돌려달라는 소송을 제기했지만 패소했습니다. 임씨는 패소의 원인이 된 등기가 허위 서류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다고 주장하며 관련자들을 고소했지만, 이미 공소시효가 지나 불기소처분을 받았습니다. 이에 임씨는 "타인의 범죄행위로 인한 자백" (민사소송법 제422조 제1항 제5호) 또는 "판결 증거 서류의 위조/변조" (민사소송법 제422조 제1항 제6호)를 이유로 재심을 청구했습니다.

쟁점: 재심 청구 기간의 시작점

재심은 재심사유를 안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청구해야 합니다 (민사소송법 제426조 제1항). 그런데 이 사건의 핵심 쟁점은 바로 이 "재심사유를 안 날"이 언제인가 하는 것이었습니다.

  • 원심(1심 및 2심)의 판단: 원심은 임씨가 검찰로부터 불기소처분 통지를 받은 날을 기준으로 30일을 계산했습니다. 따라서 임씨의 재심 청구는 기간을 도과하여 부적법하다고 판단했습니다.

  •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원심의 판단을 뒤집었습니다. 임씨처럼 불기소처분에 불복하여 항고, 재항고 등의 절차를 거친 경우, 최종 결정(여기서는 재항고 기각 결정)을 통지받은 날이 "재심사유를 안 날"이라고 판단했습니다. 즉, 임씨의 재심 청구는 기간 내에 이루어진 것이 맞습니다. (대법원 1996. 12. 20. 선고 96재나101 판결)

판결의 의미

이 판결은 재심사유를 알게 된 시점에 대한 중요한 기준을 제시합니다. 특히 형사사건과 관련된 재심의 경우, 불기소처분에 대한 불복 절차까지 고려하여 재심 제기 기간을 판단해야 함을 명확히 했습니다. 이 판례는 대법원 1975. 12. 23. 선고 74다1398 판결, 대법원 1994. 1. 28. 선고 93다29051 판결 등 기존 판례의 입장을 재확인한 것입니다.

결론

재심은 복잡한 절차를 거쳐야 하는 만큼, 정확한 법률 지식과 기간 준수가 매우 중요합니다. 자신의 상황에 맞는 정확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이번 사례를 통해 재심 제도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억울한 상황에 처했을 때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재심청구 기간, 언제부터 시작될까요?

재심 사유가 확정판결 이후에 발생하고, 그 사유가 위증이나 위조된 문서 등 증거와 관련 없는 경우, 재심을 청구할 수 있는 기간은 그 사유가 *실제로 발생한 날*부터 시작됩니다. 당사자가 그 사유를 *알게 된 날*부터가 아닙니다.

#재심#제기기간#시작점#사유발생일

민사판례

재심청구, 기간 놓치면 소용없어요!

재심을 청구할 수 있는 사유가 있더라도 법에서 정한 기간 안에 해당 사유를 명시하여 청구해야 하며, 기간을 넘겨서 재심 사유를 추가하면 재심 청구는 받아들여지지 않습니다.

#재심#기각#기간도과#재심사유

상담사례

확정판결 받았는데, 판사가 뭔가 빼먹은 것 같아요! 재심청구, 30일 기간의 함정?!

확정판결 후 판단누락 발견 시 재심청구는 판결문(소송대리인 수령 시 대리인 수령일 기준) 수령일로부터 30일 이내에 해야 하며, 예외적인 '특별한 사정'을 입증해야만 기간 연장이 가능하다.

#재심#재심청구#30일#판결확정

민사판례

재심, 30일의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 판결법원 구성 위법으로 인한 재심 청구 시 주의사항

재판 결과에 불복하여 재심을 청구할 때, 법원 구성에 문제가 있다는 이유로 재심을 청구하려면 변호사가 판결문을 받은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해야 합니다. 이 기간을 넘기면 재심 청구는 받아들여지지 않습니다.

#재심#청구기간#30일#판결문수령

민사판례

재심, 그 복잡한 이야기를 쉽게 풀어봅니다.

이 판례는 재심을 청구할 수 있는 사유와 그 기간, 특히 증인의 거짓 진술이 재심 사유가 되는 경우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재심은 확정된 판결에 오류가 있을 때 이를 다시 다투는 제도인데, 아무 때나 재심을 청구할 수는 없고, 정해진 기간과 사유가 있습니다.

#재심#사유#기간#증인

민사판례

재심, 너무 늦게 신청하면 안돼요!

재심 사유가 된 위증에 대한 공소시효가 만료된 후, 재심을 청구할 수 있는 기간은 언제부터 시작되는가? 본 판례는 재심 대상이 된 원래 판결이 확정된 날로부터 30일 이내라고 판시했습니다.

#위증#재심#공소시효#제척기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