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죄에 대한 처벌을 정하는 법이 바뀌는 경우가 있습니다. 특히 처벌이 약해지는 방향으로 법이 개정되는 경우, 이전에 범죄를 저지른 사람에게도 새로운 법을 적용해야 할까요? 아니면 범죄 당시의 법을 적용해야 할까요? 언뜻 생각하면 새로운 법이 더 유리하니 새로운 법을 적용하는 것이 맞는 것 같지만, 법에는 경과규정이라는 것이 있어서 항상 그렇지만은 않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형벌이 완화되는 법 개정 시 경과규정을 통해 이전 법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한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원칙적으로는 새로운 법(신법)을 적용합니다.
형법 제1조 제2항과 제8조는 범죄 후 법률이 변경되어 형벌이 가벼워진 경우에는 새로운 법을 적용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형벌불소급의 원칙과 관련이 있는데, 쉽게 말해 범죄를 저지른 이후에 형벌이 무거워지는 방향으로 법이 바뀌더라도, 이전 법을 적용하여 처벌해야 한다는 원칙입니다. 반대로 형벌이 가벼워지는 경우에는 새로운 법을 적용하여 유리하게 해주는 것이죠. 이를 신법우선주의라고 합니다.
하지만 예외도 있습니다.
바로 경과규정입니다. 법률 개정 시 부칙에 경과규정을 두어 신법 적용을 배제할 수 있습니다. 즉, 형벌이 가벼워지는 방향으로 법이 개정되었다 하더라도, 부칙에 "이 법 시행 이전에 저지른 범죄에 대해서는 이전 법을 적용한다"는 내용의 경과규정을 둘 수 있는 것이죠.
대마관리법 개정 사례를 살펴보면, 대마 수입에 대한 형벌이 완화되었지만, 부칙에서 신법 시행 이전의 범죄에 대해서는 이전 법을 적용하도록 규정했습니다. 이처럼 형벌을 가볍게 하는 법 개정에서도 경과규정을 통해 이전 법 적용을 규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것이 헌법상 형벌불소급의 원칙이나 신법우선주의에 위반되는 것은 아닙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형법 제1조 제2항: 범죄 후 형을 폐지하거나 변경한 때에는 그 행위에 대하여 가장 유리한 법을 적용한다.
형법 제8조: 범죄행위 이후의 법률 변경에 의하여 형이 경하게 된 때에는 새로운 법률에 의한다.
대마관리법 제18조 제1항: (내용 생략) 본문에서는 관련 조항의 구체적인 내용은 중요하지 않아 생략했습니다.
대마관리법 부칙 제2조: (내용 생략) 본문에서는 관련 조항의 구체적인 내용은 중요하지 않아 생략했습니다.
대법원 1992. 2. 28. 선고 91도2935 판결
대법원 1995. 1. 24. 선고 94도2787 판결
대법원 1996. 10. 25. 선고 96도1210 판결
즉, 법 개정 시 경과규정을 통해 신법 적용을 배제할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법의 적용은 단순히 법 조문만 보는 것이 아니라, 부칙의 경과규정까지 꼼꼼히 살펴보아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형사판례
범죄 후 법이 바뀌어서 죄가 안 되거나 형벌이 줄어들면, 무조건 새 법을 적용한다. 법이 바뀐 이유가 과거 법이 잘못되었다는 반성 때문인지는 중요하지 않다.
형사판례
과거 상습적인 폭행, 협박, 강요 범죄를 가중처벌하던 법 조항이 삭제되었는데, 이는 처벌이 과중하다는 반성적인 이유로 이루어진 것이므로, 이미 범죄를 저지른 사람에게도 새로운 법(형이 가벼운 법)을 적용해야 한다는 판례입니다.
형사판례
범죄 후 법이 바뀌어서 그 행위가 더 이상 범죄가 아니거나 형량이 줄어든 경우, 법이 바뀐 이유가 과거 법이 잘못되었다는 반성 때문인지와 관계없이 무조건 새로운 법을 적용해야 한다.
형사판례
이 판례는 과거에 벌금형이 확정된 범죄와 그 이후 저지른 범죄에 대해, 법 개정으로 경합범(여러 죄를 저지른 경우) 처벌 기준이 바뀐 경우에도 새로운 법을 적용해야 하는지를 판단한 사례입니다. 피고인에게 불리하지 않다면 개정된 법을 적용하여 하나의 형을 선고하는 것이 원칙이라는 결론입니다.
세무판례
법의 일부만 고칠 때, 기존 법의 경과규정(법 시행 시점 등과 관련된 특별 규정)도 같이 고치지 않으면, 새 법에도 그 경과규정이 계속 적용된다는 판결. 조세특례제한법 개정 사례를 통해 이 원칙을 확인.
형사판례
상습강제추행죄가 새로 만들어지기 전에 저지른 강제추행은, 여러 번 했더라도 새로 만들어진 상습강제추행죄로 처벌할 수 없다. 과거 행위는 그 당시 법률에 따라 개별적인 강제추행죄로 처벌해야 하고, 처벌하려면 각각의 강제추행죄에 대한 고소가 있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