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0.10.28

민사판례

저당권, 물상대위, 그리고 부당이득

부동산에 저당권을 설정한 후, 그 부동산이 수용되어 보상금이 나왔을 때 저당권자는 어떤 권리를 행사할 수 있을까요? 오늘은 저당권자가 물상대위권을 행사하지 않은 경우, 보상금을 받아간 다른 채권자에게 부당이득반환청구를 할 수 있는지에 대한 판례를 살펴보겠습니다.

사례 소개

A는 B에게 돈을 빌려주고 B 소유 부동산에 저당권을 설정했습니다. 그런데 이 부동산이 공익사업을 위해 수용되면서 B는 보상금을 받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A는 물상대위권을 행사하기 전에 국가(세무서)가 B의 보상금을 압류하여 세금을 충당했습니다. A는 자신이 받아야 할 돈을 국가가 가져갔으니 부당이득이라고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법원의 판단

법원은 A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왜 그럴까요?

물상대위권이란?

저당권이 설정된 부동산이 다른 물건(예: 보상금)으로 바뀌더라도 저당권자는 바뀐 물건에 대해서도 저당권과 유사한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데, 이를 물상대위권이라고 합니다 (민법 제370조).

물상대위권 행사 방법

저당권자가 물상대위권을 행사하여 우선변제를 받으려면, 보상금 등에 대한 압류 및 전부명령을 신청하거나 배당요구를 해야 합니다 (민사집행법 제273조, 제247조 제1항). 단순히 저당권 등기만 되어있는 것으로는 보상금에서 우선변제를 받을 수 없습니다.

이 사례의 핵심

A는 물상대위권을 행사하기 위한 절차를 밟지 않았습니다. 국가가 먼저 보상금을 압류했더라도, A가 물상대위권을 행사했다면 우선변제를 받을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A는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았기 때문에 우선변제권을 잃게 된 것입니다. 따라서 국가가 보상금을 가져간 것은 법률상 원인이 없는 이득이 아니므로 부당이득반환청구를 할 수 없습니다.

결론

저당권자는 물상대위권을 행사하기 위해서는 정해진 절차를 따라야 합니다. 단순히 저당권 등기만으로는 보상금에서 우선변제권을 행사할 수 없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참고 법조항 및 판례

  • 민법 제342조, 제370조, 제741조
  • 민사집행법 제247조 제1항, 제273조
  • 국세징수법 제80조 제1항, 제81조 제1항
  • 대법원 1994. 11. 22. 선고 94다25728 판결
  • 대법원 1998. 9. 22. 선고 98다12812 판결
  • 대법원 2002. 10. 11. 선고 2002다33137 판결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저당권과 물상대위권, 그리고 부당이득 반환 청구

저당권자가 저당물이 변형된 금전에 대해 우선변제권을 행사하려면, 단순히 저당권 등기만으로는 부족하고 적극적인 물상대위권 행사 절차를 밟아야 합니다. 그 절차를 밟지 않아 다른 채권자가 돈을 가져갔더라도 부당이득 반환 청구는 할 수 없습니다.

#저당권#물상대위권#행사절차#채권압류

민사판례

저당권자가 부동산 수용보상금을 우선적으로 받으려면? 물상대위권 행사의 정석!

저당권자가 물상대위권을 행사해서 돈을 우선적으로 돌려받으려면, 늦어도 배당요구 종기까지 해야 합니다. 그 이후에 물상대위권을 행사하면 다른 채권자들과 똑같이 취급되어 우선변제를 받을 수 없습니다.

#저당권#물상대위권#우선변제#배당요구종기

민사판례

근저당권, 보상금, 그리고 부당이득

돈을 빌려주고 담보로 잡은 부동산이 공용징수 등으로 사라지면서 보상금이 발생했는데, 돈을 빌린 사람이 먼저 보상금을 받아간 경우, 돈을 빌려준 사람은 빌려준 돈을 돌려받을 권리가 있을까요? 네, 있습니다. 이때 돈을 빌린 사람은 돈을 빌려준 사람에게 부당이득을 반환해야 합니다. 이는 돈을 빌린 사람이 담보물을 다른 사람에게 넘긴 경우에도 마찬가지입니다.

#근저당권#부당이득반환#물상대위#보상금

상담사례

내 땅이 수용됐는데, 보상금은 다른 채권자가 가져간다?! - 저당권자의 권리 지키기

저당 잡힌 땅이 수용될 경우, 저당권자는 물상대위권을 통해 보상금에 대한 우선권을 행사할 수 있으며, 다른 채권자가 먼저 압류했더라도 보상금 지급 전이나 배당요구 종기까지 권리 행사가 가능하다.

#토지수용#저당권#보상금#물상대위권

민사판례

저당권, 물상대위, 그리고 상속세 우선권에 대한 이야기

저당권자가 물상대위권을 행사하려면 저당물의 변형물을 압류해야 하지만, 이미 다른 사람이 압류한 경우에는 압류 없이도 물상대위권을 행사할 수 있다. 또한, 상속세는 저당권보다 우선하는 당해세가 아니다.

#물상대위권#상속세#저당권#우선순위

민사판례

저당권, 토지수용, 그리고 배당요구의 시기

토지가 수용되어 보상금이 나올 경우, 근저당권자가 우선변제를 받으려면 단순히 근저당권 설정 등기만으로는 부족합니다. 제3자가 압류한 보상금 채권에 대해 물상대위권을 행사하고 정해진 기간 내에 배당요구를 해야 합니다. 이 사건에서는 원고가 배당요구 기간을 놓쳐 우선변제권을 행사하지 못했습니다.

#근저당권#수용보상금#우선변제#물상대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