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당이득금반환등

사건번호:

2016다240

선고일자:

20170531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타인의 권리의 매매에서 민법 제570조에 따른 매매계약 해제의 효과 및 매수인이 진정한 권리자인 타인에게 직접 목적물 또는 사용이익을 반환한 경우에도 매도인에게 목적물 및 사용이익을 반환할 의무를 부담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민법 제548조, 제570조

참조판례

대법원 1993. 4. 9. 선고 92다25946 판결(공1993상, 1358)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원심판결】 서울고법 2015. 12. 11. 선고 2015나9655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의 원고 패소 부분 중 상계항변에 관한 부분을 파기하고, 그 부분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타인의 권리의 매매의 경우에 매도인이 그 권리를 취득하여 매수인에게 이전할 수 없는 때에는 매수인은 계약을 해제할 수 있다(민법 제570조). 이러한 해제의 효과에 관하여 특별한 규정은 없지만 일반적인 해제와 달리 해석할 이유가 없다. 따라서 위 규정에 따라 매매계약이 해제되는 경우에, 매도인은 매수인에게 매매대금과 그 받은 날부터의 이자를 반환할 의무를 부담하고, 매수인 역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매도인에게 목적물을 반환할 의무는 물론이고 목적물을 사용하였으면 그 사용이익을 반환할 의무도 부담한다. 그리고 이러한 결론은 매도인이 목적물의 사용권한을 취득하지 못하여 매수인으로부터 반환받은 사용이익을 궁극적으로 정당한 권리자에게 반환하여야 할 입장이라 하더라도 마찬가지이다(대법원 1993. 4. 9. 선고 92다25946 판결 참조). 다만, 매수인이 진정한 권리자인 타인에게 직접 목적물 또는 사용이익을 반환하는 등의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는 매수인은 적어도 그 반환 등의 한도에서는 매도인에게 목적물 및 사용이익을 반환할 의무를 부담하지 않는다고 할 것이다. 2.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고는 ‘원고가 2013. 11. 13. 이 사건 토지의 진정한 소유자와 사이에 이 사건 토지에 관한 매매계약을 체결하면서 모든 법률관계를 종결하고 매매계약을 체결하기로 약정하여 사용이익의 정산을 완료하였으므로, 피고에게 사용이익을 반환할 의무가 없다’고 주장하였다. 원심은 원고와 진정한 소유자 사이에 이 사건 토지의 사용이익에 관한 정산이 있었다는 사정만으로는 원고의 피고에 대한 사용이익 반환의무의 성립에 영향이 없다는 이유로 원고의 위 주장을 배척하고, 피고의 원고에 대한 사용이익 반환채권이 있음을 전제로 원고의 피고에 대한 이자채권과의 상계항변을 일부(59,435,887원) 받아들였다. 그러나 앞서 본 법리에 의하면, 원고가 그 주장과 같이 이미 진정한 소유자와 사이에 사용이익에 관한 정산을 완료하였다면, 그 구체적인 사실관계에 따라서는 원고가 피고에게 매매계약 해제에 따른 원상회복으로서의 사용이익 반환의무를 부담하지 않고, 그 결과 피고의 상계항변은 배척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런데도 원심은 원고와 진정한 소유자 사이의 정산 여부에 관하여 별다른 심리도 없이 위와 같은 정산 여부가 원고의 피고에 대한 사용이익 반환의무의 성립에 영향이 없다고 단정한 나머지 피고의 상계항변을 일부 받아들이고 말았다. 이러한 원심판결에는 타인의 권리의 매매의 해제와 그에 따른 사용이익의 반환 등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필요한 심리를 다하지 아니함으로써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있다. 3. 이에 원심판결의 원고 패소 부분 중 상계항변에 관한 부분(원고의 피고에 대한 매매대금에 관한 이자채권 중 피고의 상계항변에 의해 소멸되었다고 판단된 59,435,887원)을 파기하고, 그 부분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도록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상옥(재판장) 김창석 조희대(주심) 고영한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계약 해제 후 물건 돌려주기 어려울 땐 얼마를 돌려줘야 할까?

매수인이 부동산을 사서 다른 사람에게 팔아버린 후에 매매계약이 해제되면, 매도인에게 실제 판매가격에 이자를 더해서 돌려줘야 한다.

#부동산#매매계약 해제#제3자 처분#원상회복

민사판례

땅 주인이 돌아왔다! 계약 해제와 소유권 복귀 이야기

땅 주인이 건설회사에 땅을 팔고 소유권 이전까지 해줬지만, 건설회사가 돈을 다 안 냈을 때, 땅 주인은 계약을 해제하고 땅 소유권을 되찾아올 수 있다는 판결입니다.

#토지 매매#계약 해제#소유권#대금 미지급

민사판례

땅 팔았는데 돌려받지 못하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부동산 매매계약이 해제된 후, 매수인이 매도인에게 돌려줘야 할 부동산을 제3자에게 팔아버려 돌려줄 수 없게 된 경우, 매도인은 그 부동산의 가치만큼 돈으로 보상받을 수 있다. 이때, 매도인이 보상받아야 할 금액을 정확히 주장·입증하지 못하더라도 법원은 적극적으로 나서서 해당 금액을 파악하고 판단해야 한다.

#부동산#매매계약#해제#원상회복

민사판례

계약 해제 후 원상회복, 돌려줄 땐 언제 가격으로?

매매계약이 해제되었지만, 매수인이 이미 제3자에게 물건을 팔아버려 원래대로 돌려줄 수 없는 경우, 매수인은 매도인에게 **물건을 처분한 당시의 시가**를 배상해야 합니다. 이는 매수인과 매도인의 약정에 따라 매도인으로부터 직접 제3자에게 물건의 권리가 이전된 경우에도 마찬가지입니다.

#계약해제#원물반환불가#배상액#시가

민사판례

돌고 도는 땅, 다시 내 땅? 계약 해제에 관한 이야기

토지 매매 후 매수인 사정으로 매도인이 다시 그 토지를 매수하고 원래의 매매계약을 해제하기로 합의했는데, 매도인이 재매수 대금을 지급하지 않았다고 해서 원매매계약 해제 합의를 다시 해제할 수는 없다.

#토지#재매수#대금미지급#원매매계약해제

민사판례

부동산 매매계약 해제 후 등기말소와 돈 반환, 꼭 같이 해야 할까?

재판이 끝난 후 추가로 주장할 내용이 있다며 재판을 다시 열어달라고 신청했지만, 법원은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이는 법원의 재량에 속하는 문제이며,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재판을 다시 열어야 할 의무는 없다는 판례입니다. 특히 이 사건에서는 매매계약 해제에 따른 매매대금 반환 의무와 소유권이전등기 말소 의무는 별개의 사안이기 때문에 동시이행 관계가 아니라는 점도 판시되었습니다.

#변론재개신청기각#동시이행항변#매매계약해제#매매대금반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