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4.02.08

민사판례

돈 빌려주고 담보 잡았는데, 담보 맡은 사람 마음대로 빚 탕감해줘도 되나요? + 형사판결 증거능력

안녕하세요. 오늘은 돈을 빌려주고 담보를 설정했는데, 담보를 맡은 사람이 멋대로 빚을 탕감해 줄 수 있는지, 그리고 형사판결이 민사소송에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대법원 판례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원고는 돈을 빌려주고 그 담보로 토지를 제공받았습니다. 하지만 담보권 설정은 제3자(소외 1) 명의로 이루어졌습니다. 그런데 이 소외 1이 원고에게 토지를 돌려주고 빚의 일부를 탕감해주는 합의를 했습니다. 원고는 이 합의가 무효라고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 담보권자의 권한

대법원은 채권 담보를 위해 제3자 명의로 담보계약을 체결한 경우, 그 제3자는 채권을 회수하고 담보권을 실행할 권한은 있지만, 특별한 권한을 위임받지 않은 이상 담보계약 자체를 해지하거나 채권을 포기할 권리는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즉, 소외 1은 담보를 관리하는 역할만 할 수 있을 뿐, 멋대로 빚을 탕감해 줄 권한은 없었던 것입니다. (민법 제186조 명의신탁 관련)

이 사건에서는 소외 1에게 채권 포기 권한을 부여했다는 증거가 없었기에, 소외 1과 원고 사이의 합의는 무효로 판결되었습니다. 이와 같은 판단은 대법원 1983.11.8. 선고 82다카1948 판결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 형사판결의 증거능력

이 사건에서는 관련 형사사건의 판결 내용이 민사소송에서 증거로 사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판단도 있었습니다. 대법원은 형사판결에서 인정된 사실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민사재판에서 유력한 증거가 되지만, 민사재판에서 제출된 다른 증거들과 비교했을 때 형사판결의 사실 판단을 받아들이기 어렵다면 배척할 수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민사소송법 제187조 관련)

즉, 형사판결이라고 무조건 민사소송에서 증거로 인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증거들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증거로서의 가치를 판단한다는 것입니다. 이와 유사한 판례로는 대법원 1991.2.8. 선고 90다8527 판결, 1992.10.13. 선고 92다27034 판결, 1994.1.28. 선고 93다29051 판결 등이 있습니다.

결론

타인에게 담보를 맡기더라도, 그 사람이 마음대로 빚을 탕감해 줄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또한, 형사판결이라고 해서 민사소송에서 무조건적인 증거가 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빌린 돈 담보로 잡힌 부동산, 마음대로 팔아도 배임죄? (대법원 2020. 6. 18. 선고 2019도14340 전원합의체 판결 관련)

빚을 갚기 위해 담보를 제공하기로 약속했더라도, 다른 사람에게 먼저 담보물을 처분하더라도 배임죄로 처벌할 수 없다.

#담보제공약속#제3자처분#배임죄#불성립

민사판례

돈 빌려준 사람이 담보 잡은 돈 받아가면, 원래 돈 줘야 할 사람은 돈 갚은 걸로 쳐줄까?

돈을 빌려준 사람(채권자)이 빌려준 돈을 담보하기 위해 채무자가 제3자에게 받을 돈(입질채권)에 대한 질권을 설정한 경우, 채권자(질권자)가 직접 제3채무자에게 돈을 청구할 수 있는데, 이때 받을 수 있는 돈의 범위와 관련하여 발생하는 부당이득반환 문제를 다룬 판례입니다.

#질권#직접청구권#부당이득반환#제3채무자

민사판례

빚 담보로 받은 부동산, 마음대로 처리해도 될까?

빚 담보로 돈 빌려준 사람에게 부동산 처분 권한을 위임했더라도, 그 사람이 마음대로 부동산 가치를 정해서 자신의 빚을 갚기 위해 다른 사람에게 넘겨줄 수는 없다.

#채무담보#부동산처분#위임#대물변제

민사판례

돈 빌려주고 설정한 담보, 돈 받을 권리 팔았는데 담보는 어떻게 될까?

돈을 빌려주고 담보를 설정받은 경우, 빌려준 돈(채권)을 다른 사람에게 양도하면 담보권도 함께 넘어가는 것이 원칙입니다. 만약 담보권이 넘어가지 않았다면, 담보권이 소멸했다고 주장하는 사람이 그 이유를 입증해야 합니다.

#채권 양도#담보권#증명책임#원칙적 이전

형사판례

돈 빌려주고 담보 설정했는데, 빌린 사람이 담보를 팔아버렸다면? 배임죄일까?

돈을 빌려주고 채무자가 담보로 제공한 동산(예: 자동차)에 저당권을 설정했는데, 채무자가 그 담보를 다른 사람에게 팔아버린 경우, 채무자에게 배임죄가 성립하지 않는다는 대법원 판결입니다.

#담보#배임죄#저당권#채권

민사판례

빚 갚을 때까지 내 땅은 담보! - 양도담보와 정산절차, 그리고 미성년자 명의신탁

빚을 갚는 대신 재산을 넘겨주고, 기한 내에 빚을 갚으면 재산을 돌려받기로 한 약속은 '양도담보'로 본다. 채권자는 정산절차를 거쳐야 하며, 넘겨준 재산의 가치가 빚보다 적더라도 마찬가지다. 또한, 부모가 미성년 자녀에게 재산을 명의신탁하는 것은 이해상반행위가 아니다.

#양도담보#정산절차#명의신탁#미성년자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