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0.01.28

형사판례

저축은행 임원들의 배임죄, 유죄 확정! 부실 대출의 위험성

저축은행 임원들이 최대주주의 지시에 따라 부실 대출을 실행하고, 그 돈을 기존 대출금 변제 등에 사용한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습니다. 대법원은 이들의 상고를 기각하고 원심판결을 확정했습니다.

사건의 개요

○○상호저축은행의 임원들은 은행의 실질적 최대주주 甲의 지시에 따라 담보도 제대로 확보하지 않고, 정상적인 대출 심사 절차도 거치지 않은 채 여러 건의 부실 대출을 실행했습니다. 이렇게 대출된 돈은 실제로는 甲에게 돌아갔고, 甲은 이 돈을 기존 대출금 변제, 새로운 투자 등에 사용했습니다.

법원의 판단

법원은 저축은행 임원들의 행위가 업무상배임죄(형법 제355조 제2항, 제356조)에 해당한다고 판단했습니다.

핵심 쟁점은 실제 대출금이 교부되었는지 여부였습니다. 만약 서류상으로만 대출이 실행되고 실제로 돈이 나가지 않았다면, 저축은행에 새로운 손해가 발생한 것이 아니므로 배임죄가 성립하지 않습니다. (대법원 2000. 6. 27. 선고 2000도1155 판결)

그러나 이 사건에서는 실제로 대출금이 교부되었고, 비록 기존 대출금 변제 용도로 사용되었다 하더라도 대출과 동시에 손해 발생 위험이 생긴 것으로 보아야 한다는 것이 법원의 판단입니다. (대법원 2003. 10. 10. 선고 2003도3516 판결)

즉, 돈이 실제로 나갔다면, 그 돈이 어떻게 쓰였는지와 관계없이 대출 시점에 이미 저축은행에 손해가 발생할 위험이 생겼다는 것입니다. 사후에 변제가 되었다 하더라도 배임죄 성립에는 영향이 없습니다. (대법원 2003. 2. 11. 선고 2002도5679 판결)

또한, 이 사건의 대출은 출자자에 대한 대출을 금지하는 구 상호저축은행법(2007. 7. 19. 법률 제8522호 개정 전) 제37조 제1항도 위반한 것으로 판단되었습니다. 대출 명의자가 아니라 실제로 돈을 받은 사람이 출자자라면 출자자 대출 금지 조항을 위반한 것으로 봅니다. (대법원 2009. 6. 25. 선고 2008도10096 판결)

결론적으로, 이 사건은 금융기관 임원들이 부실 대출의 위험성을 간과하고 최대주주의 부당한 지시에 따른 결과, 업무상배임죄 및 상호저축은행법 위반으로 처벌받은 사례입니다. 금융기관의 건전한 운영을 위해서는 대출 심사 과정을 철저히 하고, 부당한 대출 지시에는 단호히 거절해야 한다는 교훈을 줍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저축은행 부실 대출과 횡령, 그 책임은 누구에게?

저축은행 임직원들이 부실대출, 횡령, 차명대출 등의 불법행위를 저질러 유죄 판결을 받았습니다. 특히, 기존 대출금 상환 목적의 신규 대출이라도 실제 돈이 교부되었다면 업무상 배임죄가 성립한다는 점과, 대출 한도를 초과하는 편법 대출 역시 불법이라는 점이 확인되었습니다. 반면, 부실대출 과정에서 뒷돈을 받았더라도 이는 배임죄의 일부로, 별도의 뇌물죄는 성립하지 않는다는 점도 명시되었습니다.

#저축은행#부실대출#횡령#배임

형사판례

저축은행 대출과 배임죄, 알선수재죄

저축은행의 실질적 사주가 부실 대출을 지시하여 배임죄로 처벌받고, 대출 청탁자는 배임죄 공동정범으로 인정되지 않은 사례. 또한, 사업계획서 작성 등 단순히 대출 관련 업무를 도와준 행위는 알선수재죄로 처벌되지 않는다는 내용.

#저축은행#부실대출#배임죄#공동정범

형사판례

저축은행 임원의 대출 승인과 배임죄

저축은행 임원이 아파트 시공업체에 대한 대출한도를 제대로 검토하지 않고 담보도 부실하게 확보한 채 거액을 대출해준 행위는 업무상 배임죄에 해당한다. 대출금 일부가 회수되었다 하더라도 손해 발생 위험을 초래했으면 배임죄가 성립한다.

#저축은행#임원#부실대출#업무상배임

형사판례

저축은행 비리, 대법원도 횡령·배임 유죄 확정!

제일저축은행과 공소외 6 회사의 임직원들이 회사 자금 횡령, 명의도용 대출, 부실 대출, 분식회계 등의 혐의로 기소된 사건에서 대법원은 원심의 유죄 판결을 확정했습니다.

#저축은행#횡령#배임#분식회계

형사판례

저축은행 비리 사건, 대법원 판결 분석

저축은행 경영진의 불법대출, 분식회계, 금융감독원 감독 방해 등에 대한 유죄 판결과 일부 판결 파기 및 환송. 특수목적법인(SPC)에 대한 대출이 신용공여 금지 대상에 포함되는지, 담보 해지로 인한 손해액 산정, 사기죄의 죄수 판단 등이 쟁점.

#저축은행#불법대출#분식회계#금융감독원

형사판례

저축은행 대표이사의 배임과 횡령, 그 경계는 어디까지?

저축은행 대표이사가 부실 대출, 차명 대출, 미술품 횡령 등으로 회사에 손해를 끼친 혐의에 대해 유죄 판결을 받았습니다. 대법원은 경영상 판단이라도 회사에 손해를 끼칠 고의가 인정되면 배임죄가 성립하고, 대출금의 실제 사용처가 대주주라면 대주주 신용공여 금지 위반이라는 점을 명확히 했습니다.

#저축은행#경영비리#배임#횡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