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해행위취소

사건번호:

2006다59182

선고일자:

20070111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물상담보에 의하여 채권자에게 우선변제권이 확보되는 경우, 채권자취소권에 있어서 피보전채권의 범위

판결요지

참조조문

민법 제406조 제1항

참조판례

대법원 2000. 12. 8. 선고 2000다21017 판결(공2001상, 252), 대법원 2001. 7. 27. 선고 2000다73377 판결(공2001하, 1941), 대법원 2002. 4. 12. 선고 2000다63912 판결(공2002상, 1089), 대법원 2002. 11. 8. 선고 2002다41589 판결(공2003상, 46)

판례내용

【원고(탈퇴), 피상고인】 파산자 주식회사 오렌지신용금고의 공동파산관재인 외 1인 【원고 승계참가인】 주식회사 정리금융공사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세양 담당변호사 김광훈외 2인) 【피고, 상고인】 피고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6. 7. 19. 선고 2005나103299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상고이유를 본다. 1. 원심의 판단 원심은, 이 사건 매매예약 체결 당시 소외 1이 보유한 적극재산의 가액을 ① 이 사건 부동산(91,249,000원), ② 광명시 (지번 1 생략) 임야, (지번 2 생략) 임야의 각 1/2지분(168,102,000원, 2001. 8. 27.경의 공공용지 협의취득단가를 참작한 금액으로 167,992,000원의 오기로 보인다.), ③ 경기 포천군 영북면 (지번 3 생략) 임야의 300/2700지분, (지번 4 생략) 임야의 300/ 3600지분(417,514원) 등 합계 259,768,514원으로 산정하고, 소극재산의 가액을 ① 이 사건 대출금채무(559,155,352원 = 원금 447,575,859원 + 이자 및 지연손해금 111,579,493원), ② 소외 2에 대한 채무(50,000,000원), ③ 봉화농업협동조합에 대한 전세금반환채무(30,000,000원) 등 합계 639,155,352원으로 산정하여 소외 1이 채무초과의 상태에 있었던 것으로 판단하였다. 2. 대법원의 판단 그러나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수긍하기 어렵다. 주채무자 또는 제3자 소유의 부동산에 대하여 채권자 앞으로 근저당권이 설정되어 있고, 그 부동산의 가액 및 채권최고액이 당해 채무액을 초과하여 채무 전액에 대하여 채권자에게 우선변제권이 확보되어 있다면, 그 범위 내에서는 채무자의 재산처분행위는 채권자를 해하지 아니하므로 연대보증인이 비록 유일한 재산을 처분하는 법률행위를 하더라도 채권자에 대하여 사해행위가 성립되지 않는다고 보아야 할 것이고, 당해 채무액이 그 부동산의 가액 및 채권최고액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그 담보물로부터 우선변제받을 액을 공제한 나머지 채권액에 대하여만 채권자취소권이 인정된다고 할 것이다( 대법원 2002. 11. 8. 선고 2002다41589 판결 등 참조). 기록에 의하면 주식회사 오렌지신용금고는 소외 3에게 1997. 9. 30. 마송자동차학원 주식회사(이하 ‘소외 회사’라 한다), 소외 4, 소외 5의 연대보증하에 23억 원을, 1998. 6. 24. 소외 회사, 소외 1의 연대보증하에 이 사건 대출금인 4억 6,000만 원을 각 대출하는 한편, 위 각 대출금채권의 담보조로 소외 회사 소유의 김포시 통진읍 (지번 5 생략) 소재 토지 위에 1997. 9. 30. 채권최고액 29억 9,000만 원의 근저당권, 1998. 6. 24. 채권최고액 6억 9,000만 원의 근저당권을 각 설정받았는데, 그 후 소외 3이 위 각 대출금채무를 변제하지 아니하자 위 각 근저당권을 실행하여 그 배당금의 일부를 이 사건 대출금채권 중 원금채권에 충당하였음을 알 수 있는바, 사정이 위와 같다면 주식회사 오렌지신용금고는 소외 회사 소유의 부동산 위에 근저당권을 취득함으로써 이 사건 대출금채권에 관한 우선변제권을 확보하고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고, 만일 이 사건 매매예약 당시 그 우선변제권의 범위가 실제 배당금의 변제충당 내역과 같이 이 사건 대출금채권 중 원금채권 전부에 미치는 것이었다면 그 금액만큼은 소외 1의 소극재산에서 공제되었어야 할 것이다. 한편, 기록에 의하면 이 사건 매매예약 체결 무렵 소외 1이 피고로부터 받은 돈 등으로 봉화농업협동조합에 대한 전세금반환채무 중 25,000,000원을 변제하였음을 알 수 있으므로, 위 변제된 채무액도 소외 1의 소극재산에서 공제하면 결국 이 사건 매매예약 당시 소외 1의 소극재산의 가액은 원심이 인정한 바와 같이 639,155,352원이 아닌 166,579,493원(= 639,155,352원 - 447,575,859원 - 25,000,000원)으로서 이 사건 부동산을 제외한 적극재산의 가액 168,409,514원(= 167,992,000원 + 417,514원)에 미치지 못한다고 볼 여지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심은 이 사건 매매예약 당시 이 사건 대출금채권 중 어느 부분이 소외 회사 소유의 부동산 위에 설정된 각 근저당권으로 담보된 상태였는지, 그리고 소외 1의 봉화농업협동조합에 대한 실제 전세금반환채무의 액수는 얼마인지 심리하여 보거나 이를 고려하지 아니한 채 소외 1이 채무초과의 상태에 있었던 것으로 판단하였는바, 이러한 원심판결에는 필요한 심리를 다하지 아니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고 할 것이므로, 이 점을 지적하는 상고이유의 주장은 이유 있다. 3. 그러므로 나머지 상고이유에 대한 판단을 생략한 채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이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양승태(재판장) 고현철 김지형 전수안(주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담보 잡힌 빚, 그 이상의 빚에 대해서만 사해행위 취소 가능!

