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당이의

사건번호:

2022다285288

선고일자:

2023022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채무자나 소유자가 배당이의의 소를 제기한 경우의 소송목적물은 피고인 채권자가 경매절차에서 배당받을 권리의 존부·범위·순위에 한정되는지 여부(적극) 및 제3자가 채무자나 소유자로부터 배당받을 권리를 양수한 경우, 배당이의 소송이 계속되어 있는 동안에 소송목적인 권리 또는 의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승계한 경우에 해당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배당이의의 소의 원고적격은 채무자 또는 배당기일에 출석하여 배당표에 대하여 이의를 진술한 채권자에 한하여 인정되나, 담보권 실행을 위한 경매에서 경매목적물의 소유자는 위 채무자에 포함된다. 이때 채권자는 자기의 이해에 관계되는 범위 안에서만 다른 채권자를 상대로 채권의 존부·범위·순위에 대하여 이의할 수 있으나(민사집행법 제151조 제3항), 채무자나 소유자는 이러한 제한이 없으며(민사집행법 제151조 제1항), 채무자나 소유자가 배당이의의 소에서 승소하면 집행법원은 그 부분에 대하여 배당이의를 하지 아니한 채권자를 위하여서도 배당표를 바꾸어야 하므로(민사집행법 제161조 제2항 제2호), 채무자나 소유자가 제기한 배당이의의 소는 피고로 된 채권자에 대한 배당액 자체만이 심리대상이어서, 원고인 채무자나 소유자는 피고의 채권이 존재하지 아니함을 주장·증명하는 것으로 충분하고, 자신이 피고에게 배당된 금원을 배당받을 권리가 있다는 점까지 주장·증명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채무자나 소유자가 배당이의의 소를 제기한 경우의 소송목적물은 피고로 된 채권자가 경매절차에서 배당받을 권리의 존부·범위·순위에 한정되는 것이지, 원고인 채무자나 소유자가 경매절차에서 배당받을 권리까지 포함하는 것은 아니므로, 제3자가 채무자나 소유자로부터 위와 같이 배당받을 권리를 양수하였더라도 배당이의 소송이 계속되어 있는 동안에 소송목적인 권리 또는 의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승계한 경우에 해당된다고 볼 수는 없다.

참조조문

민사소송법 제81조, 민사집행법 제151조 제1항, 제3항, 제154조 제1항, 제161조 제2항 제2호, 제268조

참조판례

대법원 2015. 4. 23. 선고 2014다53790 판결(공2015상, 736)

판례내용

【원고 승계참가인, 상고인】 원고 승계참가인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베이시스 담당변호사 최영원) 【피고, 피상고인】 피고 (소송대리인 법무법인(유한) 대륙아주 담당변호사 정호정 외 1인) 【원심판결】 의정부지법 2022. 9. 20. 선고 2022나200295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 승계참가인이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민사소송법 제81조에 따르면, 소송이 법원에 계속되어 있는 동안 제3자가 소송목적인 권리 또는 의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승계한 경우 그 제3자는 소송이 계속된 법원에 승계참가신청을 할 수 있다. 배당이의의 소의 원고적격은 채무자 또는 배당기일에 출석하여 배당표에 대하여 이의를 진술한 채권자에 한하여 인정되나, 담보권 실행을 위한 경매에서 경매목적물의 소유자는 위 채무자에 포함된다. 이때 채권자는 자기의 이해에 관계되는 범위 안에서만 다른 채권자를 상대로 채권의 존부·범위·순위에 대하여 이의할 수 있으나(민사집행법 제151조 제3항), 채무자나 소유자는 이러한 제한이 없으며(민사집행법 제151조 제1항), 채무자나 소유자가 배당이의의 소에서 승소하면 집행법원은 그 부분에 대하여 배당이의를 하지 아니한 채권자를 위하여서도 배당표를 바꾸어야 하므로(민사집행법 제161조 제2항 제2호), 채무자나 소유자가 제기한 배당이의의 소는 피고로 된 채권자에 대한 배당액 자체만이 심리대상이어서, 원고인 채무자나 소유자는 피고의 채권이 존재하지 아니함을 주장·증명하는 것으로 충분하고, 자신이 피고에게 배당된 금원을 배당받을 권리가 있다는 점까지 주장·증명할 필요는 없다(대법원 2015. 4. 23. 선고 2014다53790 판결 참조). 따라서 채무자나 소유자가 배당이의의 소를 제기한 경우의 소송목적물은 피고로 된 채권자가 경매절차에서 배당받을 권리의 존부·범위·순위에 한정되는 것이지, 원고인 채무자나 소유자가 경매절차에서 배당받을 권리까지 포함하는 것은 아니므로, 제3자가 채무자나 소유자로부터 위와 같이 배당받을 권리를 양수하였더라도 그 배당이의 소송이 계속되어 있는 동안에 소송목적인 권리 또는 의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승계한 경우에 해당된다고 볼 수는 없다. 2. 원심은 판시와 같은 이유로, 청구취지 기재 부동산임의경매 사건의 채무자 겸 소유자인 원고가 배당이의를 한 경우의 소송목적물은 채권자인 피고가 경매절차에서 배당받을 권리의 존부이지 원고가 경매절차에서 배당받을 권리(잉여금을 수령할 권리)가 아니어서, 원고 승계참가인이 원고의 배당받을 권리를 양수하였더라도 원고로부터 이 사건의 소송목적인 권리를 승계하였다고 할 수 없다고 보아, 원고 승계참가인의 승계참가신청은 그 요건을 갖추지 못하여 부적법하다고 판단하였다. 앞서 본 법리 및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이러한 원심의 판단에 배당이의의 소에서 잉여금 채권의 양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함으로써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민유숙(재판장) 조재연 이동원 천대엽(주심)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경매 배당금 다툼, 나도 끼어들 수 있을까? - 보조참가, 제대로 알아보기

