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3.05.11

형사판례

상해죄? 상처 부위를 특정해야 인정됩니다!

여러분 안녕하세요! 오늘은 상해죄 성립에 있어서 꼭 필요한 요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바로 상해 부위의 특정입니다. 폭행을 당했는데 어디를 다쳤는지도 모른 채 상해죄로 처벌받을 수 있을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안 됩니다!

최근 대법원 판례를 통해 상해죄 성립에 있어 상해 부위를 명확히 밝혀야 한다는 점이 다시 한번 강조되었습니다. 단순히 "상처를 입었다"는 사실만으로는 부족하고, 구체적으로 어느 부위에 어떤 상처를 입었는지가 판결문에 명시되어야 비로소 상해죄가 성립한다는 것입니다.

이번 판례에서 피고인은 피해자의 멱살을 잡고 흔들어 상해를 입혔다는 혐의를 받았습니다. 1심과 2심 법원은 피고인에게 상해죄를 인정했지만, 대법원은 판결을 뒤집었습니다. 그 이유는 바로 상해 부위에 대한 구체적인 판시가 없었기 때문입니다.

대법원은 상해죄가 성립하려면 상해의 고의가 있는 행위와 그로 인해 발생한 인과관계가 있는 상해 결과가 있어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즉, 어떤 행위로 인해 어느 부위에 어떤 상처가 발생했는지가 증거를 통해 명확히 입증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단순히 "치료일수 미상의 상해"라는 모호한 표현만으로는 상해죄를 인정할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이 사건에서는 피해자가 목 근처에 손톱자국이 있었다는 진술 외에는 의사의 진단이나 다른 명확한 증거가 없었습니다. 대법원은 이러한 경우, 단순한 흔적을 상해로 볼 수 있는지, 신체의 완전성을 해하거나 기능 장애를 일으킨 것인지 등을 면밀히 따져보아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결국 대법원은 원심 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하도록 했습니다. 이 판례는 상해죄 성립 요건을 명확히 하고, 피고인의 방어권을 보장하는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다.

참고하세요!

  • 관련 법조항: 형법 제257조 제1항 (상해, 존속상해)
  • 참조 판례: 대법원 1982.12.28. 선고 82도2588 판결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상해죄에서 상해 부위를 꼭 명시해야 할까요?

상해죄는 상해 부위를 구체적으로 밝혀야 하지만, 관련 증거들이 명확하다면 판결문에 직접적으로 기재하지 않아도 유죄 판결이 가능하다.

#상해죄#상해부위#판결문#증거

생활법률

폭행, 상해? 어디서 누가 저질렀든 처벌받을 수 있다?! 범죄 성립과 처벌에 대한 모든 것!

해외에서 싸움해도 한국인이 가해자이거나 한국인 피해자를 외국인이 가해한 경우 등 조건에 따라 한국 법으로 처벌받을 수 있다.

#해외폭행#상해죄#형법적용범위#속인주의

형사판례

강제추행치상죄, 어디까지 인정될까? 상해의 범위와 인과관계에 대한 법원의 판단

강제추행치상죄에서 '상해'는 강제추행 과정에서 발생한 것이어야 하며, 단순히 시간적으로 선행하는 폭행으로 생긴 상해를 강제추행치상죄의 상해로 인정할 수 없다. 또한, 극히 경미한 상처도 상해로 인정될 수 있는지에 대한 판단 기준을 제시한다.

#강제추행치상죄#상해#인정범위#폭행

생활법률

🤕 아야! 나 다쳤어! 상해죄, 제대로 알고 있나요?

상해죄는 신체 기능에 문제를 일으키는 행위로, 단순상해, 존속상해, 중상해, 존속중상해, 상해치사, 존속상해치사, 특수상해 등 종류와 처벌 수위가 다양하다.

#상해#폭행#신체#생리적 기능

형사판례

상해진단서, 그 증명력에 대하여

상해진단서 자체만으로는 가해자의 폭행 사실을 직접 증명하기는 어렵지만, 피해자의 진술 및 다른 정황증거와 함께 고려했을 때 유력한 증거로 사용될 수 있다. 법원은 증거를 판단할 때 합리적인 의심이 들지 않는다면 함부로 배척해서는 안 된다.

#상해진단서#증명력#폭행#정황증거

형사판례

강간치상죄에서 '상해'는 어떻게 판단될까요?

강간 과정에서 생긴 상처가 극히 경미하지 않다면, 즉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는 정도라면 강간치상죄에서 말하는 '상해'에 해당한다. 상해 여부는 피해자의 상태를 고려하여 판단해야 한다.

#강간치상#상해#극히 경미한 상처#일상생활 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