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7.06.13

세무판례

체육시설 땅, 양도세 감면 받으려면? 유휴토지 판정 기준 알아보기

체육시설 용도로 쓰이는 땅을 팔 때 양도소득세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지만, '유휴토지'로 분류되면 감면 혜택을 받지 못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체육시설 땅이 유휴토지인지 아닌지는 어떻게 판단할까요? 최근 판례를 통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핵심은 토지가액입니다. 유휴토지 여부를 판단할 때 '토지가액 대비 수입금액 비율'을 따지는데, 여기서 말하는 토지가액은 수입이 발생한 해의 기준시가를 의미합니다.

좀 더 자세히 설명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 양도소득세 감면 혜택: 국민주택 건설용지로 땅을 팔면 양도세의 50%를 감면받을 수 있습니다 (구 조세감면규제법 제62조 제1항, 현행 제66조 제1항).

  • 감면 제외 대상: 하지만 토지초과이득세 과세 대상인 유휴토지는 양도세 감면 혜택에서 제외됩니다 (구 조세감면규제법 제66조의3, 현행 제78조).

  • 유휴토지 판정 기준: 유휴토지 여부는 양도일 현재 토지초과이득세법상 유휴토지에 해당하는지에 따라 판단합니다. 수입금액 비율 계산은 양도일이 속한 해의 직전 연도 말을 기준으로 합니다 (구 조세감면규제법시행규칙 제20조의6, 현행 제39조).

  • 체육시설 땅의 유휴토지 판정: 체육시설 용지 중 일정 기준을 초과하는 토지는 유휴토지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토지초과이득세법 제8조 제1항 제8호). 구체적으로, 토지가액 대비 1년간 수입금액 비율이 일정 기준에 미달하면 유휴토지로 봅니다 (구 토지초과이득세법시행령 제15조 제2호 나목). 골프장 용지는 제외됩니다.

  • 판례의 결론: 위 법령들을 종합해 볼 때, 체육시설 땅이 유휴토지인지 판단할 때 기준이 되는 '토지가액'은 1년간 수입이 발생한 해의 기준시가입니다. (부산고법 1996. 6. 7. 선고 95구6397 판결).

즉, 체육시설 땅을 양도하고 세금 감면 혜택을 받으려면 해당 토지가 유휴토지에 해당하는지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유휴토지 판정의 핵심 기준인 '토지가액'은 수입이 발생한 해의 기준시가라는 점을 꼭 기억하세요!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묵혀둔 땅 팔았는데 세금 감면 못 받는다고요?

놀고 있는 땅(유휴토지)을 팔 때 세금 감면 혜택을 주지 않는 규정을 적용할 시점은 언제인지, 그리고 관련 법이 바뀌면서 세금 감면을 못 받게 된 경우가 부당한 차별인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유휴토지#양도소득세#감면#판단시점

세무판례

땅 판 시점에 놀고 있는 땅이면 세금 감면 없어요!

토지초과이득세 감면 여부를 판단할 때, 해당 토지가 '유휴토지'인지는 토지를 양도한 시점을 기준으로 판단해야 한다는 판결.

#유휴토지#양도일#토지초과이득세#조세감면

세무판례

유휴토지 양도세 감면 여부, 판단 기준은 '양도일'

놀리고 있는 땅(유휴토지)을 팔았을 때, 양도소득세 감면을 받을 수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하는 기준 시점은 그 땅을 판 날(양도일)이라는 판결입니다.

#유휴토지#양도소득세 감면#양도일#토지초과이득세

세무판례

유휴토지 양도세 감면 배제, 언제 판단할까?

유휴토지 양도에 대한 양도소득세 감면 배제 여부는 양도 시점(땅을 판 시점)의 토지 상태를 기준으로 판단해야 한다.

#유휴토지#양도소득세#감면배제#양도시점

세무판례

땅 팔았을 때 양도세 감면, 언제 기준으로 판단해야 할까?

유휴토지에 대한 양도소득세 감면 여부를 판단할 때는 토지를 양도한 날(양도일)을 기준으로 해야 한다는 대법원 판결. 관련 시행규칙은 법률의 위임 범위를 벗어나지 않았음.

#유휴토지#양도소득세#감면#양도일

세무판례

땅 팔았는데 양도세 감면 못 받았어요! 억울해요!

토지에 건물을 짓고 있더라도 양도 당시 건물이 완공되지 않았다면, 해당 토지는 '나대지'로 보고 토지초과이득세를 부과할 수 있다. 따라서 양도소득세 감면 혜택도 받을 수 없다.

#토지초과이득세#유휴토지#건축중인토지#양도소득세 감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