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계획시설결정폐지신청거부처분취소

사건번호:

2014두42742

선고일자:

20150326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도시계획시설결정에 이해관계가 있는 주민에게 도시시설계획의 입안 내지 변경을 요구할 수 있는 법규상 또는 조리상의 신청권이 있는지 여부(적극) 및 이러한 신청에 대한 거부행위가 항고소송의 대상이 되는 행정처분에 해당하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은 국토의 이용·개발과 보전을 위한 계획의 수립 및 집행 등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공공복리를 증진시키고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면서도 도시계획시설결정으로 인한 개인의 재산권행사의 제한을 줄이기 위하여, 도시·군계획시설부지의 매수청구권(제47조), 도시·군계획시설결정의 실효(제48조)에 관한 규정과 아울러 도시·군관리계획의 입안권자인 특별시장·광역시장·특별자치시장·특별자치도지사·시장 또는 군수(이하 ‘입안권자’라 한다)는 5년마다 관할 구역의 도시·군관리계획에 대하여 타당성 여부를 전반적으로 재검토하여 정비하여야 할 의무를 지우고(제34조), 주민(이해관계자 포함)에게는 도시·군관리계획의 입안권자에게 기반시설의 설치·정비 또는 개량에 관한 사항, 지구단위계획구역의 지정 및 변경과 지구단위계획의 수립 및 변경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도시·군관리계획도서와 계획설명서를 첨부하여 도시·군관리계획의 입안을 제안할 권리를 부여하고 있고, 입안제안을 받은 입안권자는 그 처리 결과를 제안자에게 통보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들 규정에 헌법상 개인의 재산권 보장의 취지를 더하여 보면, 도시계획구역 내 토지 등을 소유하고 있는 사람과 같이 당해 도시계획시설결정에 이해관계가 있는 주민으로서는 도시시설계획의 입안권자 내지 결정권자에게 도시시설계획의 입안 내지 변경을 요구할 수 있는 법규상 또는 조리상의 신청권이 있고, 이러한 신청에 대한 거부행위는 항고소송의 대상이 되는 행정처분에 해당한다.

참조조문

행정소송법 제2조 제1항 제1호,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1조, 제26조 제1항, 제2항, 제34조, 제47조, 제48조, 헌법 제23조 제1항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해안주택조합 【피고, 피상고인】 안산시장 【원심판결】 서울고법 2014. 9. 18. 선고 2013누51604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한다. 제1심판결을 취소하고 사건을 수원지방법원 합의부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살펴본다. 1. 원심판결의 요지 원심은 제1심판결을 인용하여 도시계획시설로 결정된 안산시 상록구 '(주소생략)' 임야 38,728㎡ 외 3필지(이하 ‘이 사건 각 토지’라 한다)에 관하여 원고에게 도시계획시설에서 해제하여 줄 것을 신청할 수 있는 법규상 또는 조리상의 신청권이 없다는 이유로 원고의 도시계획시설결정 해제신청을 받아들이지 아니한 피고의 회신이 항고소송의 대상이 되는 행정처분에 해당하지 아니한다고 판단하였다. 2. 대법원의 판단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은 국토의 이용·개발과 보전을 위한 계획의 수립 및 집행 등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공공복리를 증진시키고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면서도 도시계획시설결정으로 인한 개인의 재산권행사의 제한을 줄이기 위하여, 도시·군계획시설부지의 매수청구권(제47조), 도시·군계획시설결정의 실효(제48조)에 관한 규정과 아울러 도시·군관리계획의 입안권자인 특별시장·광역시장·특별자치시장·특별자치도지사·시장 또는 군수(이하 ‘입안권자’라 한다)는 5년마다 관할 구역의 도시·군관리계획에 대하여 그 타당성 여부를 전반적으로 재검토하여 정비하여야 할 의무를 지우고(제34조), 주민(이해관계자 포함)에게는 도시·군관리계획의 입안권자에게 기반시설의 설치·정비 또는 개량에 관한 사항, 지구단위계획구역의 지정 및 변경과 지구단위계획의 수립 및 변경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도시·군관리계획도서와 계획설명서를 첨부하여 도시·군관리계획의 입안을 제안할 권리를 부여하고 있고, 위 입안제안을 받은 입안권자는 그 처리 결과를 제안자에게 통보하도록 규정하고 있는바, 이들 규정에 헌법상 개인의 재산권 보장의 취지를 더하여 보면, 도시계획구역 내 토지 등을 소유하고 있는 사람과 같이 당해 도시계획시설결정에 이해관계가 있는 주민으로서는 도시시설계획의 입안권자 내지 결정권자에게 도시시설계획의 입안 내지 변경을 요구할 수 있는 법규상 또는 조리상의 신청권이 있고, 이러한 신청에 대한 거부행위는 항고소송의 대상이 되는 행정처분에 해당한다고 할 것이다. 원심은 이와 달리 도시계획시설결정 변경신청에 대한 피고의 거부행위가 항고소송의 대상이 되는 행정처분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보아 이 사건 원고의 소를 각하한 제1심판결을 그대로 유지하였는바, 이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도시계획시설결정의 변경신청권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단을 그르친 것이다. 3. 결론 따라서 원심판결을 파기하되, 이 사건은 대법원이 직접 재판하기에 충분하므로 제1심판결을 취소하고, 행정소송법 제8조 제2항, 민사소송법 제418조 본문의 규정에 따라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제1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신(재판장) 민일영(주심) 박보영 권순일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도시계획 변경, 내 땅에 어떤 영향을 줄까? - 도시계획시설 변경과 토지 소유자의 권리

