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유권확인

사건번호:

92다33381

선고일자:

19930112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갑이 농지상환을 완료하여 소유권을 취득하였다면 그 후에 이루어진 을 명의의 소유권보존등기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원인무효이고, 갑으로부터 농지를 매수한 자의 상속인들은 갑을 대위하여 그 등기의 말소를 구할 수 있으므로 원심으로서는 이 점을 석명하여 위 소유권보존등기의 말소청구가 정당한지 여부를 가려야 한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갑이 농지상환을 완료하여 소유권을 취득하였다면 그 후에 이루어진 을 명의의 소유권보존등기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원인무효이고, 갑으로부터 농지를 매수한 자의 상속인들은 갑을 대위하여 그 등기의 말소를 구할 수 있으므로 원심으로서는 이 점을 석명하여 위 소유권보존등기의 말소청구가 정당한지 여부를 가려야 한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민사소송법 제126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선정당사자),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대한민국 【원심판결】 서울민사지방법원 1992.6.26. 선고 92나7879 판결 【주 문】 원심판결 중 소유권보존등기말소에 관한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서울민사지방법원 합의부에 환송한다. 원고의 나머지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기각된 부분의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원심이 적법하게 확정한 사실에 의하면 이 사건 제1, 2토지는 모두 비자경농지로서 농지개혁법에 의하여 국가에 매수취득되어 그중 제1토지는 소외 1에게, 제2토지는 소외 2에게 각 농지분배되었고 이들은 각 1960.12.30. 그 상환을 완료하였으며, 원고의 선대 소외 3은 1950.3.경 위 소외 1로부터 이 사건 제1토지 부분을, 1959.4.경 위 소외 2로부터 이 사건 제2토지 부분을 각 매수하여 점유한 이래 그의 사후에는 그의 자녀들인 원고 및 선정자들이 그 점유를 승계하여 현재까지 이를 계속 경작해 오고 있는데, 현재 이 사건 제1토지는 미등기상태로 남아 있고, 제2토지에 관하여는 1961.4.3. 피고 명의로 소유권보존등기가 마쳐져 있다는 것이다. 농지개혁법에 따라 농지분배를 받아 상환완료를 한 경우에는 등기를 하지 아니하더라도 상환완료를 함으로써 그 분배받은 농지에 대하여 소유권을 취득하는 것이므로 위와 같은 사실관계하에서는 이 사건 제1토지는 위 소외 1, 제2토지는 위 소외 2에게 그 소유권이 있게 되는 것이나 위 소외 3이 그들로부터 이 사건 제1, 2토지를 매수하고 위 특별조치법에 의한 확인을 받았으며 시효취득까지 하였다 하더라도 그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을 가질 뿐이고, 등기를 마치지 않은 이상 누구에 대하여도 소유권을 주장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원고의 이 사건 제1, 2토지에 대한 소유권확인을 구한 부분을 배척한 원심의 조처는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 할 수 없다. 그러나 위에서 본 바와 같이 이 사건 제2토지에 대하여는 소외 박찬국가 1960.12.30. 그 상환을 완료함으로써 소유권을 취득하였다 할 것이므로 그 후에 이루어진 피고 명의의 소유권보존등기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원인무효라 할 것이고, 위 박찬국로부터 이 사건 제2토지를 매수한 망 박찬일의 상속인들인 원고나 선정자들은 직접 소유권에 기하여서는 이의 말소를 구할 수 없다 하겠으나 위 박찬국를 대위하여서는 이의말소를 구할 수 있다 할 것이니 원심으로서는 이 점을 석명하여 원고의 이 사건 제2토지에 대한 피고 명의의 소유권보존등기말소청구가 정당한지 여부를 가렸어야 할 것임에도 이에 이르지 못한 위법을 범하였다 할 것이어서 논지는 이 점을 지적하는 한도에서 이유 있다. 그러므로 원심판결 중 소유권보존등기말소에 관한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을 사건을 원심법원에 환송하며 원고의 나머지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기각된 부분의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농지개혁법에 따른 분배농지 상환 완료 후 소유권이전등기 청구, 가능할까?

농지개혁법에 따라 농지를 분배받은 사람이 상환을 완료했지만 등기 전에 관련 법이 폐지된 경우에도, 원래 땅 주인의 상속인에게 소유권이전등기를 청구할 수 있다.

#농지개혁법#분배농지#상환완료#소유권이전등기

민사판례

농지분배 받은 땅, 상속받았다면 소유권은 누구에게?

농지개혁법에 따라 국가로부터 농지를 분배받은 사람으로부터 그 농지를 매수한 사람은 국가를 상대로 직접 자기 명의로 소유권이전등기를 청구할 수 없다.

#분배농지#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농지개혁법#국가

민사판례

농지 상환 완료 후 소유권 이전, 적법한 분배로 추정될까?

농지 대금 상환을 완료하고 소유권 이전 등기를 마쳤다면, 그 농지는 적법한 절차에 따라 분배받았고, 분배받은 사람은 그 농지를 분배 전후로 실제로 사용 (점유 및 경작)했다고 법적으로 추정한다는 판례입니다.

#농지#상환완료#소유권이전등기#적법추정

민사판례

농지 상환 완료 전 매매, 그 복잡한 이야기

국가로부터 분배받은 농지를 상환 완료 전에 매수한 사람은 상환을 완료하더라도 국가에 직접 소유권 이전을 요구할 수 없다.

#농지#분배#상환#매매

민사판례

농지 분배와 관련된 소유권 분쟁, 대법원 판결 살펴보기

농지개혁법에 따라 분배된 농지의 소유권 이전 등기가 말소될 수 있는지, 관련 서류(상환대장, 상환증서)가 진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 그리고 법원이 증거를 제대로 살펴보지 않은 경우 판결이 잘못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판례입니다.

#농지개혁#소유권이전등기#상환대장#상환증서

민사판례

농지개혁법과 관련된 토지 소유권 분쟁, 대법원 판결 살펴보기

농지개혁사업 정리에 관한 특별조치법에 따라 이뤄진 소유권 이전 등기는, 설령 원래 농지 분배받은 사람이 상환 완료 전에 땅을 팔았더라도, 그 땅을 산 사람이 정해진 절차를 따라 상환을 완료하고 등기를 마쳤다면 유효할 가능성이 있다는 판결입니다. 등기의 효력이 추정되기 때문에, 등기가 잘못됐다고 주장하는 쪽이 그 근거를 제시해야 합니다.

#농지개혁#소유권이전등기#추정력#특별조치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