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유권이전등기등

사건번호:

96다15923

선고일자:

19971010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종중의 종원에 대한 명의신탁 여부의 판단 기준 [2] 임야에 종중의 분묘가 있거나 위토 또는 종산이라는 사실만으로 종중의 소유로 볼 수 있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1] 어떤 임야가 종중의 소유인데 종원인 개인 명의로 신탁하여 등기를 마친 것이라고 인정하기 위하여는 그 임야가 종중의 소유로 된 과정이나 내용이 증명되거나 종중 시조를 중심으로 한 종중 분묘의 설치 방법이나 임야 관리 상태 등 여러 정황에 미루어 그 임야를 종중 소유로 인정할 수밖에 없는 많은 간접자료가 있어야 할 것이고, 그와 같은 자료들이 충분히 증명되지 아니하거나 오히려 반대되는 사실의 자료가 많을 때에는 이를 인정하여서는 안된다. [2] 임야에 공동 선조의 분묘가 있다거나 위토 또는 종산이라는 사실만으로는 이를 종중 소유로 볼 수 없다.

참조조문

[1] 민법 제31조, 제103조[명의신탁], 제186조/ [2] 민법 제31조, 민사소송법 제187조

참조판례

[1][2] 대법원 1997. 2. 25. 선고 96다9560 판결(공1997상, 862) /[1] 대법원 1994. 10. 25. 선고 94다29782 판결(공1994하, 3104), 대법원 1996. 9. 10. 선고 96다18816 판결(공1996하, 3001), 대법원 1997. 10. 10. 선고 96다20406 판결(같은 취지) /[2] 대법원 1992. 12. 22. 선고 91다15324 판결(공1993상, 539), 대법원 1994. 10. 7. 선고 94다28048 판결(공1994하, 2953), 대법원 1995. 11. 14. 선고 95다21471 판결(공1996상, 11)

판례내용

【원고,상고인】 삼척심씨 교수공 휘함파 종중 (소송대리인 변호사 정기승) 【피고,피상고인】 【원심판결】 서울고법 1996. 2. 15. 선고 94나32810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원고 소송대리인의 상고이유를 본다. 어떤 임야가 종중의 소유인데 종원인 개인 명의로 신탁하여 등기를 마친 것이라고 인정하기 위하여는 그 임야가 종중의 소유로 된 과정이나 내용이 증명되거나 종중 시조를 중심으로 한 종중 분묘의 설치 방법이나 임야 관리 상태 등 여러 정황에 미루어 그 임야를 종중 소유로 인정할 수밖에 없는 많은 간접 자료가 있어야 할 것이고, 그와 같은 자료들이 충분히 증명되지 아니하거나 오히려 반대되는 사실의 자료가 많을 때에는 이를 인정하여서는 아니되며( 대법원 1994. 10. 25. 선고 94다29782 판결, 1997. 2. 25. 선고 96다9560 판결 등 참조), 계쟁 임야에 공동 선조의 분묘가 있다거나 위토 또는 종산이라는 사실만으로는 이를 종중 소유로 볼 수 없다고 할 것이다( 대법원 1992. 12. 22. 선고 91다15324 판결, 1994. 10. 7. 선고 94다28048 판결 등 참조).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이 사건 각 임야는 원래 원고 종중의 소유인데 종원인 피고들 명의로 신탁하여 등기를 마친 것이라는 원고의 주장에 대하여, 그 주장에 부합하는 듯한 원심 판시의 간접 사실들에도 불구하고, 그 판시한 바와 같은 여러 가지 반대 사실 등에 비추어 보면 위 원고의 주장을 인정하기는 어렵다는 이유로 원고의 피고들에 대한 청구를 모두 배척하였는바, 관계 증거를 기록에 의하여 살펴보면 위와 같은 원심의 사실인정 및 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가고, 거기에 상고이유로서 지적하는 바와 같이 종중재산의 소유관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거나 심리를 제대로 하지 아니하고, 채증법칙을 어겨 사실을 오인함으로써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논지는 모두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송진훈(재판장) 천경송 지창권(주심) 신성택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종중 땅?! 증명하기 쉽지 않네요!

단순히 종중 분묘가 있다거나, 어른들로부터 종중 땅이라고 들었다는 이야기만으로는 토지가 종중 소유라고 인정받기 어렵습니다. 종중 소유임을 뒷받침하는 여러 증거가 필요해요.

#종중 땅#소유권 증명#증거 불충분#분묘 존재

민사판례

종중 땅, 그냥 묘지 있다고 우리 땅이라고 할 수 있나요?

단순히 묘의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땅(위토)이나 조상의 묘가 있는 산(묘산, 종산)이라는 사실만으로는 그 땅이 종중 소유라고 볼 수 없다는 대법원 판결.

#종중#토지 소유권#위토#묘산

민사판례

종중 땅, 누구 땅일까? - 명의신탁과 종중 소유 인정에 관하여

조부 명의로 사정된 후 아버지 명의로 소유권보존등기된 임야를 장남이 종원들과 공동명의로 등기한 경우, 여러 정황 증거를 통해 해당 임야가 종중 소유이고 종원들에게 명의신탁된 것으로 볼 수 있다는 판결.

#종중#명의신탁#소유권#임야

민사판례

묘산이나 위토라고 무조건 종중 땅은 아니에요!

단순히 묘지나 제사 관련 토지라는 사실만으로는 종중 소유라고 단정할 수 없다. 종중이 직접 소유권을 취득했는지, 아니면 개인이 자신의 땅을 묘지나 제사용으로 제공했는지 등 구체적인 사정을 따져봐야 한다.

#묘지#제사#토지#종중 소유

민사판례

종중 땅, 누구 땅일까요? 명의신탁과 종중 소유 증명 이야기

종중 땅을 종중원 이름으로 등기했을 때, 실제로 종중 땅임을 인정받으려면 어떤 조건을 갖춰야 할까요? 단순히 종중원 이름으로 등기되었다고 해서 종중 땅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닙니다. 여러 정황 증거를 통해 종중 소유임을 입증해야 합니다.

#종중#명의신탁#토지#소유권

민사판례

종중 땅, 누구 땅일까? - 명의신탁과 종중 소유 입증

조상 땅을 개인 이름으로 등기했더라도 여러 정황 증거를 통해 종중 땅임을 인정할 수 있다는 판례입니다. 함양박씨 종중이 박동섭이라는 개인 명의로 등기된 땅이 원래 종중 땅이라고 주장한 소송에서, 대법원은 여러 정황 증거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종중의 손을 들어주었습니다.

#종중 토지#명의신탁#정황 증거#판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