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사기방지특별법위반

사건번호:

2021도10855

선고일자:

2022011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피고인이 통원치료로 충분한 병증인데도 총 15회에 걸쳐 입원진료를 받은 다음 피해자 회사에 보험금 지급을 청구하는 방법으로 보험금을 편취하였다는 공소사실에 대하여, 원심이 이를 유죄로 판단하면서 보험사기방지 특별법 제8조를 적용한 사안에서, 위 법은 2016. 3. 29. 제정되어 2016. 9. 30.부터 시행되었으므로 위 법 시행 전에 보험금을 지급받아 기수에 이른 범행에 대해서는 위 법 위반죄로 처벌할 수 없는데도, 원심이 위 법 시행 전의 범행에 대해서까지 위 법을 적용한 제1심판결을 그대로 유지한 데에는 죄형법정주의와 형벌법규 불소급의 원칙 등을 위반한 잘못이 있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헌법 제12조 제1항, 형법 제1조 제1항, 보험사기방지 특별법 제8조, 부칙(2016. 3. 29.) 제1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 고 인】 피고인 【상 고 인】 피고인 【원심판결】 인천지법 2021. 7. 23. 선고 2020노3032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인천지방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직권으로 판단한다. 이 사건 공소사실 요지는 피고인이 통원치료로 충분한 병증이어서 입원진료가 필요하지 않은데도 2015. 8. 5.경부터 2018. 11. 15.경까지 제1심판결 별지 범죄일람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총 15회에 걸쳐 병원에 입원한 다음 피해자 회사에 보험금 지급을 청구하는 방법으로 보험금을 편취하였다는 것이다. 원심은 이 사건 공소사실을 유죄로 판단하면서 「보험사기방지 특별법」(이하 ‘보험사기방지법’이라 한다) 제8조를 적용한 제1심판결을 그대로 유지하였다. 그러나 보험사기방지법은 2016. 3. 29. 법률 제14123호로 제정되어 같은 법 부칙(2016. 3. 29.)에 따라 공포 후 6개월이 지난 2016. 9. 30.부터 시행되었다. 따라서 보험사기방지법이 시행되기 전에 피고인이 피해자 회사에 보험금을 청구하여 보험금을 지급받아 기수에 이른 범행에 대해서는 피고인을 보험사기방지법 위반죄로 처벌할 수 없다. 그런데도 원심은 보험사기방지법이 시행되기 전에 피고인이 범한 범행에 대해서까지 위 법률을 적용한 제1심판결을 그대로 유지하였다. 원심판결에는 죄형법정주의와 형벌법규 불소급의 원칙 등을 위반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있다. 상고이유에 대한 판단을 생략한 채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도록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노정희(재판장) 김재형(주심) 안철상 이흥구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통원치료 받고 입원 보험금 타내면 사기죄?

실제로는 통원치료로 충분한데도 입원치료를 받고, 이 사실을 숨긴 채 보험사에 보험금을 청구하면 사기죄가 성립한다.

#통원치료#입원치료#보험사기#사기죄

형사판례

가짜 입원으로 보험금 타내면 안돼요! - 입원과 통원의 차이, 그리고 사기죄

단순히 병원에 오래 머문다고 다 입원은 아닙니다. 실제 필요한 치료를 받았는지, 의사의 관리가 필요했는지가 중요합니다. 필요 없는 입원으로 보험금을 타내면 사기죄이고, 이를 알면서도 입원확인서를 발급해준 의사는 방조죄입니다.

#가짜입원#보험사기#사기죄#의사방조죄

민사판례

필요 없는 입원으로 보험금 타갔다면? 보험사가 계약 해지할 수 있을까?

필요 없는 입원으로 보험금을 부당하게 타낸 경우, 보험회사는 보험계약 전체를 해지할 수 있다.

#보험계약 해지#부당청구#신뢰관계 파괴#입원

민사판례

보험사기? 과도한 보험 가입은 위험할 수 있습니다!

단기간에 여러 보험에 가입하고 잦은 입원으로 과도한 보험금을 받은 경우, 보험금 부정 취득 목적으로 계약을 맺었다고 볼 수 있다는 대법원 판결입니다. 직접적인 증거가 없더라도, 가입자의 재산 상태, 보험 가입 경위, 보험금 청구 정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할 수 있습니다.

#보험금 부정취득#과도한 보험가입#잦은 입원#보험금 청구

형사판례

병원 장기 입원과 보험사기, 그 경계는 어디일까?

환자의 상태에 비해 불필요하게 장기 입원을 유도하여 국민건강보험공단이나 민간 보험사로부터 부당하게 보험금을 타낸 경우, 실제 치료가 필요한 기간이 일부 포함되어 있더라도 지급받은 보험금 전체에 대해 사기죄가 성립한다.

#장기입원#보험금편취#사기죄#기망행위

형사판례

교통사고 후 과장 입원, 보험사기일까?

가벼운 사고라도 보험금을 더 타내려고 상해를 부풀려 장기 입원하고 과다한 보험금을 받으면 사기죄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실제 사고가 있었더라도 보험금 편취 의도가 있었다면 받은 보험금 전체가 사기 대상이 됩니다.

#보험사기#과다보험금#사기죄#경미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