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5.04.11

세무판례

세금 감면 받으면 가산세도 감면될까?

안녕하세요! 오늘은 세금 감면과 가산세에 대한 흥미로운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세금을 감면받았는데, 가산세까지 면제될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아니오 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전북은행이 북전주세무서장을 상대로 낸 소송(대법원 1994.11.25. 선고 94누10967 판결)을 바탕으로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전북은행은 특정 자산을 양도하고 발생한 양도차익에 대해 조세감면규제법에 따라 특별부가세 감면을 받았습니다. 그런데 세무서는 신고기한을 지키지 않았다며 가산세를 부과했고, 전북은행은 "세금이 감면되었으니 가산세도 면제되어야 한다"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법원의 판단

법원은 전북은행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세금 감면과 가산세 면제는 별개: 조세감면규제법(1993.12.31. 법률 제4666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3조 제2항과 국세기본법 제47조 제2항에 따르면, 세금 감면 혜택을 받았더라도 가산세는 별도로 부과될 수 있습니다. 특별한 규정이 없는 한, 세금 감면이 가산세 면제까지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죠.

  2. 신고의무는 여전히 존재: 법인세법 제26조는 세금 납부 의무가 있는 자에게 신고의무를 부과하고 있습니다. 비록 조세감면규제법에 따라 특별부가세가 감면 대상이라 하더라도, 이는 세금을 '면제'해 주는 것이지 '비과세'하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신고 의무 자체는 여전히 남아있다는 것입니다. 이 사건의 양도차익은 감면 대상일 뿐 비과세 대상은 아니므로 신고해야 했고, 신고하지 않았기 때문에 가산세 부과 대상이 된다는 것이 법원의 판단입니다. (법인세법 제41조 제1항 제2호, 법인세법 시행령 제113조 참조)

즉, 세금을 감면받았더라도 신고기한 내에 정확하게 신고하지 않으면 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다는 점 꼭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대법원 1980.12.23. 선고 79누289 판결 참조)

핵심 정리

  • 세금 감면 ≠ 가산세 면제
  • 감면 대상이라도 신고의무는 존재
  • 신고기한 준수하여 가산세 부담 예방!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양도소득세 감면받아도 가산세는 못 뺀다?

양도소득세가 감면되더라도 가산세는 별도로 부과되며, 감면되지 않습니다.

#양도소득세#감면#가산세#산출세액

세무판례

세금 신고, 실수해도 가산세 폭탄? 정당한 사유 있으면 면제될 수 있습니다!

세법 해석이 명확하지 않아 납세자가 의무를 알기 어려운 경우, 성실히 세금 신고를 하지 않았더라도 가산세를 부과할 수 없다.

#세법#모호한 해석#가산세#부당

세무판례

세금 낼 필요 없으면 가산세도 없다?!

관세나 부가가치세 등 본세를 납부할 의무가 없는 경우, 그 본세에 대한 가산세도 부과할 수 없다.

#본세납세의무#가산세#관세#부가가치세

세무판례

가산세 면제, 쉽지 않네요! - 특별부가세와 법령 해석 오류

법이 전면 개정되면 이전 법의 부칙 규정까지 효력을 잃게 되므로, 개정 전 법령 해석을 근거로 세금 면제를 주장할 수 없고, 법령을 잘못 해석한 것은 세금 납부 지연에 대한 정당한 사유가 될 수 없다.

#법령 개정#특별부가세 면제#부칙 효력#가산세

세무판례

사업자등록증 받았다고 세금 안 내도 되는 건 아니에요! + 가산세 폭탄까지?!

보험조사용역을 하는 회사가 면세사업자라고 생각하고 부가가치세 신고를 안 했는데, 법원은 이를 잘못된 법 해석으로 판단하고 세금과 가산세를 부과했습니다. 세무서에서 면세사업자등록증을 발급해주고 수년간 면세 신고를 받아줬더라도 이는 세금 면제 약속이 아니므로 가산세 면제 사유가 되지 않습니다.

#보험조사용역#부가가치세#면세#가산세

세무판례

가산세와 납세 의무 이행에 대한 오해와 진실

세금 납부를 제때 하지 않으면 가산세가 붙는데, 이는 납세자의 고의나 실수 여부와 상관없이 부과된다. 또한, 세금 부과에 대해 소송을 진행 중이거나 회사가 정리절차에 있다고 해도 가산세 납부 의무가 면제되지 않는다.

#가산세#고의·과실 무관#소송·회사정리절차 면제사유 아님#납부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