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2.12.24

일반행정판례

위헌 결정, 언제까지 효력이 있을까?

법을 다루다 보면 가끔 위헌 결정 소식을 듣게 됩니다. 그런데 이 위헌 결정, 어떤 사건에 어떻게 적용되는 걸까요? 오늘은 헌법재판소의 위헌 결정 효력 범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례 소개

한 보험회사가 개발부담금 부과 처분에 불복하는 소송을 진행 중이었습니다. 이 회사는 처음에는 관련 법률 조항(개발이익환수에관한법률 제10조 제3항 단서)에 대해 문제 삼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해당 조항의 일부가 위헌이라는 헌법재판소의 결정(헌재 1998. 6. 25. 선고 95헌바35, 97헌바81, 98헌바5·10 결정)이 나온 후, 이를 근거로 본인에게 유리한 주장을 펼치기 시작했습니다. 즉, 실제 매입 가액을 입증하여 개발부담금을 줄여달라고 주장한 것입니다.

쟁점

이처럼 위헌 결정 이후에 위헌된 법률 조항과 관련된 주장을 하는 경우에도, 위헌 결정의 효력이 미치는지가 핵심 쟁점이었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 2003. 3. 28. 선고 2000두11437 판결)

대법원은 위헌 결정의 효력은 위헌 결정의 직접적인 대상이 된 사건(당해사건)이나 유사한 사건(동종사건)뿐만 아니라, 위헌 결정 당시 법원에 계속 중인 다른 사건(병행사건)에도 미친다고 판단했습니다 (헌법재판소법 제47조 제2항).

즉, 위헌 결정이 난 시점에 해당 법 조항과 관련된 소송이 진행 중이라면, 설령 위헌 결정 이후에 관련 주장을 시작했더라도 위헌 결정의 효력이 미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보험회사는 위헌 결정 이후에라도 실제 매입 가액을 입증하여 개발부담금을 다시 계산 받을 권리가 있다는 것이죠.

이 사건에서 대법원은 보험회사가 제출한 매매계약서와 영수증에 토지 외 건물 가격 등이 포함되었다는 원심의 판단도 잘못되었다고 지적했습니다. 대법원은 구청이 토지와 건물 가액에 대한 감정평가를 한 만큼, 그 비율을 참작하여 토지만의 실제 매입가액을 계산할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핵심 정리

  • 헌법재판소의 위헌 결정은 당해사건, 동종사건뿐 아니라 병행사건에도 효력이 미칩니다.
  • 병행사건에서 위헌 결정 이후에 위헌 법률 조항과 관련된 주장을 시작해도 위헌 결정의 효력은 인정됩니다.

참고 판례

  • 대법원 2001. 10. 9. 선고 99다17180 판결
  • 대법원 2001. 8. 21. 선고 99두4921 판결

이처럼 위헌 결정은 소송 당사자에게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관련 법률 및 판례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중요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헌법재판소 위헌 결정, 그 효력은 언제부터?

헌법재판소가 어떤 법률을 위헌이라고 결정하면, 그 결정 이후에 그 법률을 근거로 새롭게 소송을 제기한 경우에도 위헌 결정의 효력이 미친다. 즉, 위헌 결정 이전에 발생한 사건이라도, 결정 이후에 소송을 시작하면 위헌 법률을 적용할 수 없다.

#헌법재판소#위헌결정#효력#소급효

민사판례

헌법재판소 위헌 결정, 언제부터 효력 발생할까?

헌법재판소가 어떤 법률 조항에 대해 위헌 결정을 내리면, 그 결정의 효력은 해당 위헌 결정 이후에 새로 시작된 재판에도 적용된다.

#헌법재판소#위헌결정#효력#소급효

민사판례

위헌결정, 언제까지 효력이 있을까? - 소급효의 범위와 한계

헌법재판소의 위헌 결정은 원칙적으로 위헌 결정 이후의 사건에도 효력이 미치지만, 법적 안정성이나 당사자의 신뢰 보호를 위해 예외적으로 소급효를 제한할 수 있습니다. 이 사건에서는 과거 국세 우선 징수 조항에 대한 위헌 결정 이전에 국가가 받아간 경락대금 반환 청구에 대해 위헌 결정의 소급효를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위헌결정#소급효#제한#법적안정성

일반행정판례

헌법재판소 위헌 결정의 효력 범위와 소급효 제한

헌법재판소가 특정 법 조항을 위헌으로 결정했더라도, 모든 경우에 소급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법적 안정성과 신뢰 보호를 위해 소급효를 제한할 수 있다는 대법원 판결. 특히 이 판례는 군인연금법 관련 위헌 결정의 소급 적용을 제한한 사례.

#위헌#소급효 제한#군인연금법#법적 안정성

형사판례

위헌결정의 소급효, 어디까지 적용될까?

헌법재판소가 위헌이라고 결정한 법률은 그 결정 시점부터 효력을 잃지만, 형벌 관련 법률은 과거로 소급하여 효력을 잃습니다. 이 판례는 형벌 법률의 소급효 원칙을 재확인하고, 위헌 결정 이전에 해당 법률로 유죄 판결을 받은 사람은 재심을 청구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특히 이전에 합헌 결정이 있었더라도, 이후 사정 변경으로 위헌 결정이 나면 소급효가 적용된다는 것을 명확히 했습니다.

#위헌#소급효#재심#사정변경

일반행정판례

헌법재판소 위헌 결정과 행정처분의 효력

헌법재판소가 어떤 법률을 위헌이라고 결정하기 *전*에, 그 법률에 따라 이루어진 행정처분은 원칙적으로 유효합니다. 다만, 헌법불합치 결정이 내려진 경우, 헌법재판소가 정한 기간까지는 해당 법률이 계속 적용됩니다.

#헌법불합치#행정처분#효력#위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