경매 배당금 소송에서, 배당금 채권을 압류한 제3자는 소송 결과에 따라 자신의 권리가 직접 영향을 받으므로 보조참가 자격이 있다.

#경매#배당금#보조참가#법률상 이해관계

민사판례

배당이의 소송에서 승소하려면? 내 몫을 주장해야 한다!

경매 배당 과정에서 다른 채권자의 배당에 이의를 제기하려면, 단순히 그 채권자가 배당받을 자격이 없다는 것만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본인이 그 배당금을 받을 권리가 있다는 점까지 입증해야 한다**는 판례입니다. 또한 배당을 받으려면 배당 요구 종기까지 적법한 배당 요구를 해야 하며, 그렇지 않은 채권자는 배당 이의를 제기할 자격이 없습니다.

#배당이의#배당받을 권리#입증책임#배당요구

민사판례

배당이의 소송에서 일부 승소 후 나머지 채권자 상대로 소송 진행 가능할까?

여러 채권자를 상대로 배당이의 소송을 제기하여 일부 승소했지만, 승소 판결이 자신의 배당액을 확정하지 않고 배당표를 다시 작성하라고만 지시한 경우, 나머지 채권자를 상대로 한 소송은 계속 진행할 수 있다.

#배당이의#일부승소#배당표재작성#소송유지

민사판례

경매 배당금, 진짜 주인을 찾아서!

경매 과정에서 채권을 양수받았지만, 이를 제대로 증명하지 못해 원래 채권자에게 배당이 된 상황에서, 다른 채권자가 배당이의소송을 통해 해당 배당금을 가져간 경우, 실제 채권양수인은 그 채권자에게 부당이득반환을 청구할 수 있다.

#경매#배당#채권양수#소명

민사판례

압류된 배당금에 대한 추심권자도 소송에 참여할 수 있을까? - 보조참가를 둘러싼 법정 공방

경매에서 배당금을 받을 채무자의 채권을 압류하고 추심명령을 받은 사람은 배당액에 영향을 미치는 소송에 보조참가할 수 있다.

#경매#배당금#채권압류추심권자#보조참가

민사판례

배당이의소송에서 이기려면 내가 배당받을 권리도 증명해야 한다!

빚을 갚지 않으려고 재산을 빼돌린 채무자의 행위(사해행위)를 취소하고, 그 돈이 배당되는 과정에서 이의를 제기할 때는 단순히 다른 채권자의 채권이 잘못되었다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자신이 배당받을 권리가 있음을 증명해야 한다.

#사해행위#배당이의소송#배당권#입증책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