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2.11.15

일반행정판례

헌법재판소 위헌 결정과 행정처분의 효력

안녕하세요! 오늘은 헌법재판소의 위헌 결정과 행정처분의 효력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좀 어려운 주제일 수 있지만, 최대한 쉽게 풀어서 설명드릴게요.

이번 사건은 골프장 건설을 위한 토지 수용에 대한 분쟁입니다. 원고는 골프장 건설을 위한 토지 수용이 부당하다고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는데요, 그 이유 중 하나가 골프장 건설의 근거가 된 법률 조항이 헌법에 위반된다는 것이었습니다.

핵심 쟁점은 두 가지였습니다.

  1. 헌법재판소의 위헌 결정 에 이루어진 행정처분(토지 수용)은 그 근거 법률이 위헌이라는 이유로 당연히 무효가 되는가?

  2. 헌법불합치 결정을 받은 법률 조항(구 국토계획법)이 헌법재판소가 정한 기간 동안에는 계속 적용되는가?

대법원은 첫 번째 쟁점에 대해 "원칙적으로 그렇지 않다"라고 판단했습니다. 헌법에 위반되는 법률에 근거한 행정처분은 잘못된 것이지만, 헌법재판소의 위헌 결정이 있기 에는 그 법률이 위헌인지 명백하게 알 수 없다는 것이죠. 따라서 위헌 결정 에 이루어진 행정처분은 당연히 무효가 되는 것이 아니라, 취소소송을 통해 다퉈야 한다는 것입니다. (관련 판례: 대법원 1994. 10. 28. 선고 92누9463 판결)

두 번째 쟁점에 대해서는 "그렇다"라고 판단했습니다. 헌법재판소는 구 국토계획법(2011. 4. 14. 법률 제10599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조 제6호 (라)목 중 '체육시설' 부분에 대해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리면서 2012년 12월 31일까지는 계속 적용하도록 했습니다. 대법원은 이 기간 동안에는 해당 조항이 여전히 유효하며, 이 조항에 따라 이루어진 행정처분도 유효하다고 본 것입니다. (관련 판례: 헌법재판소 2011. 6. 30. 선고 2008헌바166, 35 전원재판부 결정)

결론적으로 대법원은 원고의 상고를 기각했습니다. 원고는 이 사건 골프장 건설이 '체육시설'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주장했지만, 대법원은 해당 골프장이 '체육시설'에 해당한다고 판단했고, 헌법불합치 결정된 법률 조항도 유효하다고 보았기 때문입니다. (관련 법률: 행정소송법 제19조, 구 국토계획법 제2조 제6호 (라)목)

이번 판례를 통해 헌법재판소의 위헌 결정과 행정처분의 효력에 대한 법리를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다소 복잡한 내용이지만, 이해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위헌 법률에 기반한 행정처분, 무조건 무효일까?

헌법에 어긋나는 법률에 따라 이루어진 행정처분이라고 해서 무조건 다 무효는 아니다. 위헌 결정 이전에 이루어진 행정처분은 그 하자가 명백했는지 여부를 따져 취소될 수는 있지만, 무효가 되는 것은 아니다.

#위헌 법률#행정처분#효력#무효

민사판례

헌법재판소의 위헌 결정과 행정처분의 효력, 그리고 초과택지초과소유부담금 부과처분

헌법재판소가 어떤 법률을 위헌이라고 결정하기 *전에* 그 법률에 따라 내려진 행정처분은 당연히 무효가 되는 것이 아니라 취소 대상이 된다. 또한, 초과택지초과소유부담금 부과는 부과기간별로 각각 별개의 처분으로 본다.

#위헌 법률#행정처분#취소소송#당연무효

민사판례

위헌 법률에 따른 행정처분, 무조건 무효일까?

헌법재판소에서 위헌 결정이 난 법률을 근거로 이루어진 과거의 행정처분은 무조건 무효인 것은 아니며, 법원이 위헌 여부 심판 중인 법률 관련 소송에서 판결을 미루지 않고 선고할 수 있다.

#위헌 법률#행정처분 효력#위헌 심판 계류#소송 진행

일반행정판례

위헌 법률에 기반한 행정처분, 그 효력은?

헌법재판소가 어떤 법률을 위헌이라고 결정하더라도, 그 법률에 근거하여 이루어진 과거의 행정처분은 무조건 무효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특히, 이미 정해진 기간 안에 불복하지 않아 확정된 행정처분은 위헌 결정의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위헌 법률#행정처분#효력#소급효

일반행정판례

헌법 위반 법률에 따른 행정처분, 무효일까?

헌법재판소가 어떤 법률을 위헌이라고 결정하기 *전*에, 그 법률에 따라 이루어진 행정처분은 원칙적으로 유효합니다. 즉, 위헌 결정이 나기 전까지는 그 법률에 기반한 행정처분은 무효가 아니라는 뜻입니다.

#헌법재판소#위헌결정#행정처분#효력

세무판례

헌법 위반 법률에 따른 행정처분, 무조건 무효일까?

헌법재판소에서 위헌으로 결정된 법률에 근거하여 이루어진 과거의 행정처분은 무조건 무효(당연무효)가 되는 것이 아니라, 취소될 수 있는 사유(취소사유)에 해당한다.

#위헌#행정처분#당연무효#취소사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