도시계획시설 설치에 관한 도시관리계획 대상 지역 내 토지 소유자는 도시관리계획 변경으로 자신의 토지 이용에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그 변경 결정에 대해 소송을 제기할 자격(법률상 이익)이 있다.

#도시계획 변경#토지 소유자#소송 제기 자격#법률상 이익

일반행정판례

도시관리계획 변경 시 주민 의견 꼭 들어야 할까?

도지사가 시/군에서 신청받은 도시관리계획안의 중요한 내용을 변경할 경우, 주민 의견을 다시 들어야 한다.

#도시관리계획#변경#주민 의견 청취#위법

일반행정판례

도로 개설 계획 변경, 주민이 요구할 수 있을까?

주민이 기존 도로개설 계획의 변경을 요청했지만 행정청이 거부한 경우, 이 거부는 행정소송의 대상이 되는 행정처분이 아니다. 왜냐하면 주민에게는 도로개설 계획 변경을 요구할 법적 권리가 없기 때문이다.

#도로개설 계획 변경#행정소송#행정처분#법적 권리

일반행정판례

도시계획 결정과 재산권 침해: 정당한 공공복리를 위한 계획은 무효가 될까?

도시계획에 따라 공원으로 지정된 땅의 소유자가 재산권 행사에 제약을 받더라도, 도시계획 결정 자체는 유효하며, 절차상 하자가 있더라도 취소 사유일 뿐 당연 무효는 아니다.

#도시계획#재산권#절차상 하자#취소

일반행정판례

도시관리계획 변경, 주민 의견 꼭 들어야 할까?

도지사가 시장/군수가 신청한 도시관리계획을 변경할 때, 그 변경 내용이 중요하다면 주민 의견을 다시 들어야 한다.

#도시관리계획 변경#주민 의견 청취#도지사#위법

일반행정판례

내 땅에 계단만 있는 도로를 만든다고? 도시계획, 제대로 해야지!

도시계획사업으로 토지가 수용될 수 있는 토지 소유자는 사업 실시계획 인가에 대해 소송을 제기할 자격이 있다. 또한, 과거 도시계획법에 따라 단순히 도로의 폭과 연장만 정해진 경우, 현재의 도시계획법에 맞춰 도로의 종류(일반도로, 보행자전용도로 등)를 명확히 하는 변경 결정 없이는 실시계획을 인가할 수 없다.

#도시계획사업#실시계획 인가#소송자격#토지소유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