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의회 의원이 뇌물을 받았다면 뇌물죄로 처벌할 수 있을까요? 뇌물죄는 공무원이 직무와 관련하여 뇌물을 수수하면 성립하는 범죄입니다. 그렇다면 지방의회 의원은 형법상 공무원으로 볼 수 있을까요? 대법원은 그렇다고 판단했습니다.
지방의회 의원은 주민들의 투표로 선출되어 지역 주민을 대표하여 지방자치단체의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하지만 일반적인 공무원처럼 정기적인 급여를 받는 대신, 의정활동비와 보조활동비, 회의 참석 수당 등을 받습니다. 이 때문에 지방의회 의원이 공무원인지에 대한 논란이 있었습니다.
대법원은 지방의회 의원도 형법상 공무원에 해당한다고 판결했습니다 (대법원 1996. 11. 15. 선고 95도1114 판결).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즉, 지방의회 의원은 비록 일반 공무원과는 고용 형태가 다르고 정기적인 급여를 받지 않더라도, 공적인 사무를 수행하고 공직자로서의 의무를 지닌다는 점에서 형법상 공무원으로 인정됩니다. 따라서 지방의회 의원이 직무와 관련하여 뇌물을 받으면 형법 제129조(뇌물수수죄)에 따라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형사판례
법원 집행관 사무소에서 일하는 사무원은 공무원으로 볼 수 없으므로 뇌물죄로 처벌할 수 없다.
형사판례
지방의회 의원들이 의장 선거와 관련하여 금품 및 투기적 사업 참여 기회를 제공받은 행위에 대한 뇌물죄 성립 여부를 판단한 사건. 투기 사업 참여 기회 제공도 뇌물에 해당하며, 실제 이익을 얻지 못했더라도 뇌물죄가 성립한다는 점과 지방의회 의장 선거 관련 금품 수수는 직무 관련성이 인정되어 뇌물죄가 성립한다는 점을 명시.
형사판례
지방공사 직원도 뇌물을 받으면 공무원처럼 처벌받는다. 지방공사 직원의 업무는 공공성이 높기 때문에 뇌물수수를 엄격히 처벌해야 한다는 것이 법원의 판단이다.
형사판례
임용 자격이 없었던 사람이 공무원으로 일하며 뇌물을 받았다면, 임용 자체는 무효라도 뇌물죄로 처벌받는다.
형사판례
지방공사와 지방공단 직원도 뇌물죄로 처벌할 수 있고, 직무 관련자에게 받은 금품은 사교적 의례라도 뇌물로 간주된다는 대법원 판결.
형사판례
공무원이 공개된 장소에서 돈을 받아 부하직원에게 썼더라도 뇌물죄가 성립하고, 사교적 의례처럼 보이더라도 직무 관련 대가성이 있으면 뇌물죄가 성립한다는 판례. 검사 작성 피의자신문조서의 증거능력과 수뢰죄에서 '직무'의 범위에 대한 내용도 포함.