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유권이전등기말소

사건번호:

96다49902

선고일자:

19970311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구 임야소유권이전등기등에관한특별조치법에 의한 등기의 추정력 번복을 위한 입증의 정도 [2] 구 임야소유권이전등기등에관한특별조치법에 의한 등기에 있어서 보증인 중 1인의 보증이 허위 또는 위조된 것으로 판명된 경우, 추정력의 번복 여부(적극) [3] 법원이 등기부취득시효의 주장 가운데 점유취득시효의 주장이 포함되어 있는지 석명할 의무가 있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1] 구 임야소유권이전등기등에관한특별조치법(1969. 5. 21. 법률 제2111호, 실효)에 의한 등기는 같은 법 소정의 적법한 절차에 의하여 마쳐진 것으로서 실체관계에 부합하는 등기로 추정되므로 그 등기의 말소를 소구하는 자에게 그 추정 번복에 대한 주장·입증책임이 있지만, 상대방이 등기의 기초가 된 보증서나 확인서가 위조되거나 또는 그 실체적 기재 내용이 허위임을 자인하거나 실체적 기재 내용이 진실이 아님을 의심할 만큼 증명이 된 때에는 등기의 추정력은 번복된 것으로 보아야 하고, 보증서 등의 허위의 입증 정도가 법관이 확신할 정도가 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2] 구 임야소유권이전등기등에관한특별조치법(1969. 5. 21. 법률 제2111호, 실효)에 의한 등기에 있어서 보증서의 보증인을 3인으로 하도록 규정한 취지가 일방적인 신청에 의하여 등기의무자의 의사와는 관계없이 경료되는 같은 법에 의한 등기의 진실성을 담보하는 데 있으므로, 보증인 중 1인의 보증내용이 허위이거나 그 보증인의 보증이 위조된 것으로 판명되면 그 보증서는 허위 내지는 위조된 보증서로서 등기의 적법 추정력이 번복된다. [3] 석명권 행사는 법원이 심리를 함에 있어서 당사자의 주장에 모순·흠결이 있거나 애매하여 불명료한 경우에 이를 명백히 하기 위한 것이므로 등기부취득시효의 주장임이 분명한 경우, 법원이 점유취득시효의 주장이 함께 포함되어 있는 것인지 여부를 석명할 의무까지 있다고는 할 수 없다.

참조조문

[1] 구 임야소유권이전등기등에관한특별조치법(1969. 5. 21. 법률 제2111호, 실효) 제5조 , 민법 제186조 / [2] 구 임야소유권이전등기등에관한특별조치법(1969. 5. 21. 법률 제2111호, 실효) 제5조 , 민법 제186조 / [3] 민사소송법 제126조 , 민법 제245조

참조판례

[1] 대법원 1993. 7. 13. 선고 93다1381 판결(공1993하, 2266), 대법원 1993. 10. 26. 선고 93다5383 판결(공1993하, 3170), 대법원 1994. 12. 22. 선고 93다30334 판결(공1995상, 614) /[3] 대법원 1981. 7. 14. 선고 80다2360 판결(공1981, 14194), 대법원 1992. 5. 22. 선고 92다3892 판결(공1992, 1978), 대법원 1994. 8. 12. 선고 94다13053 판결(공1994하, 2296)

