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4.04.30

세무판례

세법 개정과 경과규정, 그 효력은 어디까지?

법이 바뀌면 과거 사건에 어떻게 적용해야 할까요? 이 문제는 법의 안정성과 예측 가능성에 직결되는 중요한 사항입니다. 특히 세법처럼 국민 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법의 개정은 더욱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오늘은 세법 개정과 경과규정의 효력에 대한 대법원 판례를 통해 이 부분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법 개정, 전부냐 일부냐에 따라 달라지는 경과규정의 운명

법 개정에는 '전부 개정'과 '일부 개정'이 있습니다. 전부 개정은 말 그대로 기존 법을 완전히 갈아엎는 것이고, 일부 개정은 특정 조항만 수정하는 것입니다. 이 둘의 차이는 경과규정의 효력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 전부 개정: 기존 법은 폐지되고 새 법이 만들어지는 것과 같습니다. 따라서 특별한 사정이 없다면, 새 법 시행 이후에는 기존 법의 본칙뿐 아니라 경과규정도 효력을 잃습니다.

  • 일부 개정: 기존 법의 틀은 유지하면서 일부 내용만 바뀌는 것입니다. 이 경우, 기존 법의 경과규정을 명시적으로 삭제하거나 변경하는 조치가 없다면, 새 법에 별도의 경과규정이 없더라도 기존 경과규정은 계속 효력을 유지합니다.

사례: 조세특례제한법 개정과 자경농지 양도소득세 감면

이번 대법원 판례(대법원 2012.10.25. 선고 2011두17532 판결)는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에 따른 경과규정 적용 여부를 다투고 있습니다. 쟁점이 된 부분은 자경농지 양도소득세 감면 한도 계산과 관련된 경과규정입니다.

2005년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으로 자경농지 양도소득세 감면 한도(5년간 합계 1억 원)가 신설되었고, 부칙에 경과규정(2006년 이전 감면액은 한도 계산에서 제외)이 포함되었습니다. 이후 2008년 법 개정으로 감면 한도가 3억 원으로 늘어났지만, 이전 경과규정에 대한 별도 언급은 없었습니다.

원심은 새 법에 경과규정이 없으므로 이전 경과규정은 효력을 잃었다고 판단했습니다. 하지만 대법원은 법 개정의 형식과 취지, 관련 조항의 변화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이전 경과규정을 폐지하려는 의도가 없었다고 판단하여 원심을 파기했습니다. 즉, 2008년 법 개정 이후에도 2006년 이전 감면액은 한도 계산에서 제외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 참조조문: 구 조세특례제한법(2006. 1. 2. 법률 제7845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33조 제2항(현행 제133조 제1항 제2호 참조), 구 조세특례제한법(2008. 12. 29. 법률 제9276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33조 제1항 제2호 (가)목, (나)목, 조세특례제한법 부칙(2005. 12. 31.) 제36조 제2항, 부칙(2008. 12. 26.) 제29조
  • 참조판례: 대법원 2002. 7. 26. 선고 2001두11168 판결

이번 판례는 법 개정과 경과규정 해석에 중요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법 개정 시에는 관련 경과규정을 꼼꼼히 살펴보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세법 개정과 경과규정, 그리고 조세법률주의

세법이 납세자에게 불리하게 개정되었을 때, 부칙에 "종전의 예에 의한다"라는 경과규정이 있으면 납세자에게 유리한 이전 법을 적용해야 한다. 또한, 상위법의 위임 없이 세금 면제 범위를 축소한 시행규칙은 무효이다.

#세법#경과규정#시행규칙#무효

세무판례

한정위헌결정의 효력과 법령 전부 개정 시 부칙의 효력

헌법재판소의 한정위헌결정은 법원을 기속하지 않으며 재심사유가 되지 않는다. 법령 전부개정 시 종전 부칙은 원칙적으로 소멸하지만, 예외적으로 입법 취지와 국민의 예측가능성을 고려하여 계속 적용될 수 있다.

#한정위헌결정#법원기속력#재심사유#법령 전부개정

민사판례

양도소득세, 일부 취소 판결의 효력은 어디까지?

양도소득세 부과처분에 불복하여 소송을 제기할 때, 추가로 고지된 세금 부분만 취소를 구했다면, 판결의 효력은 해당 부분에만 미치고 기존에 납부했던 세금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판례입니다.

#양도소득세#추가고지분#취소판결#효력

형사판례

형벌 완화, 그런데 옛날 법 적용? 괜찮을까?

법을 개정하여 형벌을 가볍게 하더라도, 부칙(법률의 보충 규정)을 통해 개정 전 범죄에는 이전의 무거운 법을 적용할 수 있다. 이는 헌법에 어긋나지 않는다.

#형벌 감경#부칙#소급적용#합헌

세무판례

부동산 양도세 감면, 아무 때나 되는 게 아니에요!

회사 주주가 회사에 부동산을 증여하고 양도소득세를 감면받으려면 엄격한 법적 요건을 충족해야 하며, 세금 감면 요건을 완화하는 법 개정이 있더라도 이전 거래에까지 소급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양도소득세#감면요건#소급적용#법인

세무판례

기업공개 관련 자산재평가 세금혜택, 법 개정 후에도 유효할까?

법률이 전면 개정되면 원칙적으로 기존 부칙(법률의 시행과 관련된 보충적인 규정)도 효력을 잃지만, 예외적인 상황에서는 효력이 유지될 수 있습니다. 이 판례는 어떤 경우에 기존 부칙의 효력이 유지되는지, 그 '특별한 사정'이 무엇인지에 대한 판단 기준을 제시합니다.

#법률 전문 개정#부칙 경과규정#효력 유지#특별한 사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