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매각허가결정에대한이의

사건번호:

2008마459

선고일자:

20080617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결정

판시사항

부동산 임의경매절차에서 이미 최고가매수신고인이 정해진 후 매각결정기일까지 사이에 유치권의 신고가 있고 그 유치권이 성립될 여지가 없음이 명백하지 아니한 경우, 집행법원이 취할 조치(=매각불허가결정)

판결요지

참조조문

민사집행법 제121조 제6호, 제123조, 제127조 제1항

참조판례

대법원 2005. 8. 8. 자 2005마643 결정(공2005하, 1546)

판례내용

【재항고인】 【원심결정】 인천지법 2008. 3. 14.자 2007라299 결정 【주 문】 원심결정을 파기하고, 사건을 인천지방법원 본원 합의부에 환송한다. 【이 유】 재항고이유를 판단한다. 부동산 임의경매절차에서 매수신고인이 당해 부동산에 관하여 유치권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알고 매수신청을 하여 이미 최고가매수신고인으로 정하여졌음에도 그 이후 매각결정기일까지 사이에 유치권의 신고가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유치권이 성립될 여지가 없음이 명백하지 아니한 경우, 집행법원으로서는 장차 매수신고인이 인수할 매각부동산에 관한 권리의 부담이 현저히 증가하여 민사집행법 제121조 제6호가 규정하는 이의 사유가 발생된 것으로 보아 이해관계인의 이의 또는 직권으로 매각을 허가하지 아니하는 결정을 하는 것이 상당하다 ( 대법원 2005. 8. 8.자 2005마643 결정 참조). 기록에 의하면, 이 사건 아파트에 대한 현황조사서에는 ‘점유관계는 미상, 본건 현장에 수차례 방문하였으나 폐문부재였고, 알리는 말씀을 고지하여도 연락이 없어 상세한 임대차관계는 미상이며, 주민등록상 전입세대는 없다’는 취지로 기재되어 있고, 매각물건명세서에도 이 사건 아파트에 대하여 조사된 임대차내역이나 특이사항이 없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는 사실, 재항고인이 매수신고를 할 때까지 유치권의 신고가 들어온 적이 없는 사실, 이 사건 아파트에 대한 매각결정기일은 2007. 10. 4. 13:00경으로 예정되어 있었는데, 재항고인은 그 날 10:20경 매각불허가신청을 하면서 이 사건 아파트의 소유자인 주식회사 리치스카이는 이 사건 아파트를 포함한 주상복합건물의 시공사인데 위 회사를 상대로 공사대금을 주장하는 유치권자가 이 사건 아파트를 점유하고 있다고 주장하였고, 이 사건 아파트 현관문에 ‘공사비 관계로 유치권 행사중’이라고 기재된 경고문이 붙어 있는 사진을 위 신청서에 첨부하였던 사실, 그런데 제1심법원은 그에 대한 아무런 조사절차 없이 이 사건 아파트에 대하여 재항고인에게 매각을 허가하는 결정을 하였던 사실, 재항고인은 위 결정에 즉시항고 하면서 위 주상복합건물의 시공사가 공사대금 때문에 이 사건 아파트를 비롯한 몇 채의 아파트를 점유하고 있다는 내용의 자료를 추가로 제출한 사실이 인정된다. 위 법리에 비추어 보면, 재항고인은 이 사건 아파트의 점유현황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기재되지 않은 현황조사서 및 매각물건명세서 등으로 인하여 매수신고시까지 이 사건 아파트에 대하여 유치권이 존재하는 사실을 전혀 모르다가 매각허가결정 직전에 비로소 이 사건 아파트에 대하여 유치권이 주장되는 것을 알게 되어 제1심법원에 매각불허가신청을 하였고, 재항고인이 제출한 자료에 의하면 이 사건 아파트에 대한 유치권이 성립할 여지가 없지 않은바, 이러한 경우 집행법원으로서는 매가허가결정에 앞서 이해관계인인 재항고인을 심문하는 등의 방법으로 유치권의 성립 여부에 대하여 조사한 다음 유치권이 성립될 여지가 없음이 명백하지 아니하다면 재항고인의 매각허가에 대한 이의를 정당한 것으로 인정하여 매각을 허가하지 아니하는 결정을 하는 것이 상당하고, 이 때 매각결정기일까지 유치권의 신고가 없었다거나, 그 유치권이 장차 매수인에게 대항할 수 없는 것일 가능성이 있다고 하여 달리 볼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심은 매수인에게 대항할 수 있는 유치권이 이 사건 아파트에 존재한다고 인정하기 어렵다는 등의 이유를 들어 이 사건 신청을 기각한 제1심결정을 그대로 유지하였으니, 이는 유치권의 성립 등에 관하여 필요한 심리를 다하지 아니하였거나 그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재판 결과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원심결정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결정한다. 대법관 김지형(재판장) 고현철 전수안 차한성(주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경매 진행 중 유치권 신고, 낙찰자는 어떻게 되나요?

부동산 경매에서 최고가매수인이 선정된 후, 매각 결정 전에 유치권 신고가 있고 그 유치권이 성립할 가능성이 있다면, 법원은 매각을 허가하지 않아야 한다.

#경매#부동산#유치권#매각불허

상담사례

유치권, 경매에도 살아남을까? 낙찰받은 부동산에 갑자기 나타난 유치권?!

경매로 부동산을 낙찰받더라도 기존에 존재하던 유치권은 소멸되지 않고 낙찰자가 인수해야 하므로, 경매 참여 전 유치권 존재 여부를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

#유치권#경매#낙찰#부동산

민사판례

유치권 신고에 대응하는 근저당권자의 권리

근저당권 설정된 부동산에 대해 과도한 금액의 유치권을 주장하여 경매를 방해하는 경우, 근저당권자는 유치권의 일부 또는 전부 부존재 확인 소송을 제기할 수 있고, 법원은 실제 유치권이 인정되는 범위를 초과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유치권이 없음을 확인하는 판결을 내릴 수 있다. 유치권 주장자는 해당 유치권의 근거가 되는 채권의 존재를 입증해야 할 책임이 있다.

#유치권#경매방해#근저당권#부존재확인소송

민사판례

경매 낙찰에 이의를 제기하려면? 내 권리를 증명해야 합니다!

경매에서 낙찰허가결정 등에 불복하여 즉시항고를 하려면, 단순히 '이해관계인'이라고 주장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법원에 자신의 권리를 증명해야 합니다. 권리 증명 없이 단순히 유치권 신고만 한 경우, 즉시항고 자격이 없다는 판결입니다.

#경매#즉시항고#권리증명#유치권

민사판례

경매 진행 중인 부동산에 유치권을 주장할 수 있을까요?

빚 때문에 경매가 시작된 부동산에 대해, 경매 시작 후에 공사를 하고 유치권을 주장해도 경매 낙찰자에게 효력이 없다. 알았든 몰랐든 상관없다.

#경매#유치권#낙찰자#대항불가

상담사례

낙찰받은 건물에 누가 살고 있다면?! 유치권, 제대로 알고 계신가요?

경매로 낙찰받은 건물에 누군가 유치권을 주장하더라도, 해당 유치권이 건물에 대한 압류(가압류 포함) 이후 설정된 것이라면 무효일 가능성이 높다.

#경매#유치권#가압류#압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