판례내용

【원고,피상고인】 유유식 (소송대리인 변호사 이관표) 【피고,상고인】 유흥열 외 3인 (피고들 소송대리인 변호사 배만운) 【원심판결】 대전지법 1996. 10. 30. 선고 96나3720 판결 【주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들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본다. 1. 임야소유권이전등기등에관한특별조치법(법률 제2111호, 이하 특조법이라고 한다)에 의한 등기는 같은 법 소정의 적법한 절차에 의하여 마쳐진 것으로서 실체관계에 부합하는 등기로 추정되므로 그 등기의 말소를 소구하는 자에게 그 추정 번복에 대한 주장·입증책임이 있지만, 상대방이 그 등기의 기초가 된 보증서나 확인서가 위조되거나 또는 그 실체적 기재내용이 허위임을 자인하거나 실체적 기재내용이 진실이 아님을 의심할 만큼 증명이 된 때에는 등기의 추정력은 번복된 것으로 보아야 하고, 보증서 등의 허위의 입증정도가 법관이 확신할 정도가 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라고 할 것이다( 대법원 1993. 7. 13. 선고 93다1381 판결 등 참조).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그 거시 증거에 의하여, 피고 유흥열, 유근영, 유봉열이 이 사건 임야의 사실상의 소유자임을 보증한다는 취지의 보증인 김성일, 김수일, 유준봉의 보증서에 기하여 당시 관할 군수의 확인서를 발급받아 이 사건 임야에 관하여 특조법에 의한 위 피고들 명의의 소유권보존등기를 경료한 사실, 위 보증인 중 당시 농지위원장이었던 위 소외 1은 위 유준봉의 인감을 보관하고 있음을 기화로 위 유준봉이 위 피고들이 이 사건 임야의 진정한 소유자인지 여부에 관하여 잘 알지도 못할 뿐만 아니라 위 보증서를 작성하여 준 사실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위 보증서상의 위 유준봉의 명의를 위조하여 위 보증서를 작성한 사실을 인정한 후, 위 인정 사실에 의하면, 위 피고들 명의의 소유권보존등기는 그 기재내용이 진실인지 여부가 의심이 가고 위 유준봉 명의 부분이 위조된 위 보증서에 기하여 마쳐진 것이어서 그 적법추정력이 번복되었다고 판단하였는바,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 사실인정 및 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되고, 거기에 상고이유로 주장하는 바와 같이 채증법칙 위배로 사실을 오인하고 보증서의 위조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거나 또는 특조법상의 보증서의 허위성과 특조법에 의하여 마쳐진 등기의 추정력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고 보증서의 허위성에 관한 심리를 다하지 아니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위 유준봉이 그의 인감을 위 소외 1에게 맡겼다고 하여,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그에게 위 유준봉 명의로 보증서를 작성하는 권한까지 위임한 것이라고는 볼 수 없으며, 한편 특조법에 의한 등기에 있어서 보증서의 보증인을 3인으로 하도록 규정한 취지가 일방적인 신청에 의하여 등기의무자의 의사와는 관계없이 경료되는 특조법에 의한 등기의 진실성을 담보하는 데 있다는 점에 비추어 보면, 보증인 중 1인의 보증내용이 허위이거나 그 보증인의 보증이 위조된 것으로 판명되면 그 보증서는 허위 내지는 위조된 보증서로서 등기의 적법추정력이 번복된다고 봄이 상당하다. 이와 반대되는 견해를 전제로 한 주장은 받아들일 수 없다. 2. 기록에 비추어 보면, 원심이 피고들의 이 사건 임야에 대한 등기부취득시효 주장을 그 설시와 같은 이유로 배척한 조치는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되고, 거기에 상고이유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채증법칙 위배 또는 등기부 취득시효에 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상고이유에서 들고 있는 사정만으로 이 사건 임야가 원래 임야대장상의 명의자인 소외 유문환의 소유가 아니라 문화유씨감사공파 종중의 소유였다고 인정하기에는 부족하고 그 밖에 기록을 살펴보아도 이를 인정할 만한 자료를 찾아볼 수 없다. 이 점에 관한 상고이유의 주장은 결국 원심의 전권인 증거의 취사와 사실의 인정을 다투는 것이거나 원심의 인정과는 다른 사실을 전제로 원심판결을 나무라는 것에 불과하여 받아들일 수 없다. 또 기록에 의하면, 피고들은 이 사건 임야에 대한 소유권이전등기가 경료된 때로부터 이 사건 임야를 소유의 의사로 점유하였으므로 취득시효기간인 10년의 경과로 그 소유권을 시효취득하였다는 취지로 등기부취득시효를 주장하고 있을 뿐 점유취득시효는 주장하지 않고 있음이 분명한바(기록 130쪽의 준비서면), 석명권행사는 법원이 심리를 함에 있어서 당사자의 주장에 모순·흠결이 있거나 애매하여 불명료한 경우에 이를 명백히 하기 위하여 하는 것이므로, 원심이 등기부취득시효의 주장임이 분명한 위 주장속에 점유취득시효의 주장이 함께 포함되어 있는 것인지의 여부를 석명할 의무까지 있다고는 할 수 없다. 원심이 이 점에 관하여 심리를 다하지 아니하여 점유취득시효에 관한 판단을 유탈하였다는 주장도 받아들일 수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들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임수(재판장) 최종영 정귀호(주심) 이돈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숲 땅 내꺼 맞죠? 등기부에 내 이름 있잖아요! - 임야 특별조치법상 소유권보존등기의 효력

