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선무효확인

사건번호:

91다12905

선고일자:

19910712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농업협동조합의 임원선거에 따른 당선자 결정의 무효 여부에 대한 확인을 구하는 소를 위 조합이 아닌 당선자 개인을 상대로 하여 제기할 이익이 있는지 여부(소극) 나. 확인의 이익의 유무와 법원의 직권판단

판결요지

가. 농업협동조합과 같은 단체의 임원선거에 따른 당선자 결정의 무효 여부에 대한 확인을 구하는 소의 경우, 당선자 개인을 상대로 제소하여서는 만일 그 청구를 인용하는 판결이 내려졌다 하더라도 그 판결의 효력이 당해 조합에 대하여 미친다고 할 수 없어 위 당선자 결정의 효과로서 부여되는 조합장의 지위를 둘러싼 당사자들 사이의 분쟁을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수단으로 가장 유효 적절한 방법이 될 수 없기 때문에, 당선자를 결정한 그 조합을 상대로 제소할 것이지 당선자 개인을 상대로 하여서는 그 확인의 이익이 있다고 볼 수 없다. 나. 소가 그 확인의 이익이 없어 부적법한지의 여부는 직권조사사항이므로 당사자의 주장 여부에 관계없이 법원이 직권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참조조문

가. 농업협동조합법 제41조, 제46조 / 가. 나. 민사소송법 제228조 / 나. 민사송법 제124조, 제265조

참조판례

가. 대법원 1973.12.11. 선고 73다1553 판결(공1974,7637), 1982.9.14. 선고 80다2425 전원합의체판결(공1982,928), 1991.6.25. 선고 90다14058 판결(공1991,1998) / 나. 대법원 1961.12.7. 선고 4294민상174 판결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원고 【피고, 상고인】 피고 소송대리인 변호사 정덕기 【원심판결】 광주고등법원 1991.3.27. 선고 90나4074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제1심판결을 취소한다. 이 사건 소를 각하한다. 소송총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 제1점을 본다. 1. 기록에 의하여 보면, 원고는 이 사건 소에 있어서, 1990.3.13. 원고와 피고 등 2인이 입후보하여 조합원의 직접투표로 실시한 소외 도덕농업협동조합 조합장 선거에서의 다수득표자는 원고인데도 불구하고, 위 조합선거관리위원회는 개표과정에서 원고에 대한 유효투표수 중 상당수를 무효표로 잘못 처리한 나머지, 피고가 다수득표를 하였다 하여 그를 당선자로 결정하였으니, 그 결정은 무효라고 주장하면서, 당선자인 피고를 상대로 위 결정의 무효와 원고가 당선자임의 확인을 구하였고, 원심은 이를 받아들여 원고의 위 청구를 인용한 제1심 판결을 유지하고 있다. 2. 그러나 농업협동조합과 같은 단체의 임원선거에 따른 당선자 결정의 무효 여부에 대한 확인을 구하는 소에 있어서는, 당선자를 결정한 그 조합을 상대로 제소할 것이지 당선자인 피고를 상대로 하여서는 그 확인의 이익이 있다고 볼 수 없다. 왜냐하면 당선자인 피고를 상대로 제소하여서는, 만일 그 청구를 인용하는 판결이 내려졌다 하더라도 그 판결의 효력이 당해 조합에 대하여 미친다고 할 수 없기 때문에, 위 당선자 결정의 효과로서 부여되는 조합장의 지위를 둘러싼 당사자들 사이의 분쟁을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수단으로 가장 유효 적절한 방법이 될 수 없기 때문이다. 3. 그렇다면 이 사건 소는 그 확인의 이익이 없어 부적법하다 할 것이고, 이 점은 직권조사사항이므로 당사자의 주장 여부에 관계없이 법원이 직권으로 판단하였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원심은 이에 따르지 않고 제1심과 마찬가지로 본안에 관하여 나아가 심리판단하고 말았으니 거기에는 확인의 소에 있어서의 소송요건인 확인의 이익 등의 법리를 오해함으로써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 아니할 수 없고, 이 점을 지적하는 논지는 이유 있다. 4. 이에 나머지 상고이유에 대하여는 판단을 하지 아니하고 원심판결을 파기함과 아울러 제1심 판결을 취소하며, 이 사건은 당원이 자판하기에 충분하므로, 이 소를 각하하고 소송총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우동(재판장) 배석 김상원 윤영철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농협 조합장 선거, 누구를 상대로 소송해야 할까? 투표용지 사인, 정말 중요할까?

농협 임원선거에서 당선 무효를 주장하려면 당선자 개인이 아닌 농협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해야 합니다. 또한, 선거규칙에서 투표관리자의 사인을 필수로 규정한 경우, 사인이 없는 투표용지는 무효표로 처리됩니다.

#농협#임원선거#당선무효#소송

민사판례

농협 조합장 선거, 부정선거 시 조합원의 권리는?

농협 조합장 선거에서 후보자가 허위 비방 유인물을 배포하여 선거의 공정성을 심각하게 해치고 결과에 영향을 준 경우, 조합원은 선거 무효 확인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농협#조합장 선거#무효 확인 소송#허위 비방

민사판례

노동조합 임원 선거 무효 소송, 누구를 상대로 해야 할까?

노동조합 임원 선거 결과에 불만이 있을 때, 당선자 개인을 상대로 소송을 걸어서는 안 됩니다. 소송은 선거 결과를 결정한 노동조합을 상대로 해야 합니다. 선거관리위원회 역시 소송의 대상이 될 수 없습니다.

#노동조합#임원선거#무효확인소송#당선자

민사판례

조합 이사장 선임 무효 확인 소송, 누구를 상대로 해야 할까?

이사장 선임 무효 확인 소송에서 이긴 원고는 그 판결에 불복하여 상고할 수 없으며, 이런 소송에서는 조합만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면 충분하고, 굳이 이사장 개인을 상대로 소송할 필요는 없다.

#이사장 선임 무효 확인 소송#상고이익#피고적격#조합

형사판례

농협 조합장 선거, 임원의 지위 이용한 선거운동은 불법!

농협 조합장 선거에서 현직 조합장과 이사가 직위를 이용하여 신규 조합원 교육 등을 핑계로 선거운동을 한 행위, 선거홍보물 제작에 관여한 행위, 식사를 제공한 행위 등이 농업협동조합법 위반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 사례.

#농협#조합장 선거#임직원#선거운동

민사판례

농협 조합원, 농협 상대로 소송? 알고보니 숨겨진 속사정!

농협 조합원이 자신의 부동산을 낙찰받은 농협을 상대로 대의원회 결의 무효확인 소송을 제기했지만, 법원은 조합원이 개인적인 이익을 위해 조합원의 지위를 남용한 것이라고 판단하여 소송을 부적법하다고 판결했습니다.

#농협#조합원#대의원회#결의 무효확인 소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