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유권이전등기

사건번호:

94다17772

선고일자:

19941111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종중의 성립에 있어 공동선조와 후손 사이의 대수에 제한이 있는지 여부 나. 소종중이나 지파종중의 실체를 판단하는 기준과 그 명칭 다. 명의신탁자인 종중이 수탁자인 사정명의인에게 실질적인 소유권을 주장할 수 있는지 여부 라. 종중규약이나 관례가 없는 경우, 대표자 선임이나 규약 채택을 위한 종중회의의 결의방법

판결요지

가. 종중이란 공동선조의 후손들에 의하여 선조의 분묘수호와 봉제사 및 후손 상호간의 친목도모를 목적으로 형성되는 자연발생적인 친족단체로서 그 선조의 사망과 동시에 그 자손에 의하여 성립되는 것으로서 그 대수에 제한이 없다. 나. 소종중이나 지파종중의 명칭은 중시조의 관직이나 시호 다음에 그 소종중 또는 지파종중의 시조의 관직이나 시호 등을 붙여 부르는 것이 일반적인 관행 또는 관습이지만, 종중은 공동시조의 봉제사와 분묘관리 및 그 후손 상호간의 친목을 위하여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된 종족집단인 점에 비추어 그 종중이 어떠한 종중인가는 그 명칭 여하에 불구하고 봉제사의 대상인 공동시조와 구성원인 후손의 범위 및 분묘관리의 상황 등 그 실체적 내용에 의하여 판단되어야 한다. 다. 임야의 사정명의를 수탁받은 자는 대외적으로 토지사정의 법리상 사정으로 인하여 임야의 소유권을 취득한다 하더라도 대내적으로는 명의신탁자에 대한 명의수탁자로서의 지위에 있으므로, 신탁자인 종중은 수탁자인 사정명의인에게 그 임야에 대한 실질적인 소유권을 주장할 수 있다. 라. 종중대표자의 선임이나 종중규약의 채택을 위한 종중회의의 결의의 방법은 종중규약이나 종중관례에 따르되 종중규약이나 종중관례가 없을 때에는 종장 또는 문장이 종중원 중 성년 이상의 남자를 소집하여 출석자의 과반수의 찬성으로 결의하는 것이 일반 관습이며, 종중원의 과반수가 출석하여 그 출석자의 과반수가 찬성하여야 유효한 결의로 되는 것은 아니다.

