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소유권확인등

사건번호:

97다9529

선고일자:

19970627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국유재산에 관한 사무에 종사하는 직원이 타인 명의로 국유재산을 취득 및 전매한 행위의 효력(무효) [2] 소유권이전등기청구 소송에서 패소한 자가 소유권에 기하여 소유권확인 또는 진정한 등기 명의의 회복을 위한 소유권이전등기를 청구할 수 있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1] 구 국유재산법(1976. 12. 31. 법률 제295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7조는 같은 법 제1조의 입법 취지에 따라 국유재산 처분 사무의 공정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관련 사무에 종사하는 직원에 대하여 부정한 행위로 의심받을 수 있는 가장 현저한 행위를 적시하여 이를 엄격히 금지하는 한편, 그 금지에 위반한 행위의 사법상 효력에 관하여 이를 무효로 한다고 명문으로 규정하고 있으므로, 국유재산에 관한 사무에 종사하는 직원이 타인의 명의로 국유재산을 취득하는 행위는 강행법규인 같은 법 규정들의 적용을 잠탈하기 위한 탈법행위로서 무효이고, 나아가 같은 법이 거래안전의 보호 등을 위하여 그 무효로 주장할 수 있는 상대방을 제한하는 규정을 따로 두고 있지 아니한 이상, 그 무효는 원칙적으로 누구에 대하여서나 주장할 수 있으므로, 그 규정들에 위반하여 취득한 국유재산을 제3자가 전득하는 행위 또한 당연무효이다. [2] 확정판결의 기판력은 주문에 포함된 소송물인 법률관계의 존부에 관한 판단의 결론에 대하여서만 생기는 것이어서, 소유권이전등기절차의 이행을 명한 확정판결의 기판력은 소송물인 그 이전등기청구권의 존부에만 미치고 소송물이 되어 있지 않은 소유권의 귀속 자체에까지 미치는 것은 아니므로, 소유권이전등기청구 소송을 제기당하여 패소한 당사자도 그 이후 소유권이전등기를 경료한 등기 명의자를 상대로 다시 소유권확인을 구하거나 진정한 소유자 명의의 회복을 위한 소유권이전등기를 구하는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참조조문

[1] 구 국유재산법(1976. 12. 31. 법률 제295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7조/ [2] 민사소송법 제202조

참조판례

[1][2] 대법원 1997. 5. 16. 선고 96다43799 판결(공1997하, 1826) /[1] 대법원 1994. 10. 21. 선고 94도2048 판결(공1994하, 3158), 대법원 1996. 4. 26. 선고 94다43207 판결(공1996상, 1677) /[2] 대법원 1993. 7. 27. 선고 92다50072 판결(공1993하, 2395), 대법원 1995. 3. 10. 선고 94다30829, 30836, 30843 판결(공1995상, 1583), 대법원 1996. 12. 20. 선고 95다37988 판결(공1997상, 344)

