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1.04.12

민사판례

부동산 등기 말소 소송과 변제공탁, 그리고 재판상 화해

부동산 관련 소송은 복잡하고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은 등기 말소 청구 소송, 변제공탁, 그리고 재판상 화해에 관한 대법원 판례를 바탕으로 몇 가지 중요한 법률적 쟁점을 살펴보겠습니다.

1. 여러 명이 관련된 등기 말소 소송, 결과가 다르게 나올 수 있을까?

여러 사람 앞으로 등기가 되어 있거나 순차적으로 등기가 이전된 부동산의 말소 소송을 생각해 봅시다. 예를 들어, A에게 먼저 저당권을 설정해주고, 나중에 B에게도 저당권을 설정해 준 경우, A와 B를 상대로 각각 등기 말소 소송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A에 대한 소송에서는 이기고, B에 대한 소송에서는 질 수도 있습니다. 왜냐하면 이러한 소송은 '보통공동소송'이기 때문입니다.

보통공동소송이란 여러 당사자가 함께 소송을 진행하지만, 각 당사자의 주장이나 증거가 다를 수 있고, 따라서 판결 결과도 당사자별로 다르게 나올 수 있는 소송 유형입니다. 필요적 공동소송처럼 모든 당사자에게 동일한 결과가 나와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민사소송법 제62조, 제193조 제2항). 각 당사자가 제출하는 증거나 주장이 다르면 판결도 다르게 나올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대법원 1972.6.27. 선고 72다555 판결, 1978.5.9. 선고 78다167 판결, 1987.10.13. 선고 87다카1093 판결 참조)

2. 돈을 갚았으니 등기 말소해줘! - 변제공탁의 함정

저당권이나 가등기가 설정된 부동산의 빚을 모두 갚았다면, 당연히 해당 등기도 말소되어야 합니다. 그런데 돈을 갚으면서 바로 등기 말소까지 요구할 수 있을까요? 돈을 변제공탁하면서 "등기 말소에 필요한 서류를 줘!"라고 조건을 걸 수 있을까요?

안타깝게도 그렇게 할 수는 없습니다. 빚을 갚는 행위(변제)와 등기를 말소하는 행위는 별개의 문제입니다. 빚을 갚았더라도 등기 말소는 별도의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따라서 등기 말소에 필요한 서류를 주는 것을 조건으로 돈을 변제공탁하는 것은 채무 변제의 본래 목적에 맞지 않습니다. (민법 제460조, 제487조, 제536조). 등기 말소는 채무 변제 후 별도로 진행해야 합니다 (대법원 1982.12.14. 선고 82다카1321,1322 판결, 1989.10.13. 선고 88다카29351 판결 참조).

3. 재판상 화해, 강행법규 위반해도 효력 있을까?

소송 과정에서 당사자끼리 합의를 보고 '재판상 화해'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만약 화해 내용이 강행법규(반드시 지켜야 하는 법)에 위반된다면 어떻게 될까요?

재판상 화해는 확정판결과 같은 효력을 가지기 때문에, 설령 그 내용이 강행법규에 어긋나더라도 원칙적으로 유효합니다. 다만, 재심 사유가 있다면 재심을 통해 화해 조서를 취소할 수 있습니다 (민사소송법 제206조). 단순히 민법 제607조(가등기 담보 등에 관한 특례)나 제608조(저당권 실행 등에 관한 특례)에 위반된다는 주장만으로는 화해의 효력을 다툴 수 없습니다 (대법원 1987.10.13. 선고 86다카2275 판결 참조).

부동산 관련 분쟁은 복잡한 법리와 절차가 얽혀있기 때문에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위 내용은 일반적인 정보 제공 목적이며, 구체적인 사안에 대한 법률 자문은 변호사 등 전문가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소송상 화해 후 등기, 제대로 알고 하셨나요?

소송 중 화해를 통해 등기 의무를 약속했는데, 약속과 다르게 제3자에게 등기를 해준 경우, 그 등기는 화해 내용대로 이행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후 화해 내용을 벗어난 다른 등기는 무효입니다.

#소송상 화해#등기의무#제3자 등기#화해 이행

민사판례

폐쇄된 등기, 어떻게 해야 할까요? 부동산 분쟁과 등기 회복에 대한 이야기

등기기록 정리 과정에서 과거의 등기기록이 폐쇄된 경우, 폐쇄된 등기 자체를 말소해달라고 소송을 걸 수는 없지만, 진정한 권리 회복을 위해 현재 등기기록에 옮겨졌어야 할 폐쇄등기를 대상으로 말소등기를 청구할 수 있다.

#폐쇄등기#말소등기#소의이익#현재등기기록

민사판례

계약 해제에 따른 등기 말소 청구, 이전 소송 결과에 묶이지 않아요!

이전에 등기말소 소송에서 패소했더라도, 그 소송의 원인과 다른 이유로 다시 등기말소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기판력#소송물#등기말소#계약취소

민사판례

제소전화해와 채권자대위권 행사의 충돌

소유권 분쟁 중인 부동산에 대해, 소유자가 제3자와 제소전화해를 통해 소유권을 이전한 후, 원래 소유권을 주장하던 사람이 소유자를 대위하여 제3자 명의의 등기 말소를 청구할 수 없다는 판결. 제소전화해의 효력을 인정한 판례입니다.

#제소전화해#소유권말소#채권자대위권#기각

민사판례

빚 갚았는데도 등기 말소 안 해준다면?

빚을 갚기 위해 집이나 땅의 소유권을 넘겨주는 등기를 했더라도, 나중에 빚을 다 갚았다면 그 등기를 없애달라고 할 수 있다. 법원의 확정판결이 있었다고 해도 마찬가지다.

#담보 목적 등기 말소#확정판결 기판력#변제#착오

민사판례

부동산 등기 말소와 관련된 채권자의 권리

부동산 소유자의 채권자가 채권자대위소송으로 말소등기 판결을 받았더라도, 다른 채권자는 등기상 이해관계 있는 제3자에게 승낙의사표시를 청구할 수 있다. 이는 제3자가 전소에서 승소한 채권자라도 마찬가지다. 또한, 후행 가처분 채권자도 선행 가처분 채권자를 상대로 말소등기에 대한 승낙의사표시를 청구할 수 있다.

#채권자대위소송#승낙의사표시#말소등기#등기상 이해관계 있는 제3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