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등기말소등기등

사건번호:

90다카27570

선고일자:

19910312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토지를 매수한 후 소유권이전청구권보전을 위한 가등기를 경료하고 그 토지 상에 타인이 건물 등을 축조하여 점유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상권을 설정한 뒤 가등기에 기한 본등기청구권이 시효의 완성으로 소멸하면 위 지상권도 소멸되는지 여부(적극) 나. 추완항소에 대하여 직권으로 적법여부를 심리 판단할 것인지의 여부(적극) 다. 가등기에 기한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이 시효의 완성으로 소멸된 경우 그 가등기 이후에 부동산을 취득한 제3자가 그 소유권에 기한 방해배제청구로서 그 가등기권자에 대하여 본등기청구권의 소멸시효를 주장하여 그등기의 말소를 구할 수 있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가. 토지를 매수하여 그 명의로 소유권이전청구권보전을 위한 가등기를 경료하고 그 토지 상에 타인이 건물 등을 축조하여 점유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상권을 설정하였다면 이는 위 가등기에 기한 본등기가 이루어질 경우 그 부동산의 실질적인 이용가치를 유지 확보할 목적으로 전소유자에 의한 이용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라고 봄이 상당하다고 할 것이고 그 가등기에 기한 본등기청구권이 시효의 완성으로 소멸하였다면 그 가등기와 함께 경료된 위 지상권 또한 그 목적을 잃어 소멸되었다고 봄이 상당하다. 나. 추완항소에 대하여는 직권으로 그 추완항소의 적법 여부에 대하여 심리판단하여야 한다. 다. 가등기에 기한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이 시효의 완성으로 소멸되었다면 그 가등기 이후에 그 부동산을 취득한 제3자는 그 소유권에 기한 방해배제청구로서 그 가등기권자에 대하여 본등기청구권의 소멸시효를 주장하여 그 등기의 말소를 구할 수 있다.

참조조문

가. 민법 제280조, 제281조 / 나. 민사소송법 제160조, 제383조 / 다. 민법 제214조, 제162조, 부동산등기법 제169조

참조판례

나. 대법원 1974.1.18. 자 73마651 결정, 1991.2.26. 선고 90다카26997 판결(공1991,1087)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겸 피상고인】 정제윤 소송대리인 변호사 고영록 【피고, 피상고인 겸 상고인】 강기영 소송대리인 변호사 임채홍 【원심판결】 광주지방법원 1990.7.13. 선고 88나3549 판결 【주 문】 원심판결 중 원고 패소부분을 파기하여 이 부분 사건을 광주지방법원 합의부에 환송한다. 피고의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기각 부분의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1. 원고소송대리인의 상고이유를 본다.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이 사건 토지에 설정된 피고 명의의 지상권이 입목의 소유를 목적으로 하고, 존속기간을 등기일인 1971.10.28.부터 15년으로 하고 있으나, 민법상 수목의 소유를 목적으로 하는 지상권의 존속기간은 당사자가 이를 약정하였다 하더라도 30년 보다 단축하지 못하므로, 위 지상권의 존속기간은 등기부상 기재에도 불구하고 2001.10.27.까지라고 판시하여, 위 지상권의 존속기간이 만료되지 아니하였음을 이유로 그 지상권설정등기의 말소를 구하는 원고의 이 사건 청구를 배척하고 있다. 그러나 기록에 의하면, 피고는 소외 전민진으로부터 잡종지인 이 사건 토지를 매수하여 그 명의로 소유권이전청구권보전을 위한 가등기를 마치면서 그 토지상에 타인이 건물 등을 축조하여 점유,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 사건 지상권을 설정하였다고 주장하고, 원고 또한 이를 원용하고 있는바, 이 사건 토지의 현황이나 지상권설정의 목적이 그 주장과 같다면, 이는 수목의 소유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라기 보다는 위 가등기에 기한 본등기가 이루어질 경우 그 부동산의 실질적인 이용가치를 유지, 확보할 목적으로 전 소유자에 의한 이용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라고 봄이 상당하다 할 것이고, 따라서 원심이 확정하고 있는 바와 같이 그 가등기에 기한 본등기청구권이 시효의 완성으로 소멸되었다면 그 가등기와 함께 경료된 위 지상권 또한 그 목적을 잃어 소멸되었다고 봄이 상당하다할 것이므로, 원심으로서는 이 사건 토지의 현황이나 지상권 설정의 목적 등에 관하여 살펴본 다음, 그 지상권의 소멸여부를 판단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다하지 아니한 채, 위 지상권이 등기부상의 표시대로 수목의 소유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라 하여 그와 같이 판시하였음은, 심리를 다하지 아니하거나 지상권의 효력이나 소멸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 할 것이므로, 이를 지적하는 논지는 이유있다.(그리고 기록에 의하면, 이 사건 제1심 판결은 1984.4.13.선고되고 그 무렵 패소한 피고에게는 그 판결이 공시송달 되었는바, 이에 대하여 피고는 그로부터 4년여가 경과된 1988.6.23.에 그 추완항소를 하였음이 명백하다. 그렇다면 원심은 직권으로라도 그 추완항소의 적법여부에 관한 심리를 하여야 할 것이다.) 2. 피고소송대리인의 상고이유를 본다. 가등기에 기한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이 시효의 완성으로 소멸되었다면 그 가등기 이후에 그 부동산을 취득한 제3자는 그 소유권에 기한 방해배제의 청구로서 그 가등기권자에 대하여 본등기청구권의 소멸시효를 주장하여 그 등기의 말소를 구할 수 있다 할 것인바, 원심이 같은 취지에서 피고에 대하여 이 사건 가등기의 말소를 명한 조치는 옳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소멸시효원용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 할 수 없다. 논지는 이유없다. 3. 그러므로 원심판결 중 원고 패소부분을 파기하여 그 부분 사건을 원심법원에 환송하고, 피고의 상고를 기각하며 그로 인한 소송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주한(재판장) 최재호 윤관 김용준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가등기와 소유권이전등기, 그리고 혼동

