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당해고구제재심판정취소

사건번호:

94누11491

선고일자:

1995071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징계위원회에 회부된 징계대상자에게 부여하여야 할 소명 기회의 정도 나. 취업규칙 등에 재심절차에서의 징계대상자에게 진술기회 부여 규정이없는 경우, 진술기회 부여 없이 진행된 재심의 효력

판결요지

가.징계위원회에서 징계대상자에게 징계혐의 사실을 고지하고 그에 대하여 진술할 기회를 부여하면 족한 것이지 그 혐의사실 개개의 사항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발문을 하여 징계대상자가 이에 대하여 빠짐없이 진술하도록 조치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나. 취업규칙 등에 징계처분에 대한 재심절차에서 징계대상자에게 진술의 기회를 부여한다는 규정이 없는 이상 재심의 절차가 징계대상자에게 진술의 기회를 부여하지 않고 진행되었다고 하여 무효라고 할 수 없다.

참조조문

근로기준법 제27조 제1항

참조판례

나. 대법원 1992.10.9. 선고 91다14406 판결(공1992,3105), 1993.7.13. 선고 92다42774 판결(공1993하,2244), 1994.9.30. 선고 93다26496 판결(공1994하,2820)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중앙노동위원회위원장 【피고보조참가인】 주식회사 금성사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한미합동법률사무소 담당변호사 유경희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4.7.29. 선고 93구9943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제1점에 대하여 원심판결 이유를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이 그 판결에서 들고 있는 증거들을 종합하여 그 판시와 같은 징계사실을 모두 인정한 다음, 원고의 이와 같은 행위는 취업규칙 소정의 징계사유에 해당되며 이는 원고와 피고보조참가인 사이의 고용관계를 더 이상 존속시킬 수 없는 사유에 해당한다고 하여 이를 이유로 피고보조참가인이 원고를 해고한 것은 정당하다고 판단한 것은 수긍이 가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지적한 바와 같은 채증법칙을 위배한 잘못이나, 심리미진 내지 법리오해의 위법이 없다. 이 점에 관한 상고이유는 그 어느 것도 받아들일 수 없다. 2. 제2점에 대하여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원고가 이 사건 징계위원회에 출석하여 소명의 기회를 가진 사실을 인정한 후, 징계절차에 위법이 없다고 판단하고 있는 바,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상고이유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원고가 징계위원회에 출석하기는 하였으나 그 소명의 기회가 전면적으로 봉쇄되었다고 보여지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징계위원회에서 징계대상자에게 징계혐의 사실을 고지하고 그에 대하여 진술할 기회를 부여하면 족한 것이지 그 혐의사실 개개의 사항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발문을 하여 징계대상자가 이에 대하여 빠짐없이 진술하도록 조치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 사건 징계절차에 위법이 있다고 보여지지 않고, 원심이 이 점에 관하여 심리를 다하지 못한 잘못도 없으며, 한편 취업규칙 등에 징계처분에 대한 재심절차에서 징계대상자에게 진술의 기회를 부여한다는 규정이 없는 이상 재심의 절차가 징계대상자에게 진술의 기회를 부여하지 않고 진행되었다고 하여 무효라고 할 수 없다. 이러한 취지의 원심의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징계절차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없다. 이 점에 관한 상고이유도 받아들일 수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상고인인 원고의 부담으로 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준서(재판장) 박만호 김형선 이용훈(주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징계절차, 제대로 지켜야 효력 있을까? - 징계위원회 출석 통지와 소명 기회

회사가 징계위원회를 열 때 직원에게 미리 알려주지 않고 소명 기회도 충분히 주지 않으면 징계가 무효가 될 수 있지만, 직원이 이의 제기 없이 징계위원회에 출석하여 충분히 변명했다면 절차상 문제는 해결된 것으로 본다는 판례입니다.

#징계위원회#출석통지#절차위반#치유

민사판례

징계절차, 어디까지 지켜야 할까요? 진술 기회와 이해관계 있는 징계위원 참석 문제

직원 징계 시, 회사는 규정된 절차에 따라 진술 기회를 부여해야 하지만, 직원이 이를 거부하면 직원 없이 징계위원회를 열 수 있습니다. 또한, 징계위원의 이해관계 충돌을 금지하는 명시적 규정이 없다면, 이해관계가 있는 위원이 참석해도 징계는 유효합니다.

#징계위원회#진술기회#이해관계충돌#회사규정

일반행정판례

징계위원회 출석 통보, 시간적 여유는 필수!

회사가 직원을 징계할 때 징계위원회에 출석해서 자신의 입장을 설명할 기회를 줘야 하는데, 이때 충분한 소명 자료 준비 시간을 주지 않고 촉박하게 통보하면 징계는 무효가 된다.

#징계#소명 기회#준비 시간#징계위원회 출석 통보

일반행정판례

징계, 어디까지 정당할까요? - 징계절차와 사유에 대한 오해와 진실

회사가 직원을 징계할 때, 징계 사유를 미리 알려줘야 할 의무는 회사 규정에 명시된 경우에만 있다. 또한, 소명 기회를 줬다면 직원이 실제로 소명했는지 여부는 중요하지 않다. 징계 사유가 정당한지는 회사 규정을 기준으로 판단해야 한다.

#징계#혐의사실 통지#소명기회#징계사유

민사판례

징계위원회 운영과 징계절차에 관한 판례 해설

회사 내 징계위원회 운영기준은 취업규칙의 일부로 효력을 가지며, 징계위원의 불참석은 참석 포기로 간주될 수 있고, 반성문 미제출은 징계 무효 사유가 아니며, 해고 통보 절차에 하자가 있더라도 재심 기회가 있었다면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판결.

#징계위원회#운영기준#취업규칙#징계절차

민사판례

재심 기회도 안 주면 징계는 무효!

회사가 직원을 징계할 때 절차를 제대로 지키지 않아서 재심을 했는데, 그 재심 과정에도 문제가 있다면 원래 징계처분 자체가 무효라는 판결입니다.

#징계#재심#절차적 하자#무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