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4.03.11

민사판례

먼저 가처분한 사람이 건물 전체를 소유하게 됐어도, 처음부터 권리가 없던 부분은 나중에 가처분한 사람에게 뺏길 수 있다!

부동산 분쟁, 특히 여러 사람이 권리를 주장하는 경우 복잡한 법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와 관련된 흥미로운 판례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핵심은 먼저 가처분을 했다고 해서 모든 권리를 갖는 것은 아니라는 점입니다.

사례는 이렇습니다.

한 건물에 대해 여러 사람이 각각 일부 점포에 대한 분양계약을 맺었습니다. 이후 분쟁이 발생하여 A는 건물 전체에 대한 가처분을 신청했습니다. B는 A의 가처분 이후 자신이 분양받은 점포에 대해 별도의 가처분을 신청했습니다. 나중에 A는 건물 전체의 소유권을 얻게 되었습니다. 이 경우, B의 가처분은 효력이 있을까요?

대법원은 B의 가처분이 유효하다고 판결했습니다.

A가 먼저 건물 전체에 대해 가처분을 했더라도, 처음부터 A에게 권리가 없었던 부분(B가 분양받은 점포)에 대한 가처분은 무효입니다. B는 자신의 권리가 있는 부분에 대해 정당하게 가처분을 신청했고, 이는 A의 가처분에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A가 나중에 건물 전체의 소유권을 얻었다고 해도, 처음부터 무효였던 가처분 부분이 살아나는 것은 아닙니다.

핵심 정리

  • 건물 일부에 대한 권리만 갖고 있는 사람이 건물 전체에 대해 가처분을 신청해도, 권리가 없는 부분에 대한 가처분은 무효입니다.
  • 나중에 가처분을 신청한 사람이라도, 자신의 권리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유효한 가처분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먼저 가처분한 사람이 나중에 건물 전체의 소유권을 얻더라도, 처음부터 무효였던 가처분 부분은 유효하게 되지 않습니다.

관련 법 조항 및 판례

  • 민사소송법 제714조 (가처분의 취소)
  • 대법원 1984.4.16. 자 84마7 결정(공1984,1015)
  • 대법원 1993.7.13. 선고 93다20870 판결(공1993하,2279)

이 판례는 부동산 분쟁에서 가처분의 효력 범위를 명확히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입니다. 여러 사람이 권리를 주장하는 상황에서는 자신의 권리 범위를 정확히 파악하고 그에 맞는 법적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신중하게 대처하는 것이 좋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권리가 없는 사람이 건 가처분의 효력은?

아무런 권리도 없는 사람이 재산에 대해 처분금지가처분을 걸어놓았더라도, 그 가처분 이후에 해당 재산을 취득한 사람은 유효하게 소유권을 주장할 수 있다.

#무권리자 가처분#소유권 취득#가처분 효력#대법원 판결

민사판례

가처분, 그리고 제3자의 권리

소유권 이전 관련 가처분 후 본안소송에서 이긴 사람의 권리는, 설령 본안소송 과정에 문제가 있었더라도,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제3자에게도 효력이 있다.

#가처분#본안소송 승소#제3자 대항력#제척기간

민사판례

부동산 처분금지 가처분, 그 효력은?

부동산에 처분금지 가처분이 설정된 후 다른 권리(예: 가압류)가 설정되더라도, 가처분권자가 소송에서 이겨서 본등기를 마치면 가처분 이후 설정된 권리는 효력을 잃게 된다. 즉, 가처분이 우선권을 갖는다.

#부동산#처분금지가처분#가압류#우선권

민사판례

권리가 없는데 가처분을 걸었다면? 그 후에 진짜 권리자가 나타나면 어떻게 될까?

정당한 권리가 없는 사람이 재산 처분을 막는 가처분을 걸어놨더라도, 그 가처분 이후에 이루어진 다른 사람의 정당한 거래는 유효하며, 처음 가처분은 효력이 없다는 판결입니다.

#가처분#무효#권리#정당한 거래

민사판례

가처분 취소 후 제3자에게 소유권 넘어가면 어떻게 될까?

부동산에 대한 처분금지 가처분이 취소되어 가처분 등기가 말소된 후, 제3자가 해당 부동산을 소유하게 되면 처음 가처분을 신청했던 사람은 더 이상 가처분을 주장할 수 없다.

#가처분 취소#제3자 소유권#가처분 효력 상실

민사판례

부동산 가처분, 타이밍 놓치면 소용없다?

부동산에 대한 처분금지가처분이 취소되고 그 후 제3자가 해당 부동산을 소유하게 되면, 처음 가처분을 신청했던 사람은 더 이상 가처분을 신청할 이유가 없어진다는 판례입니다.

#가처분#취소#제3자#소유권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