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소유권보존등기말소

사건번호:

91다4874

선고일자:

1991100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수복지역내소유자미복구토지의복구등록과보존등기등에관한특별조치법에 의하여 경료된 소유권보존등기의 추정력

판결요지

수복지역내소유자미복구토지의복구등록과보존등기등에관한특별조치법에 의하여 소유권보존등기가 경료된 경우에는 그 토지를 사정받은 사람이 따로 있는 것으로 밝혀진 경우라도 그 등기는 같은 법 소정의 적법한 절차에 따라 마쳐진 것으로서 실체적 권리관계에 부합하는 등기로 추정되며 이는 부동산등기법에 따른 소유권보존등기의 경우 그 추정력이 부인되는 것과 모순되는 것이 아니다.

참조조문

수복지역내소유자미복구토지의복구등록과보존등기등에관한특별조치법 제15조

참조판례

대법원 1987.10.13. 선고 86다카2928 전원합의체판결(공1987,1973), 1989.11.28. 선고 88다카29115 판결(공1990,125), 1990.11.13. 선고 90다카8616 판결(공1991,67)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원고 1 외 2인 원고들 소송대리인 변호사 주문기 【피고, 피상고인】 망 소외 1의 소송수계인 피고 1 외 7인 피고들 소송대리인 변호사 이택수 【원심판결】 춘천지방법원 1990.12.21. 선고 90나1933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들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1. 상고이유를 본다. 수복지역내소유자미복구토지의복구등록과보존등기등에관한특별조치법(법률 제3627호)에 의한 소유권보존등기가 경료된 경우에는 그 토지를 사정받은 사람이 따로 있는 것으로 밝혀진 경우라도 그 등기는 같은 법 소정의 적법한 절차에 따라 마쳐진 것으로서 실체적 권리관계에 부합하는 등기로 추정된다 할 것이므로(당원 1987.10.13. 선고 86다카2928 전원합의체판결, 다만 이 판결은 임야소유권이전등기에관한특별조치법에 관한 것이나 그 법리는 이 사건에도 같다고 보여진다) 같은 취지에서 원심이 원심판결의 별지목록 제1, 4토지에 관하여 위 특별조치법에 따른 각 소유권보존등기가 경료된 사실을 인정한 다음 비록 원고들의 선대인 망 소외 2가 위 토지를 사정받았다 하더라도 그것만으로는 위 등기의 추정력을 번복할 수 없고 달리 그 등기가 허위 또는 위조되었거나 자격이 없는 보증인에 의하여 보증서 및 확인서에 기하여 경료되었다고 인정할 만한 증거가 없다는 이유로 원고들의 주장을 배척한 것은 기록에 비추어 정당하고 거기에 지적하는 바와 같은 법리의 오해나 채증법칙을 어긴 위법이 없다. 그리고 토지의 사정명의인이 그 토지를 원시취득하고 부동산등기법에 따른 소유권보존등기의 명의자에 대하여 그 부동산의 전소유자가 양도사실을 부인하는 경우에는 위 보존등기의 추정력이 부인됨은 주장하는 바와 같으나 그것이 위 특별조치법에 따른 보존등기의 추정력을 인정하는 것과 모순되는 것이 아니다. 2.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위 별지목록 제2토지에 관하여는 1973.8.9. 소외 3 명의로 소유권보존등기가 된 후 소외 4는 위 소외 3으로부터, 소외 5는 위 소외 4로부터, 피고 2는 위 소외 5로부터 각 진정한 소유자로 믿고 매수하여 순차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치고 인도받아 점유하고 있고, 같은 제3토지에 관하여는 1969.9.12. 소외 6 명의의 소유권보존등기가 된 후 소외 7은 위 소외 6으로부터, 소외 8은 위 소외 7로부터 각 진정한 소유자로 믿고 매수하여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치고 인도받아 1985.1.8. 소외 9에게 매도할 때까지 점유한 사실을 확정하여 각 등기부시효취득을 인정하였는바, 기록에 비추어 원심의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지적하는 바와 같은 법리의 오해나 채증법칙을 어긴 위법이 없다. 3. 또한 시효에 의하여 부동산의 소유권을 취득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점유자의 소유의 의사는 점유개시 당시에만 인정되면 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위 소외 6이 같은 목록 제5토지에 관하여 1956.3.경부터 1985.4.24.까지 소유의 의사로 점유하였다는 원심의 판단도 기록에 비추어 수긍이 되므로 거기에 채증법칙위배, 심리미진의 위법도 없다. 주장은 모두 이유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들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용준(재판장) 최재호 윤관 김주한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6.25 전쟁 후 토지 소유권 분쟁, 어떻게 해결할까요?

한국전쟁 후 수복지역에서 특별법에 따라 이루어진 토지 소유권 보존등기는 그 자체로 효력이 있으며, 다른 증거 없이 이전 소유자의 보상 신청 사실만으로는 등기의 효력을 뒤집을 수 없다는 판결.

#한국전쟁#수복지역#토지등기#특별조치법

민사판례

6.25 전쟁 후 수복지역 토지, 등기가 잘못됐다면? 간이절차로 바로잡을 수 있다!

한국전쟁 후 수복지역의 토지 소유권 정리를 위해 제정된 특별조치법에 따라 이루어진 등기는 실제 소유권과 일치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이를 뒤집으려면 등기의 근거가 된 확인서가 허위라는 명확한 증거가 필요합니다. 단순히 등기 내용과 실제 거래 과정이 다르다는 것만으로는 부족합니다. 또한, 이 특별조치법은 기존 등기가 있더라도 실제 소유권과 다르면 적용 가능합니다.

#수복지역#특별조치법#등기효력#확인서

민사판례

6.25 전쟁 후 미복구 토지, 진짜 주인은 누구? - 토지 소유권 분쟁 이야기

한국전쟁 이후 수복지역의 미복구 토지에 대해 특별조치법에 따라 등기가 된 경우, 그 등기는 실제 권리관계와 일치한다고 추정되며, 이를 뒤집으려면 등기의 근거가 된 보증서가 허위라는 것을 어느 정도 증명해야 합니다. 완벽한 확신까지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수복지역#토지#특별조치법#소유권보존등기

민사판례

6.25 전쟁 후 수복지역 토지, 누구 땅일까요? - 등기부 믿을 수 있나?

한국전쟁 이후 수복지역에서 간편한 절차로 토지 소유권을 되찾을 수 있도록 한 특별법에 따라 작성된 보증서가 허위로 의심될 경우, 그 보증서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등기는 효력이 없다는 판결.

#한국전쟁#수복지역#토지소유권#허위보증서

민사판례

6.25 전쟁 후 수복지역 토지, 누구 땅일까? 등기부 믿어도 될까요?

한국전쟁 이후 수복지역의 토지 소유권을 정리하기 위해 제정된 특별법에 따라 만들어진 등기는 실제 소유 관계를 반영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이를 뒤집으려면 명확한 증거를 제시해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단순히 의심스럽다는 정도로는 부족하며, 등기의 근거가 된 자료가 허위라는 것을 확실하게 입증해야 합니다.

#수복지역#토지#특별조치법#등기

민사판례

6.25 전쟁 이후 수복지역 토지, 국가가 그냥 가져갈 수 있을까?

한국전쟁 후 수복지역에서 미복구된 토지에 대해, 단순히 소유자 복구등록 신청 기한이 지났다고 해서 국가가 바로 소유권을 갖는 것은 아니다. 진짜 주인이 나타나면 소유권을 주장할 수 있다.

#수복지역#미복구토지#국가소유권#복구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