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일자: 2024. 08. 15.

생활법률

직장 내 성희롱, 더 이상 참지 마세요! (feat. 법적 대응 방법)

직장에서 겪는 성희롱, 혼자 끙끙 앓고 계신가요? **"나만 예민한가?"**라는 생각에 괴로워하지 마세요. 직장 내 성희롱은 명백한 불법 행위이며, 법의 보호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직장 내 성희롱의 정의와 함께 사업주의 의무, 그리고 피해자를 위한 대처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1. 직장 내 성희롱, 뭘까요?

법적으로, 직장 내 성희롱은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남녀고용평등법) 제2조 제2호에 정의되어 있습니다. 간단히 말하면, 회사에서 상사, 동료, 심지어는 고객이 직장 내 지위나 업무 관계를 이용해서 성적인 말이나 행동으로 불쾌감이나 굴욕감을 주는 모든 행위, 그리고 이에 응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불이익을 주는 행위 모두를 말합니다.

핵심은 '업무 관련성'과 '권력관계'입니다. 단순히 불쾌한 농담을 넘어, 직장 내 지위를 이용하거나 업무와 연관된 상황에서 발생하는 성적 언동이 문제가 되는 것입니다.

(참고) 형법상 성범죄와의 차이점: 강간, 강제추행 등 형법상 성범죄는 폭행이나 협박과 같은 물리적 강제력이 있어야 성립합니다. 직장 내 성희롱은 물리적인 강제력이 없더라도 성립할 수 있습니다.

2. 사업주의 의무, 뭐가 있을까요?

사업주는 직장 내 성희롱을 예방하고, 성희롱 발생 시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 예방 교육 (남녀고용평등법 제13조): 사업주는 매년 직장 내 성희롱 예방 교육을 실시해야 합니다. 이를 어길 시 **과태료 (남녀고용평등법 제39조)**가 부과됩니다.

  • 성희롱 행위자 징계 (남녀고용평등법 제14조): 성희롱 신고 접수 시, 사업주는 즉시 조사에 착수하고, 가해자에게 징계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피해자 보호를 위한 조치 (근무 장소 변경, 유급휴가 등)도 필수입니다. 이를 어길 시 **과태료 (남녀고용평등법 제39조)**가 부과됩니다.

  • 피해자 불이익 조치 금지 (남녀고용평등법 제14조 제6항): 성희롱 신고나 피해 사실을 이유로 피해자에게 어떠한 불이익도 주어서는 안 됩니다. 해고, 징계, 따돌림 등은 모두 불법이며, 위반 시 **징역 또는 벌금 (남녀고용평등법 제37조)**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3. 피해자는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 사업주에게 조치 요청: 회사 내부 절차를 통해 문제 해결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 노사협의회 등 사내 기구 신고: 사내 고충처리기관에 신고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 고용노동부 진정/고소/고발: 사업주가 법적 의무를 다하지 않을 경우, 관할 고용노동부에 진정이나 고소/고발을 할 수 있습니다.

  • 국가인권위원회 진정: 인권위에 진정을 제기하여 시정 권고를 받을 수 있습니다.

  • 민사소송 제기: 가해자와 사업주를 상대로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직장 내 성희롱은 피해자에게 깊은 상처를 남기는 심각한 문제입니다. 혼자 고민하지 말고 적극적으로 대처하여 당당한 직장 생활을 되찾으시기 바랍니다. 관련 법률 및 자세한 정보는 고용노동부 또는 국가인권위원회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생활법률

직장 내 성희롱, 절대 NO! 나의 권리를 지키는 방법

직장 내 성희롱은 불법이며, 사업주, 상급자, 동료 누구도 성희롱을 해서는 안 되고, 사업주는 성희롱 예방 및 피해자 보호 의무를 다해야 한다.

#직장 내 성희롱#성희롱 정의#성희롱 금지#과태료

생활법률

직장 내 성희롱,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

직장 내 성희롱 발생 시 피해자는 법적 근거(양성평등기본법, 남녀고용평등법 등)를 바탕으로 사업주의 의무(예방, 조치, 불이익 금지)를 요구하고, 국가인권위원회 진정, 부당해고 구제신청 등을 통해 권리 구제를 받을 수 있다.

#직장 내 성희롱#대처 방법#법률#양성평등기본법

생활법률

직장 내 괴롭힘 & 성희롱, 더 이상 참지 마세요! (법적 대응 방법 안내)

직장 내 괴롭힘·성희롱은 법으로 금지되며, 피해자는 회사에 신고하여 조사, 가해자 징계, 피해자 보호 조치 등 법적 보호를 받을 수 있고, 신고자·피해자에 대한 불이익 조치는 금지됩니다.

#직장 내 괴롭힘#성희롱#법적 근거#대처 방법

생활법률

직장 내 성희롱, 사업주가 책임져야 할 의무와 신고 방법

직장 내 성희롱 발생 시 사업주는 법적 의무(예방, 가해자 조치, 피해자 보호 등)를 지켜야 하며, 위반 시 최대 1천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되고, 피해자는 고용노동부 등에 신고/진정/고소할 수 있다.

#직장 내 성희롱#사업주 의무#법 위반#신고 방법

생활법률

직장 내 괴롭힘 & 성희롱, 더 이상 참지 마세요! (법적 대응 방법 안내)

직장 내 괴롭힘·성희롱 피해자는 법적 보호를 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사업주)는 신고 접수 시 즉시 조사하고 피해자 보호 조치를 취해야 하며, 가해자에 대한 징계 등 필요한 조치를 해야 한다.

#직장 내 괴롭힘#성희롱#법적 대응#신고

생활법률

직장 내 성희롱, 불이익 당할까 봐 걱정된다면? 법이 당신을 지켜줍니다!

직장 내 성희롱 신고자와 피해자는 법으로 보호받으며, 신고 후 불이익 조치 시 회사는 처벌받고, 고객 성희롱도 회사 책임이며, 부당해고 시 노동위원회 구제 신청 가능합니다.

#직장 내 성희롱#신고 불이익 금지#피해자 보호#처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