참조조문

가.나.다.라. 민법 제31조 / 다. 민법 제186조〔명의신탁〕 / 라. 민사소송법 제48조

참조판례

가. 대법원 1992.7.24. 선고 91다42081 판결(공1992,2524), 1992.10.27. 선고 92다30375 판결(공1992,3289) / 나. 대법원 1992.5.26. 선고 91다42609 판결(공1992,2006), 1992.12.11. 선고 92다30153 판결(공1993상,454) / 다. 대법원 1993.5.25. 선고 92다47694 판결(공1993하,1843) / 가. 대법원 1993.3.12. 선고 92다48789 판결(공1993상,1169), 1993.8.24. 선고 92다54180 판결(공1993하,2586)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풍산심씨 석홍공파 경서동 종친회 소송대리인 변호사 조영상 【피고, 상고인】 심중성 소송대리인 변호사 이재성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4.1.27. 선고 93나32752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제1점에 대하여 종중이란 공동선조의 후손들에 의하여 선조의 분묘수호와 봉제사 및 후손 상호간의 친목도모를 목적으로 형성되는 자연발생적인 친족단체로서 그 선조의 사망과 동시에 그 자손에 의하여 성립되는 것으로서, 그 대수에 제한이 없고(당원 1992.7.24. 선고 91다42081 판결; 1992.10.27. 선고 92다30375 판결 등 참조), 또한 소종중이나 지파종중의 명칭은 중시조의 관직이나 시호 다음에 그 소종중 또는 지파종중의 시조의 관직이나 시호등을 붙여 부르는 것이 일반적인 관행 또는 관습이지만, 종중은 공동시조의 봉제사와 분묘관리 및 그 후손 상호간의 친목을 위하여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된 종족집단인 점에 비추어 그 종중이 어떠한 종중인가는 그 명칭 여하에 불구하고 봉제사의 대상인 공동시조와 구성원인 후손의 범위 및 분묘관리의 상황 등 그 실체적 내용에 의하여 판단되어야 하는 것이다(당원 1992.5.26. 선고 91다42609 판결; 1992.12.11. 선고 92다30153 판결 등 참조).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거시증거에 의하여, 원고 종중은 심극효를 시조로 하는 풍산심씨 후손 중 19세인 심운(沈運, 자는 泰而)의 후손인 심석홍, 심 석 형제가 인천 서구 경서동의 진포리라는 마을에 정착해 살기 시작한 이후 그 후손들 중 성인 남자들로 구성되어 위 심 운을 공동시조로 하고 선조의 봉제사, 분묘수호, 위토관리, 종원의 친목도모를 위하여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된 소문중으로서 이 사건 토지의 사정 당시 이미 존재하고 있었고, 관습에 따라 그 명칭을 ‘심운공파’ 또는 ‘태이공파’라고 하지 않고 23세손인 심석홍의 이름을 따서 ‘석홍공파’라는 이름을 사용하였지만, 이는 위 공동시조로부터 심석홍의 아버지 심재오에 이르기까지 선조들이 모두 독자로 내려오거나 아들을 낳지 못한 채 죽어서 방계자손이 생기지 않다가 22세 심재오가 위 심석홍 및 심 석을 낳은 후 위 심 석이 6형제를 낳는 등 방계자손이 번창하기 시작하여 현재 위 두사람의 자손들만이 위 종중의 구성원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공식적인 종중이름을 지으면서 자손번창의 시점이 되는 세대의 장손인 심석홍의 이름을 종중 이름에 붙인 것이라고 인정하였는바, 관계증거를 기록과 대조하여 검토하여 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인정 및 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간다. 논지는 원고 종중이 위 심 운을 공동선조로 하는 종중이라면 위 심 운의 차손인 심최무의 후손도 종중원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나, 갑 제24호증의 2의 기재에 의하면 위 심 운의 외아들인 소외 심계희는 소외 심최저 및 심최무의 형제를 두었으나 차남인 위 심최무는 아들을 낳지 못한 채 사망한 사실이 인정되므로, 위 논지는 받아들일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원심판결에는 소론과 같이 종중의 성립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나, 채증법칙을 위배한 사실오인, 이유모순 및 심리미진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제2점에 대하여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거시증거에 의하여 인정되는 판시와 같은 이 사건 토지가 원고 종중원이던 소외 심민식, 심 전, 심종식, 심두식, 심우식 5인 명의로 사정된 경위, 위 각 토지에 관한 그 동안의 실제 이용상황 내지 관리형태, 최근까지의 피고를 포함한 원고 종중원들의 이 사건 토지에 관한 취급태도, 위 각 토지를 위한 종답 5필지의 관리 및 처분경위, 판시 각 종중 회의의 소집 및 개최경과 등에 비추어 이 사건 토지는 적어도 일정시대 토지사정이 이루어지기 이전에 종중재산으로 마련된 원고 소유의 토지이고, 다만 토지사정 당시 편의상 원고 종중의 각 계파를 대표하는 위 5인 명의로 신탁하여 사정을 받은 것으로 판단하였는바, 기록을 검토하여 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인정 및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채증법칙을 위배하여 사실을 잘못 인정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또한 임야의 사정명의를 수탁받은 자는 대외적으로 토지사정의 법리상 사정으로 인하여 임야의 소유권을 취득한다 하더라도, 대내적으로는 명의신탁자에 대한 명의수탁자로서의 지위에 있다 할 것이므로 신탁자는 사정명의인 수탁자에게 그 임야에 대한 실질적인 소유권을 주장할 수 있는 것이므로(당원 1993.5.25. 선고 92다47694 판결 참조), 원심의 위와 같은 조치가 임야 사정의 추정력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였거나 당원의 판례에 어긋난다고 할 수 없다. 논지도 이유 없다. 제3점에 대하여 종중 대표자의 선임이나 종중 규약의 채택을 위한 종중 회의의 결의의 방법은 종중규약이나 종중관례에 따르되 종중규약이나 종중관례가 없을 때에는 종장 또는 문장이 종중원 중 성년 이상의 남자를 소집하여 출석자의 과반수의 찬성으로 결의하는 것이 일반 관습이며(당원 1990.4.10. 선고 89다카6102 판결; 1981.9.22. 선고 81다832 판결 등 참조), 종중원의 과반수가 출석하여 그 출석자의 과반수가 찬성하여야 유효한 결의로 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원심이 1989.11.24.자 및 1991.5.12.자 원고 종중의 종중회의의 결의를 적법한 것으로 보고, 위 1991.5.12.자 종중회의에서 대표자로 선출된 소외 심혁두를 원고 종중의 적법한 대표자로 판단한 조치는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이 종중회의의 결의방법과 그 효력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였거나 당원의 판례에 위반되는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논지는 종중회의는 종중규약이나 종중관례가 없을 때에는 종중원의 과반수의 출석이 있어야 유효한 결의를 할 수 있다는 것이나, 이는 독자적인 견해로서 받아들일 수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용훈(재판장) 박만호 박준서(주심) 김형선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종중과 종중 재산에 대한 오해와 진실

