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2.10.11

민사판례

대출 돌려막기, 담보는 어떻게 될까?

대출 상환이 어려워지면 '대환', 즉 기존 대출을 새 대출로 바꾸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그런데 이 대환 과정에서 법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대출 한도를 피해 제3자 명의로 대출받고, 이를 다른 대출로 대환했을 때 담보가 어떻게 되는지에 대한 법원의 판단을 살펴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A 회사는 대출 한도를 넘지 않기 위해 B, C, D 등 제3자의 이름을 빌려 금고에서 대출을 받았습니다. 이후 A 회사는 기존 대출을 새 대출로 바꾸는 '대환'을 진행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기존 대출의 담보였던 부동산이 새 대출에도 담보로 적용될 수 있는지가 쟁점이 되었습니다.

법원의 판단

  1. 제3자 명의 대출의 효력: 법원은 A 회사가 대출 한도를 피하기 위해 제3자 명의를 이용했고, 금고도 이를 알고 있었으므로 해당 대출 계약은 무효(민법 제108조, 통정허위표시)라고 판단했습니다. 실질적인 채무자는 A 회사였습니다. (대법원 1999. 3. 12. 선고 98다48989 판결, 2001. 5. 29. 선고 2001다11765 판결 등 참조)

  2. 대환의 법적 성질: 일반적으로 '대환'은 기존 채무의 변제기한 연장에 불과한 준소비대차(민법 제605조)로 봅니다. 하지만 이 사건에서는 대출 과목, 원금, 이자율 등이 변경되었고, 기존 대출의 이자가 새 대출의 원금에 포함되는 등 경개(민법 제500조)로 볼 수 있는 특징들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따라서 법원은 이 사건의 대환을 경개로 판단했습니다. (대법원 1991. 12. 10. 선고 91다24281 판결 등 참조)

  3. 담보의 이전: 경개가 이루어지면 기존 채무는 소멸하고, 따라서 담보도 소멸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하지만 민법 제505조는 경개 당사자 간 합의가 있다면 기존 담보를 새 채무의 담보로 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 사건에서는 명시적인 합의는 없었지만, A 회사와 금고 모두 담보를 유지하려는 묵시적 합의가 있었다고 법원은 판단했습니다. 즉, 기존 대출의 담보였던 부동산은 새 대출에도 담보로 유지됩니다.

결론

이 판례는 제3자 명의 대출의 무효성을 재확인하고, 대환의 법적 성질을 구체적인 사안에 따라 다르게 판단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또한, 민법 제505조에 따라 경개 시에도 묵시적 합의를 통해 담보를 유지할 수 있다는 점을 명확히 했습니다. 대출 관련 법적 분쟁은 복잡하고 어려울 수 있으므로,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현명한 선택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대환대출, 초과대출에 해당할까?

돈을 갚을 기한이 다가왔을 때, 새 대출로 기존 대출을 갚는 '대환'은 상호신용금고법 위반(대출 한도 초과)에 해당하지 않는다.

#대환대출#상호신용금고법#대출한도#위반

민사판례

대환, 그 숨겨진 의미와 보증인의 운명

기존 대출금을 새 대출로 갈아타는 '대환'을 하더라도 실제 돈이 오가지 않고 단순히 기한만 연장하는 경우, 기존 대출에 대한 보증인의 책임은 유지됩니다. 다만, 은행과 보증기관 사이의 약관에 대환 시 보증 면책 조항이 있다면 보증 책임은 사라집니다.

#대출#대환#보증인#책임

민사판례

대출 연장과 보증 책임 - '대환'의 함정

은행이 대출 만기 연장 대신 새로운 대출을 실행하여 기존 대출을 갚는 '대환'은 경우에 따라 기존 대출의 연장으로 볼 수 있으며, 이 경우 보증인의 책임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유지됩니다. 하지만 대환이 기존 대출과 완전히 다른 새로운 계약(경개)인 경우, 보증인의 책임은 소멸될 수 있습니다.

#대출#대환#연장#보증인

민사판례

대환대출과 보증인의 책임

겉으로는 새 대출을 받아 기존 빚을 갚는 것처럼 보이는 '대환'은 실제로는 단순히 기존 빚의 만기를 연장하는 것과 같으므로, 기존 빚에 대한 보증인의 책임은 그대로 유지된다.

#대환#빚갈이#만기연장#보증인

형사판례

저축은행 대출, 대환과 배임에 관하여

저축은행의 대주주와 임직원들이 불법 대출을 실행하여 배임죄 및 상호저축은행법 위반죄로 기소된 사건에서 대환대출의 법적 의미, 배임죄 성립 요건, 상상적 경합 및 추가기소의 효력 등에 대한 대법원의 판단.

#저축은행#대출#배임#상호저축은행법 위반

민사판례

내 빚 보증도 넘어가나요? - 채무 인수와 담보 책임 범위

A가 B에게 돈을 빌리고 C가 보증을 서서 근저당을 설정한 후, D가 A의 빚을 떠안았다면, D가 나중에 B에게 새로 돈을 빌려도 C의 근저당은 처음 빚에 대해서만 효력이 있다.

#채무인수#근저당#담보범위#추가대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