옛날 임야 소유권 정리 과정에서 특별조치법에 따라 만들어진 소유권보존등기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유효하며, 이를 뒤집으려면 그 등기 과정에 문제가 있었다는 것을 입증해야 한다.

#임야 특별조치법#소유권보존등기#추정력#보증인

민사판례

옛날 임야 소유권 등기에 관한 법률과 등기의 효력

과거 임야 소유권 분쟁을 간소화하기 위해 시행된 특별조치법에 따라 만들어진 등기는 진짜 소유권을 반영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하지만 그 등기가 거짓 정보에 기반하여 만들어졌다는 의심이 들 만큼 충분한 증거가 있다면, 그 추정은 뒤집힐 수 있습니다. 절대적인 확신까지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임야 특별조치법#등기 효력#추정력 번복#허위 보증서

민사판례

특별조치법에 의한 등기의 효력, 진실 앞에 무너지다!

과거 임야나 토지 소유권 정리 과정에서 사용된 특별조치법에 따라 만들어진 등기는 원칙적으로 유효하다고 추정되지만, 허위 서류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경우에는 그 효력을 잃는다.

#특별조치법#등기#추정력#허위보증서

민사판례

옛날 임야 소유권 등기, 보증인 자격 문제될 수 있어요!

옛날 임야 소유권 정리 과정에서 보증인 자격이 없는 사람의 보증으로 등기가 된 경우, 그 등기의 효력을 다툴 때에는 보증인 자격을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는 판례입니다. 특히 관련 서류가 없어진 경우에는 더욱 신중해야 합니다.

#임야 소유권#특별조치법#보증인 자격#등기 효력

민사판례

옛날 임야 등기, 땅 주인은 누구?

옛날 임야 등기에 관한 특별법(특조법)에 따라 등기가 된 임야의 경우, 등기 당시 제출된 서류에 적힌 취득 원인(매매, 증여 등)과 실제 취득 원인이 다르다고 해서 바로 등기의 효력이 없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등기의 효력을 없애려면 실제 취득 원인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더 확실하게 입증해야 합니다. 또한 특조법 적용 대상은 1960년 1월 1일 이전의 법률행위로 사실상 양도된 임야에만 국한되지 않습니다.

#특조법#임야등기#효력#취득원인

민사판례

옛날 임야 등기, 그 복잡한 이야기

과거 임야 소유권 정리를 위해 시행되었던 임야소유권이전등기등에관한특별조치법(이하 특조법)에 따라 이루어진 등기의 효력과 관련하여, 매매 사실이 없었다는 주장에 대해 명의신탁 해지를 주장하는 경우 등기의 추정력이 어떻게 판단되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특조법에 따른 등기는 실체관계에 부합한다고 추정되지만, 보증서 내용이 허위임이 입증되거나 자인된 경우 그 추정력은 번복됩니다. 다만, 명의신탁 해지 주장 자체가 보증서 허위 자인으로는 볼 수 없으며, 명의신탁 해지 시점이 특조법 적용 기간 내에 있었는지 여부를 따져봐야 합니다.

#임야 특별조치법#등기 효력#명의신탁 해지#등기 추정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