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인도등

사건번호:

91다45226

선고일자:

1992041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주민들이 비용을 부담하여 포장공사를 한 토지상에 지방자치단체(시)가 도로예정지 지정 및 지적승인고시를 하고 사실상 도로임을 이유로 과세를 하지아니하여 왔다는 사정만으로는 지방자치단체가 이를 점유, 관리하는 것으로 볼 수 없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주민들이 스스로 비용을 부담하여 도로상에 보도블럭 설치 및 콩크리트 포장공사를 실시한 토지상에 지방자치단체(시)가 도로예정지 지정 및 그 지적승인고시를 하였고 사실상 도로임을 이유로 과세를 하지 아니하여 왔다는 사정만으로는 지방자치단체가 이를 점유, 관리하는 것으로 볼 수 없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민법 제741조, 제192조

참조판례

대법원 1990.2.13. 선고 88다카20514 판결(공1990,622), 1990.6.26. 선고 88다카25267 판결(공1990,1567), 1992.2.14. 선고 91다22032 판결(공1992,1020)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부산직할시 소송대리인 변호사 김인규 【원심판결】 부산고등법원 1991.11.8. 선고 90나13581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기록에 의하여 살펴보면 주민들이 스스로 비용을 부담하여 도로상에 보도블럭 설치 및 콩크리트 포장공사를 실시한 이 사건에 있어서 피고가 이 사건 토지상에 도로예정지 지정 및 그 지적승인고시를 하였고 사실상 도로임을 이유로 이 사건 토지에 대하여 과세를 하지 아니하여 왔다는 등의 사정만으로는 피고가 이를 점유, 관리하는 것이라고 볼 수는 없다 하여 피고가 이 사건 토지를 점유, 관리하고 있음을 전제로 하는 원고의 이 사건 청구를 배척한 원심의 조치는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점유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으며 소론이 들고 있는 판례는 사안이 다른 것으로 이 사건에 적절한 것이 되지 못한다. 논지는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회창(재판장) 배만운 김석수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우리 동네 길, 누가 관리할까요? 도로 점유에 관한 이야기

오랫동안 마을 주민들이 도로처럼 사용하던 사유지에 대해, 지자체가 주민들의 포장공사에 대부분의 비용을 지원하고 이후 도로 관리도 맡게 되었다면, 지자체가 그 땅을 점유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는 대법원 판결입니다.

#사유지#도로#지자체 점유#대법원

민사판례

우리 동네 길, 누가 관리하나요? 도로 점유에 관한 법 이야기

국가나 지자체가 실제로 도로를 관리하고 지배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을 제시한 판례입니다. 단순히 도로처럼 보인다고 국가나 지자체 땅이 되는 것은 아니며, 그들이 실제로 도로 공사를 하고 유지·보수하는 등 관리 책임을 지고 있는지가 중요합니다.

#도로점유#국가/지자체#관리책임#도로공사

민사판례

우리 동네 도로, 누구 땅일까? 도로 점유에 관한 흥미로운 이야기

국가나 지자체가 도로를 점유하는 방식은 단순히 도로 관리만 하는 경우와 사실상 도로를 지배하는 경우로 나뉘며,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만든 도로라도 국가/지자체가 공사비 상당 부분을 부담하고 유지·보수를 책임지면 사실상 지배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단, 토지 소유자가 무상으로 도로를 제공한 것으로 볼 수 있는 경우는 예외가 될 수 있다.

#도로점유#주민자조사업#국가/지자체#공사비부담

민사판례

우리 동네 길, 누가 책임질까요? - 사실상 도로 점유에 관한 이야기

국가나 지자체가 도로를 만들거나 기존 도로를 확장/포장/하수도 설치 등으로 관리하면, 그 도로는 국가/지자체가 점유한 것으로 본다. 단순히 도로로 지정하거나 주민 편의를 위해 하수도 공사를 하는 것만으로는 점유로 보기 어렵다. 토지 소유자가 도로 제공 의사가 있었는지는 여러 사정을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한다.

#도로점유#국가/지자체 책임#부당이득반환청구#도로공사

민사판례

우리 동네 도로, 누가 책임져야 할까? - 도로 점유에 따른 보상 문제

국가나 지자체가 개인 소유의 땅을 도로로 사용하면서 보상을 하지 않은 경우, 토지 소유주는 부당이득반환청구를 할 수 있습니다. 이때 부당이득은 토지가 '도로'라는 현실적인 상태를 기준으로 계산해야 하며, 이자도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국도로 지정되었다 하더라도 지자체가 계속 관리하고 있다면 지자체의 점유는 계속된 것으로 봐야 합니다.

#도로 무단 점유#부당이득#부당이득 계산#도로 점유

민사판례

우리 동네 길, 누가 관리하는 거죠? - 도로 점유에 대한 이야기

지방자치단체가 도로로 사용하던 땅을 더 이상 점유하지 않는다고 볼 수 있을지 판단하려면, 단순히 물리적인 지배만 볼 게 아니라 여러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즉, 지자체가 어떻게 도로를 점유하게 되었는지, 원래 땅 주인이 땅을 어떻게 썼는지, 도로가 어떤 용도로 쓰였는지, 땅 주인이 도로 사용을 막을 수 있는지, 지자체가 땅 주인의 땅 사용을 허락했는지 등을 종합적으로 봐야 한다는 것입니다.

#도로점유#지자체#점유종료#판단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