판례내용

【원고,피상고인】 대한민국 【피고,상고인】 【원심판결】 광주지법 1997. 1. 16. 선고 96나4509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구 국유재산법(1976. 12. 31. 법률 제295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7조는 같은 법 제1조의 입법 취지에 따라 국유재산 처분 사무의 공정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관련 사무에 종사하는 직원에 대하여 부정한 행위로 의심받을 수 있는 가장 현저한 행위를 적시하여 이를 엄격히 금지하는 한편, 그 금지에 위반한 행위의 사법상 효력에 관하여 이를 무효로 한다고 명문으로 규정하고 있으므로, 국유재산에 관한 사무에 종사하는 직원이 타인의 명의로 국유재산을 취득하는 행위는 강행법규인 같은 법 규정들의 적용을 잠탈하기 위한 탈법행위로서 무효라고 할 것이고, 나아가 같은 법이 거래안전의 보호 등을 위하여 그 무효로 주장할 수 있는 상대방을 제한하는 규정을 따로 두고 있지 아니한 이상, 그 무효는 원칙적으로 누구에 대하여서나 주장할 수 있다고 할 것이므로, 그 규정들에 위반하여 취득한 국유재산을 제3자가 전득하는 행위 또한 당연무효라 할 것이다 ( 대법원 1994. 10. 21. 선고 94도2048 판결, 1996. 4. 26. 선고 94다43207 판결 각 참조). 이와 같은 취지의 원심판결은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법리오해나 대법원판례 위반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2. 기록에 의하여 살펴보면, 소외 1이 소외 2의 명의로 이 사건 임야를 불하받을 당시 위 소외 1은 관할 목포세무서에서 국유재산에 관한 사무에 종사하면서 그 업무를 처리하던 공무원이었음이 분명하고, 원심도 이 점을 바로 명시하지는 않았지만 이와 같은 취지로 판단한 것으로 보이므로, 원심이 이 점을 판단하지 아니함으로써 법률의 적용을 그르쳤다는 논지도 받아들일 수 없다. 3. 확정판결의 기판력은 주문에 포함된 소송물인 법률관계의 존부에 관한 판단의 결론에 대하여서만 생기는 것이어서, 소유권이전등기절차의 이행을 명한 확정판결의 기판력은 소송물인 그 이전등기청구권의 존부에만 미치고 소송물이 되어 있지 않은 소유권의 귀속 자체에까지 미치는 것은 아니므로( 대법원 1972. 10. 10. 선고 72다1430 판결, 1987. 3. 24. 선고 86다카1958 판결 등 참조) 소유권이전등기청구 소송을 제기당하여 패소한 당사자도 그 이후 소유권이전등기를 경료한 등기 명의자를 상대로 다시 소유권 확인을 구하거나 진정한 소유자 명의의 회복을 위한 소유권이전등기를 구하는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대법원 1990. 11. 27. 선고 89다카12398 전원합의체 판결, 1993. 7. 27. 선고 92다50072 판결, 1996. 12. 20. 선고 95다37988 판결 등 참조). 원심이 이와 같은 취지에서 원고의 이 사건 소송이 기판력에 저촉된다는 피고의 주장을 배척하였음은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이 기판력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4. 그리고 원심판결 이유와 기록에 의하여 살펴보면, 소론이 지적하는 바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더라도 원고가 이 사건 소송을 제기하고 그 소송 과정에서 이 사건 임야에 관한 매매계약의 무효를 주장하는 것이 신의칙에 반한다고 볼 수 없다고 한 원심의 판단은 정당하고, 원심판결에 신의칙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논지는 모두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송진훈(재판장) 지창권 신성택(주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국유재산 담당 공무원의 명의차용 불법 매입, 모든 후속 거래까지 무효!

국가 땅을 관리하는 공무원이 자기 이름이 아닌 다른 사람 이름으로 국가 땅을 사는 것은 불법이며, 그렇게 사들인 땅은 원래 주인에게 돌아가야 한다. 이후 다른 사람에게 팔아넘기더라도 그 거래 역시 무효이다.

#국유재산#공무원#타인명의 취득#무효

민사판례

국유재산 불법 취득과 조정의 효력

국가 땅을 관리하는 공무원이 불법으로 빼돌린 땅을 다른 사람이 사도 소유권을 주장할 수 없고, 국가는 조정을 통해 땅을 넘겨줬더라도 다시 소유권을 되찾을 수 있다.

#국유재산#불법취득#조정#효력

민사판례

국유재산 둘러싼 분쟁, 국가가 승소!

국가 공무원이 법을 어기고 타인 명의로 국유지를 불법 취득한 후 제3자에게 매도한 경우, 국가는 제3자를 상대로 소유권을 되찾을 수 있다. 이전에 제3자가 국가를 상대로 소유권 이전 등기 소송에서 승소했더라도, 국가는 다시 소유권을 주장할 수 있다. 또한, 제3자가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더라도, 국가의 소유권 반환 청구를 막을 수는 없다.

#국유재산#불법취득#소유권분쟁#공무원

형사판례

국유재산 탈법 취득과 사기죄 성립 여부

세무공무원이었던 피고인이 타인 명의를 이용해 국유지를 불법으로 취득한 후, 이 사실을 숨기고 다른 사람들에게 팔아넘겨 사기죄로 처벌받은 사건. 대법원은 피고인의 행위가 국유재산법 위반으로 무효이며, 이를 숨기고 판매한 행위는 사기죄에 해당한다고 판결.

#국유재산#탈법취득#사기판매#국유재산법 위반

생활법률

나라 땅, 함부로 쓰면 안 돼요! 국유재산 사용과 직원 행위 제한에 대해 알아보자!

국유재산은 법에 따라 사용해야 하며, 특히 관련 직원은 사적 이용이 엄격히 제한되고 위반 시 무효이며, 행정재산은 시효취득이 불가능하지만 일반재산은 가능하다.

#국유재산#국유재산법#직원 행위 제한#불법 사용 금지

민사판례

몰랐던 국유지, 내 땅인 줄 알고 샀는데… 다시 국가 땅?!

국가가 자기 땅인 줄 알면서 담당 공무원의 실수로 개인에게 넘겨준 땅은 '숨겨진 국유재산'이 아니며, 국가는 이 땅을 되찾더라도 개인에게 다시 팔아야 할 의무는 없다.

#국유재산#소유권이전#은닉재산#재매각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