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범죄단속에관한특별조치법위반,약사법위반

사건번호:

91도1734

선고일자:

1991100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자백에 대한 보강증거의 정도와 그 증거방법

판결요지

자백에 대한 보강증거는 범죄사실 전체에 관한 것이 아니라고 하더라도 자백이 가공적이 아니고 진실한 것이라고 인정할 수 있는 정도이면 되는 것이고 이러한 증거는 직접증거뿐 아니라 정황증거나 간접증거라도 상관없다.

참조조문

형사소송법 제310조

참조판례

대법원 1990.5.25. 선고 90도191 판결(공1990,1409), 1990.6.22. 선고 90도741 판결(공1990,1623), 1990.9.25. 선고 90도1613 판결(공1990,2235)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변 호 인】 변호사 유현석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1.6.14. 선고 91노169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피고인 변호인의 상고이유를 본다. 원심이 인용한 제1심판결의 채택증거에 의하면 피고인에 대한 판시 범죄사실을 넉넉히 인정할 수 있다. 제1심 제1회 공판조서의 기재에 의하면 피고인이 처음 서울지검 마약반에 연행된 경위와 약병의 압수경위, 진술서를 쓴 경위에 대하여 변호인의 심문에 대한 답변이 기재되어 있을 뿐 제1심과 원심의 공판조서를 살펴보아도 검사 작성의 피고인에 대한 피의자신문조서가 소론과 같은 경위로 작성되었다는 자료는 찾아볼 수 없으므로 검사 작성의 피고인에 대한 피의자신문조서의 증거능력은 부인되어야 하고 신빙성도 없다는 주장은 받아들일 수 없다. 또 자백에 대한 보강증거는 범죄사실 전체에 관한 것이 아니라고 하더라도 피고인의 자백이 가공적이 아니고 진실한 것이라고 인정할 수 있는 정도이면 되는 것이고 이러한 증거는 직접증거뿐 아니라 정황증거나 간접증거라도 상관없다는 것이 당원의 견해인 바 ( 당원 1990.9.25. 선고 90도1613 판결 참조) 기록에 비추어 보면 위 제1심판결이 들고 있는 나머지 여러 증거들이 보강증거가 되기에 부족한 것이라고 보여지지 아니한다. 원심판결에 자백의 증거능력과 보강증거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고 증거 없이 범죄사실을 인정한 법률위반이 있다는 논지는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재성(재판장) 이회창 배만운 김석수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자백의 보강증거, 어디까지 인정될까?

피고인의 자백만으로 유죄를 인정할 수는 없고, 자백이 진실하다는 것을 뒷받침하는 보강증거가 필요합니다. 이 판례는 보강증거의 범위와 정도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자백#보강증거#형사소송법#정황증거

형사판례

자백, 그 진실을 밝히는 기준

자백이 증거로 사용될 수 있는지, 자백이 진실한지, 자백 외에 다른 증거가 있는지 판단하는 기준을 제시한 판례입니다. 자백만으로 유죄 판결을 내릴 수 없고, 자백이 진실임을 보여주는 다른 증거(보강증거)가 필요합니다.

#자백#증거능력#신빙성#보강증거

형사판례

자백의 보강증거, 어디까지 인정될까?

피고인이 마약 투약 및 제공 혐의를 자백했고, 다른 사람의 진술과 메시지 기록 등 간접적인 증거들이 자백의 신빙성을 뒷받침하여 유죄 판결을 받은 사례입니다. 법원은 직접적인 증거가 없더라도 자백의 진실성을 뒷받침하는 간접증거 또는 정황증거만으로도 유죄 판결을 내릴 수 있다고 판시했습니다.

#자백#보강증거#간접증거#마약

형사판례

자백의 진실성과 보강증거, 그 미묘한 관계

피고인이 여러 집에서 절도를 했다고 자백했는데, 일부 범행 장소(호수)를 기억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피고인 집에서 발견된 도난품이 자백의 신빙성을 높이는 보강증거로 인정되어 유죄 판결이 나온 사례입니다. 자백의 보강증거는 범죄 사실 전체를 입증할 정도가 아니어도, 자백이 진실임을 뒷받침할 정도면 충분하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자백#보강증거#압수물#절도

형사판례

자백만으로 유죄? 보강증거 없으면 안돼요!

피고인의 자백 외에 다른 증거가 없다면 유죄로 인정할 수 없다는 대법원 판결입니다. 1심과 2심에서 피고인의 자백만으로 유죄를 인정했지만, 대법원은 보강증거가 없다는 이유로 판결을 뒤집었습니다.

#자백#보강증거#유죄#판결

형사판례

자백의 신빙성 판단, 어떻게 해야 할까요?

피고인이 검찰에서 자백했지만 법정에서 번복한 경우, 단순히 진술이 다르다는 이유만으로 자백의 신빙성을 의심해서는 안 되며, 자백 내용의 합리성, 자백 동기, 정황 증거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판례입니다. 또한, 자백을 뒷받침하는 보강 증거는 직접 증거가 아니어도 되고, 범죄 사실 전체를 입증할 필요 없이 자백의 진실성을 뒷받침할 정도면 충분합니다.

#자백 신빙성#법정 진술 번복#보강 증거#종합적 고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