종중은 특별한 조직이나 서류 없이도 성립될 수 있으며, 종중 재산임을 주장하는 쪽은 그 재산이 어떻게 종중 소유가 되었는지 설명하고 증명해야 하지만, 직접적인 증거가 없더라도 간접적인 정황 증거로 충분히 입증할 수 있다.

#종중#성립요건#재산#입증책임

민사판례

종중, 그 존재와 재산 관리에 관하여

이 판례는 종중이 소송 당사자가 될 수 있는 조건, 종중 재산을 관리하고 처분하는 방법, 그리고 종중 회의의 소집 절차 등에 대해 다룹니다. 즉, 종중이라는 단체가 법적으로 어떻게 인정되고 운영되는지에 대한 중요한 기준을 제시합니다.

#종중#당사자능력#비법인사단#재산관리

민사판례

종중, 그 복잡한 이야기 - 종중의 실체와 재산권에 대한 법원의 판단

종중이 소송을 제기하려면, 그 종중이 실제로 존재하고 대표자가 적법한 자격을 갖춰야 합니다. 또한, 종중 규약은 모든 종원을 공평하게 대해야 하며, 일부 종원의 권리를 부당하게 제한할 수 없습니다. 단순히 규약을 만든다고 해서 기존 종중의 재산이 새로 만들어진 단체의 소유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종중#실체#대표자 자격#종중 규약

민사판례

종중, 종중재산, 그리고 그 증명에 관하여

종중은 특별한 조직이나 서류 없이도 성립될 수 있으며, 종중 재산임을 주장할 때는 그 재산이 어떻게 종중 소유가 되었는지 설명해야 하지만 직접적인 증거가 없더라도 간접적인 증거들을 통해 추정할 수 있습니다.

#종중#성립요건#종중재산#입증방법

민사판례

종중, 종중재산, 그리고 명의신탁

이 판례는 종중의 성립 요건, 종중 재산임을 주장하는 방법, 그리고 종중 명의로 신탁된 재산의 소유권 귀속에 대한 기준을 제시합니다. 특정 지역 명칭을 사용하는 종중이라도 실제로 공동선조의 후손 전체로 구성되고 제사와 분묘 관리를 공동으로 한다면 해당 공동선조를 중시조로 하는 종중으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또한, 종중 재산임을 입증할 때는 반드시 명시적인 증거가 필요한 것이 아니라, 간접적인 사실을 통해서도 추정이 가능합니다.

#종중#성립요건#재산#명의신탁

민사판례

종중, 그 시작과 끝은 어디인가? - 종중 성립 요건, 대표자 선임, 종중 규약의 효력에 대한 심층 분석

종중은 특별한 조직 없이도 성립하며, 대표자 선출은 규약이나 관습에 따릅니다. 종중 규약으로 종원의 자격을 함부로 바꿀 수 없고, 자격 없는 사람이 참여한 종중 결의는 무효입니다.

#종중#성립요건#대표자 선임#종중 규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