빚을 담보로 잡은 재산이 있어서 채권자가 우선적으로 변제받을 권리가 있는 경우, 채무자가 재산을 다른 사람에게 넘겨버리는 사해행위를 했더라도 담보물의 가치가 빚보다 크다면 채권자는 손해를 입지 않으므로 채권자취소권을 행사할 수 없다. 채권자취소권을 행사하려면 담보가 있어도 손해를 입었다는 사실, 즉 담보물의 가치보다 빚이 더 크다는 사실을 채권자가 입증해야 한다.

#채권자취소권#담보#피보전채권#입증책임

민사판례

빚 보증 때문에 부모님 집을 받았는데, 사해행위일까요? (채권자취소권과 담보 제공)

돈을 빌려준 채권자가 돈을 못 받을까 봐 채무자의 재산 처분을 취소해달라고 소송을 걸었는데, 나중에 채무자가 다른 재산을 담보로 제공해서 채권자가 돈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면, 처분을 취소해달라는 소송은 할 필요가 없다는 판결입니다.

#사해행위취소소송#담보#채권자#채무자

민사판례

빚 갚을 능력도 없으면서 담보 잡힌 집 팔아버렸다면? 사해행위 성립!

빚이 재산보다 많은 사람이 저당 잡힌 부동산을 팔면서 매각 대금을 저당 빚 갚는 데만 썼다면, 다른 일반 채권자들을 해하는 행위로 볼 수 있다. 또한, 채권자는 사해행위 취소 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데, 법원은 소송 제기 기간에 문제가 없어 보이면 추가로 조사할 의무는 없다.

#저당부동산#채권자보호#사해행위#채권자취소권

민사판례

빚 보증에 잡힌 재산, 함부로 팔았다간?! 채권자취소권과 담보권의 관계

돈을 빌려준 채권자가 돈을 돌려받지 못할 상황에 대비하여 담보(예: 부동산 저당권)를 설정한 경우, 채무자가 고의로 재산을 줄여 채권자에게 손해를 입히는 행위(사해행위)를 하더라도, 담보로 충당할 수 있는 금액을 제외한 나머지 채권에 대해서만 채권자취소권을 행사할 수 있다.

#담보 있는 채권#채권자취소권#사해행위#담보 가치

민사판례

빚 때문에 골치 아프시죠? 채권자취소권, 제대로 알고 활용하세요!

빚을 갚지 못할 상황에 놓인 채무자가 기존 대출을 새 대출로 갈아타는 경우, 새 대출이 기존 대출과 같은 금액이고 같은 담보를 제공했다면, 채권자를 해하는 사해행위로 볼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여러 부동산을 담보로 제공한 경우, 각 부동산이 부담하는 채무액은 부동산 가액에 비례하여 계산해야 합니다.

#사해행위#담보대환대출#선순위담보#채권자취소권

민사판례

담보 초과 채권과 채권자취소권

돈을 빌려주고 부동산에 근저당을 설정한 채권자가 있다면, 채무자가 그 부동산을 다른 사람에게 넘기는 행위(사해행위)를 취소할 수 있는 권리(채권자취소권)의 범위는 근저당권으로 보호받지 못하는 채권 잔액 부분에 한정된다는 판례입니다. 즉, 근저당으로 충분히 보호받는 부분에 대해서는 사해행위 취소를 청구할 수 없습니다.

#근저당#사해행위#채권자취소권#피보전채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