부동산에 가등기를 설정한 후, 가등기 설정자가 가등기권자에게 별도로 소유권이전등기를 해준 경우, 가등기의 효력은 어떻게 되는가? 이 판례는 가등기의 목적이 이미 달성되었으므로 가등기권은 소멸한다고 판결했습니다.

#가등기#소유권이전등기#가등기권 소멸#혼동

민사판례

가등기, 압류, 그리고 기판력: 흔들리는 권리관계 속에서

빚 때문에 압류된 부동산이 경매로 넘어갈 때, 원래의 빚보다 먼저 설정된 근저당권이 있으면 나중에 설정된 가등기는 효력을 잃는다. 이전에 가등기 말소 소송에서 패소했더라도, 이번 소송에서 가등기 효력에 대해 다시 다툴 수 있다.

#근저당권#가등기#공매#효력상실

민사판례

가처분 취소 후 본등기, 그럼 내 권리는 어떻게 되나요?

부동산에 대한 가처분이 취소된 후 다른 사람이 소유권 이전 등기를 마쳤을 때, 처분금지가처분을 한 사람(가처분권자)의 권리가 어떻게 되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가처분권자가 본안소송에서 이겨 등기를 먼저 했어도, 가처분이 취소되면 그 등기는 회복할 수 없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가처분 취소#본등기 경료#선행 가처분권자#권리 소멸

민사판례

돌아가신 아버지 땅, 내 맘대로 등기해도 될까요? 상속과 점유취득시효, 그리고 가등기에 대한 이야기

이 판례는 부동산 소유권 이전에 관한 특별조치법으로 만들어진 등기의 효력, 취득시효 완성자의 권리, 그리고 상속 관련 분쟁에 대한 판결입니다. 특별조치법에 의한 등기라도 허위 서류로 만들어졌다면 효력이 없고, 취득시효가 완성된 사람은 자신의 권리를 주장할 수 있으며, 상속인이라도 피상속인의 재산을 함부로 자기 것으로 등기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특별조치법#등기#효력#취득시효

민사판례

근저당권자의 가등기 말소청구, 이전 소송 결과에 묶이지 않는다!

땅 주인이 가등기 말소 소송에서 졌더라도, 그 이후에 근저당권을 설정한 사람은 새롭게 가등기 말소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이전 판결의 효력이 나중에 근저당권을 설정한 사람에게까지 미치지는 않는다.

#가등기 말소#근저당권자#기판력#소유권

민사판례

가등기, 본등기, 그리고 말소된 등기의 회복: 누가 책임져야 할까?

가등기에 기반한 본등기 이후, 이전에 있던 제3자의 등기가 자동으로 말소되었는데, 나중에 본등기 자체가 무효가 된 경우, 제3자는 말소된 자신의 등기를 되살리기 위해 소송을 할 필요가 없다. 등기소에서 직접 다시 등기를 살려줘야 한다.

#가등기#본등기#제3자 등기#말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